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댓글

뒤로

FamilyTreeDNA에 유후 raw data 업로드 가능한지 여부

작성자arkheon| 작성시간21.05.16| 조회수379| 댓글 7

댓글 리스트

  • 작성자 초재 작성시간21.05.17 제가 유후 검사에 대해서, 잘 모르지만, 시급하게 도움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보여 답을 드립니다. 1) 제가 아는 한, 현재 한국의 검사회사 유후(Youwho)에서는 raw data를 제공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2) 그리고, Youwho에서 raw data를 제공한다 하더라도, format이 23andMe와는 좀 다르기에, FamilyTreeDNA에 업로드하기 위해서는 약간의 가공을 해야 할 것입니다. 입양아의 친부로 추정되는 분께서, 유전자검사를 받으시길 원하시면, raw data를 제공하지 않는 Youwho보다는 해외의 검사회사, 특히, 미국쪽보다 거리도 가깝고, 검사결과도 빠르게 나오는 중국쪽의 Wegene(상염색체쪽은 여기가 낫습니다)이나 23mofang쪽으로 알아 보시는 게 나을 듯합니다. 더 도움이 필요하시면, 운영자이신 꼬꼬닥님에게 문의해 보시기 바랍니다.
  • 답댓글 작성자 arkheon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21.05.17 초재님 빠른 답변 감사드립니다. 먄약 Wegne이나 23mofang에서 검사한 후 그 raw data를 바로 FamilyTreeDNA에 업로드할 수 있다면 그게 가장 좋을 것 같다고 생각되네요. 다만 FamilyTreeDNA에서 공식적으로는 23andMe V3, V4, V5; AncestryDNA V1, V2; 및 MyHeritage 결과만 받을 수 있다고 하는데 과연 Wegene과 23mofang 데이터도 읽을 수 있는지 혹시 아시나요? 운영자 꼬꼬닥님에게도 문의를 해봐야 겠습니다.
  • 작성자 TGNDJS 작성시간21.05.18 저도 도움이 될까 싶어 글을 남겨봅니다.

    우선 FTDNA의 경우 shared cM (공유하는 유전자) 길이가 너무 높게 나오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렇다보니 먼 친척도 훨씬 가까운 관계라고 표현되는 경우가 빈번합니다. 아니라면 좋겠지만 arkheon님의 경우도 그런 경우일 수도 있다고 생각되어 말씀드립니다.

    조금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같은 지역에서 오랜 시간을 함께 살아온 민족이나 인종의 경우 같은 조상을 공유할 확률이 높고 따라서 그 민족 또는 인종에게 흔한 유전자를 물려받을 확률이 높아집니다. 이런 흔한 유전자들이 모여 가까운 과거에 직접적으로 조상을 공유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가까운 친척으로 오인될 만큼 비슷한 사람이 나오는 것을 방지하고자 유전자 검사 회사들은 유전자의 일정 길이 이상이 똑같이 일치하는 곳만을 shared cM으로 계산합니다. 그런데 FTDNA의 경우 이 길이가 굉장히 낮게 설정되어 있습니다. 많은 회사들이 최소 일치하는 길이로 7cM, 8cM 등을 요구하는데 FTDNA는 1cM이상 일치만 하면 전부 shared cM으로 간주해서 계산합니다. 그러다보니 다른 회사에 비하면 압도적으로 높은 shared cM이 나옵니다.
  • 답댓글 작성자 TGNDJS 작성시간21.05.18 저 같은 경우도 FTDNA에서 105cM을 공유한다는 해외 입양아 분이 2nd~3rd cousin의 가까운 친척으로 나오는데... 다른 사이트에서는 겨우 15cM을 공유하며 4th cousin 이상이라고 나오거든요. 그런 만큼 FTDNA에서 가까운 친척으로 나오면 한번은 의심 해볼만 합니다. FTDNA의 친척 매칭을 살펴보시면 chromosome browser이라는 기능이 있습니다. 이 기능으로 최소 cM을 올려서도 공유하는 구간이 많은지부터 먼저 확인해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cM을 올려서도 공유하는 구간이 많다면 실질적인 친척일 확률이 높아지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는 예상보다 먼 친척이거나 아예 친척이 아닐 확률도 존재합니다.
  • 답댓글 작성자 TGNDJS 작성시간21.05.18 TGNDJS 그리고... 제대로된 친자 검사가 제일 좋겠지만... DTC 유전자 검사를 통해 친자 확인을 하신다면... GEDmatch라는 사이트가 있습니다. 해당 사이트는 검사 기관과 관계 없이 raw data를 올릴 수 있고 이를 기반으로 친척 찾기 기능을 제공합니다. 23andme, ancestry, ftdna를 비롯한 서양 회사는 물론이고 wegene이나 23mofang 검사자분들도 보이더군요. 이 사이트를 이용하면 검사 기관과 상관 없이 조금 더 쉽게 관계를 확인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참고로 GEDmatch의 경우 다양한 검사 기관의 raw data를 받아주는 만큼 그 정확도가 조금 떨어질 수 있습니다. 두 검사 기관에서 공통적으로 검사해주는 SNP가 많을 수록 (overlap이 높을 수록) 정확해지는데... 중국회사들과 FTDNA의 SNP 간의 overlap이 어떨지는 모르겠군요. 물론 친자 관계라면 overlap 정도와 상관없이 부모자식지간에서만 나올 수 있는 3500cM 전후의 값이 나올 겁니다.
  • 답댓글 작성자 arkheon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21.05.19 TGNDJS 관심 갖고 도움 주셔서 감사합니다! 제가 세세한 내용은 적지 않았는데, 저희의 경우 FTDNA가 정확하게 유전적 관계를 측정한 걸로 이미 확인을 했습니다. 그 입양되었던 분과 저의 관계가 2nd에서 3rd 사이로 나왔는데 확인해보니 2nd cousin once removed입니다. 즉, 저희 아버지와 그분께서 2nd cousin, 6촌인 걸로 확인이 됐습니다. 주민센터에서 발급받은 등본과 입양기관에서 입양당시 작성했던 서류와 모든 인물정보가 일치합니다. 다만, 친부가 되시는 할아버지께서 친자관계를 의심해서라기보단 갑자기 근 50년만에 딸이라는 분이 유럽에 살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나니 확인차원에서 유전자 검사를 할 의향이 있으십니다. 그래서 최대한 번거롭지 않은 방식으로 간단히 확인만 할 수 있으면 좋은데 TGNDJS님께서 말씀해주신 대로 GEDmatch에 파일형식과 관계 없이 raw data를 올릴 수 있다고 한다면 그렇게 하는 것이 가장 좋을 것 같다고 생각되네요. 좋은 정보 정말 감사합니다.
  • 작성자 일수거사 작성시간24.05.15 어렵네요...ㅎ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
카카오 이모티콘
사용할 수 있는 카페앱에서
댓글을 작성하시겠습니까?
이동시 작성중인 내용은 유지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