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지리교육]핵심 지리교육학

작성자북소년|작성시간24.03.23|조회수115 목록 댓글 0

책 정보

  • 카테고리

    지리일반/지리학

  • 쪽수/무게/크기

    360쪽727g189*255*17mm

  • ISBN

    9788962914429

책 소개

지리교육의 체계적인 지도와 자기주도적 학습을 위한 『지리교육학』의 저자 조철기 교수가, 그 의 강의 자료를 손질하여 『핵심 지리교육학』으로 완성해 냈다. 이번 저작은 그동안 교과교육학으로서 지리교육학 관련 도서들이 크고 무거워 부담을 느껴 왔을 독자들을 위한 고민과 배려의 결정체이다. 교과의 한 과목으로 지리를 가르치기 위한 학문인 지리교육학은 종합적인 성격을 지닐 뿐만 아니라 지식의 구조가 명확하지 않은 특성이 있어, 이를 학습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교육의 주체인 학생들이 지리교육학이라는 학문을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게 하려면 핵심적인 개념과 더불어 이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는 많은 사례를 제시할 수밖에 없다. 저자의 『지리교육학』이 860페이지에 달하게 된 이유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이런 상황에서 이번에 출간된 『핵심 지리교육학』은 목표가 분명한 이 책의 사용자들을 위해 『지리교육학』에서 핵심 내용만을 엄선하고, 새로운 내용을 일부 보완하고 재구성하여 완성한 책이다. 저자의 강의 내용을 빠짐없이 정리해 놓은 노트나 마찬가지인 이 책은 지리교육학에 보다 체계적으로 접근하게 해 주는 것은 물론 임용시험과 관련해서도 필수적인 내용을 상당하게 포함하고 있다.
전체적인 구성을 보면 총 9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제1장에서는 지리교육의 이데올로기와 패러다임을 살펴본다. 제2장에서는 지리교육의 목적과 목표, 제3장에서는 지리 교육과정의 내용조직 및 특징, 제4장에서는 학습이론, 제5장에서는 지리학습, 제6장에서는 지리교수, 제7장에서는 지리 교수·학습 방법, 제8장 지리 수업설계를 다루고 있다. 마지막으로 제9장에서는 지리학습을 위한 평가에 관하여 설명함으로써 많지 않은 페이지 안에서 모든 내용을 담아냈다. 또한 으로 사회과 교육과정을 제공하고 있어, 이를 필요로 하는 독자들의 수고를 줄여 주고 있다. 타 과목의 교과교육학을 공부해야 할 학생들에게는 실로 부러울 만한 저서가 출간된 것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

ㆍ머리말

제1장 지리교육의 이데올로기와 패러다임
1. 교육의 이데올로기 2. 지리교육의 이데올로기 3. 지리교육의 패러다임

제2장 지리교육의 목적과 목표
1. 지리교육의 가치와 중요성 2. 지리교육의 목적 3. 지리 수업목표

제3장 지리 교육과정의 내용조직 및 특징
1. 지리 교육과정의 내용조직 원리 2. 지역적 방법 3. 계통적 또는 주제적 방법
4. 지역-주제 방법 5. 쟁점 또는 문제 중심 방법 6. 지평확대법과 그 대안들
7. 핵심역량 중심 방법

제4장 학습이론
1. 학습에 대한 4가지 관점 2. 가네의 위계학습이론 3.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4. 오수벨의 유의미학습이론 5. 브루너의 인지발달이론 6. 비고츠키의 사회문화이론

제5장 지리학습
1. 학습 스타일 2. 지리적 지식 3. 지리적 사고력 4. 지리적 개념
5. 지리적 기능 및 역량

제6장 지리교수
1. 교수 스타일 2. 교사를 위한 전문적 지식 3. 수업컨설팅과 수업비평
4. 쉐바야르의 교수학적 변환과 극단적 교수현상

제7장 지리 교수·학습 방법
1. 개념학습 2. 설명식 수업 3. 발견학습 4. 탐구학습 5. 문제기반학습(PBL)과 문제해결학습
6. 가치수업 7. 논쟁문제해결 및 의사결정수업 8. 협동학습 9. 게임과 시뮬레이션
10. 사고기능학습 11. 야외조사학습

제8장 지리 수업설계
1. 수업설계 2. 수업설계모형 3. 교육과정 차별화 4. 지리 수업자료

제9장 지리학습을 위한 평가
1. 평가의 목적 2. 평가의 유형 3. 학습에 대한 평가 vs 학습을 위한 평가
4. 수행평가 vs 참평가 5. 선택형 문항 분석

ㆍ참고문헌
ㆍ부록: 사회과 교육과정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