CAFE

댓글

뒤로

모글 입문자의 안전한 모글스킹을 위한 - 모글 와이드턴 (Wide Turn)

작성자서준호| 작성시간13.01.14| 조회수2930| 댓글 15

댓글 리스트

  • 작성자 서준호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13.01.14 예정대로 다음호에는 모글에서 가장 중요한 프리스타일 기본자세 '스택포지션' 편을 연재 하겠습니다. 성원에 감사드립니다.^^
    혹시라도 본문 내용에 궁금하신 점이 있으면 이곳에 댓글, 또는 메일로 보내주시면 답변 드리겠습니다. mogulski@hanmail.net (서준호)
  • 작성자 에어 작성시간13.01.15 와이드턴...백사면 가압이 관건이네요....^^ 영상으로 보니 딱 알아듣겠습니당~~~
  • 작성자 조영민 작성시간13.01.15 대장님...궁금한 점이 있는데요. 신체의 기울기를 사용하면 왜 프리스타일 스키기술을 거스르는 행동인가요? 가끔 인터고수분들이 모글타실때 기울기 막 사용하시는거 보면 멋지기도 하드라구요^^ㅋ
  • 답댓글 작성자 서준호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13.01.16 신체의 기울기가 생기면 체중의 수직중심에서 스키가 벗어나게 됩니다. 그러면 빠른 흡수와 민첩한 조작에 불리하게 됩니다. 빠른 흡수는 빠른 속도와 연결되게때문에 프리스타일 모글에서는 꼭 필요한 부분이죠.
    얼핏생각하기에는 큰 차이 없어 보일 수 도 있습니다. 지산처럼 모글의 경사가 완만한 곳에서는 큰 차이를 못느끼실 수 있습니다. 민첩한 조작은 모글의 형태와 깊은 관계가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기 모글은
    일정한 규격으로 만들지만 실제로 똑같지는 않지요. 한개의 모글마다 다양한 형태의 장애물이 존재합니다.예를들어 모글의 둔덕(뱅크)에 많이 뭉쳐있는 눈을 지나야하는 경우 체축을 빠져나간 스키는
  • 답댓글 작성자 서준호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13.01.16 직진성에 불리하게 됩니다. 다시말해 뭉쳐진 눈에 스키가 걸려 균형을 잃기 쉽다는 뜻입니다. 하지만 체축과 같이 이동하면 몸무게로 인하여 강력한 직진성이 생기기 때문에 뭉쳐진 눈을 돌파 할 수 있는 민첩성을
    가질 수 있습니다. 신체의 기울기를 이용하면 (지나친 기울기로 모글을 연습해보시면) 속도에 많은 불리함을 가져옵니다. 이것은 프리스타일 모글기술을 거스르는 행동이지요. 와이드턴을 연습하면서 어느정도의
    기울기가 안 생길 수는 없겠지만 가급적 안 생기게 노력해야합니다. 프리스타일 모글은 시간이 지날수록(레벨이 오를수록) 미세한 속도의 차이가 상급 스키어를 결정하는 요소가 됩니다.
  • 답댓글 작성자 서준호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13.01.16 이미 많은 분들이 인터식 스키를 경험하고 모글을 배우십니다. 소위말하는 '감아타기' 턴은 매턴마다 스키가 체축을 빠져나가지만, 강력한 리바운딩과 원심력으로 다시 반대편으로 돌려주는 힘이 생깁니다.
    현대 장비 발전으로 가능한 인터스키 기술의 꽃이라고 말할 수 있죠. 하지만 이 습관때문에 모글이 어려워 지기도 합니다. 다음편 연재 예고가 프리스타일 기본자세인 '스택포지션'입니다. 빨리 게시하겠습니다.^^
  • 작성자 매트 작성시간13.01.15 와이드턴에 목 매달고 연습하는 초보라 질문하나 여쭙니다. 와이드턴을 숙달하고 서서히 턴의 반경을 줄여가면 프리스타일 모글스킹이 되는 것은 아닌가요?
  • 답댓글 작성자 서준호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13.01.16 안녕하세요. 본문에도 나와있듯이 전혀 틀린말은 아닙니다. 하지만, 와이드턴을 연습하시면서 턴의 반경을 서서히 줄이는 것은 완전히 다른 행동입니다. 와이드턴에서 턴호의 크기를 좁히게 되면
    와이드턴이 주는 가장 큰 장점인 적은 흡수와 느린 속도가 없어 집니다. 턴을 좁힐 수록 흡수는 커지고 접설 시간은 줄어들게 됩니다. 다시말해 모글에서 스키 콘트롤이 어려워 진다는 이야기 입니다.
    조금씩 턴호를 좁혀 간다는 것은 생각처럼 쉽지 않습니다. 모글이 좌우 폭이 2미터 정도이기 때문에 와이드에서 조금만 턴호를 줄여도 스키는 직진형의 지퍼라인으로 따라가게 됩니다. 당장 모글에서 턴호를
    줄여보시면 압니다. 갑자기 생기는
  • 답댓글 작성자 서준호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13.01.16 큰 흡수와 빠른속도로 신체가 적응하기 힘들어 집니다. 이것은 시간이 지나 와이드 턴이 익숙해지면 저절로 해결되는 것이 아닙니다. 제가 와이드턴에서 익혀야 할 필수 기술은 백사면 가압이라고
    말씀드렸습니다. 백사면 가압 훈련에 와이드 턴이 매우 효과적이기때문이죠. 백사면 가압의 기술이 몸에 생겼다면 이제 턴호를 줄여서 달릴 수 있는 레벨에 오른 것이기때문에 굳이 와이드 턴으로 모글을
    내려가실 필요가 없습니다. 스트레이트 라인인 지퍼라인으로 빠르게 달리는 기술을 배워야 합니다. 예를들어 전진 폴체킹리라던지, 전진 업같은 것입니다.
    백사면 가압이 어느정도 완성되면 와이드턴은 속도 내는 것에 거슬리게 될것입니다.
  • 답댓글 작성자 서준호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13.01.16 만일, 매트님께서 프리스타일 모글스키어를 꿈꾸는게 아니시라면.. 굳이 빠른 속도의 모글을 배우실 필요가 없는 경우라면.. 와이드턴을 좀 더 정교한 기술로 발전시키는 연습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백사면 가압훈련을 많이 하십시요. 그것은 프리스타일 모글스키의 진수를 느낄 수 있는 가장 빠른 지름길입니다. 백사면 가압 훈련은 와이드턴이 최고입니다. 혹시, 와이드턴이 필요 없는 기술이라고
    폄하하는 것으로 오해마시기 바랍니다. 사실 와이드턴을 많이 연습한다고 불리할 것도 없습니다. 다만 해당 연습이 주는 최고의 효과를 보신후에는 바로 다음 단계로 넘어가야 한다는 뜻입니다.
    용기내어 쓰신 댓글 고맙습니다.^^
  • 작성자 황지현 작성시간13.01.15 백사면 가압.... 모글 타면서 가장 어려운 부분이라 느꼈던 건데 ... 영원한 숙제일 듯 합니다..^^
  • 작성자 beemp 작성시간13.01.16 아...........어려워......어려워......ㅜㅜ
  • 작성자 오렌지 작성시간13.01.16 ㅠ.ㅠ 갈길이 너무 머네용 유유
  • 작성자 매트 작성시간13.01.16 서준호 대장님의 설명에 감사드립니다. 일단 와이드 턴에서 백사면 가압부터 어느 정도 마스터하고 다음 단계를 시도해 보겠습니다.
  • 작성자 안또니오 작성시간20.03.18 안녕하세요! 이번시즌에 모글제국 입문반 3번 수강하고 혼자서 허우적 대다가 지난 3/16 지산 폐장일에 겨우 와이드턴 완주 한거 같습니다! 본문중에서 뱅크 리버스턴의 시범 영상을 찾고잇는데 잘 찾을수가 없어서요
    서준호 대장님의 귀중한 자료를 교과서 삼아 열공중인데 도와 주세요~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
카카오 이모티콘
사용할 수 있는 카페앱에서
댓글을 작성하시겠습니까?
이동시 작성중인 내용은 유지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