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 장부에 좋은 약초

택란 (누에형 초석잠) 효능 ~~

작성자백합화|작성시간17.03.07|조회수713 목록 댓글 0

택란의효능 .


맛은 쓰고 달고 매우며 성질은 약간 따뜻하고, 삼초와 비장, 간에 작용한다.
택란은 혈을 잘 돌게 하고 어혈을 없애며 생리를 통하게 하고 오줌을 잘 누게 한다.
어혈중에서 정기를 손상시키지 않은 장점이 있어 부인과에 많이 응용한 기원 하고 오줌을 잘 누게 한다.
어혈중에서 정기를 손상시키지 않은 장점이 있어 부인과에 많이 응용한다.
산후 복통과 부종, 생리 불순, 생리통, 상처, 타박상, 부스럼, 황달, 중풍, 고혈압 등에 사용한다.
우리나라 각지의 산과 들의 습한 곳에서 자생하며, 여름철 꽃이 피는 시기에 전초를 베어 햇볕에서 말리고, 하루 6-9g을 탕약, 가루약, 알약 형태로 복용한다.
약리실험 결과 강심작용, 진통작용, 지혈작용 등이 밝혀졌다. lycopose, stachyose 등이 함유되어 있다.

택란은 맛은 쓰고 달고 매우며 성질은 약간 따뜻하다.
삼초, 비장, 간장에 작용하며 혈을 잘 돌게하고 오줌을 잘 누게 하고 어혈을 없애며 월경을 잘 통하게 하고 오줌을 잘 누게 한다.
약리 실험에서 강심작용, 진통작용, 지혈작용 등이 밝혀졌으며 산후 복통과 부종, 월경장애, 상처, 타박상, 부스럼 등에 쓰인다.
방기와 택란 모두 한의학에서 거습이뇨 작용을 통해 수분을 배출시켜 부은 것에 일정한 효과가 있다.

의서 "본초" 에서는 택란에 대하여 이렇게 적고 있다
澤蘭甘苦消癰腫 打撲損傷虛浮腫 택란은 달면서 쓰다.
옹종, 타박손상, 음허부종이 심한 것을 다스린다. 방기를 사약으로 삼는다.
부인병약 중에서 가장 급한데 쓴다.
동의보감에서는 산전산후에 여러가지 병과 복통 등에 그 효능이 있으며 다산한 여성이 혈기가 쇠약하고 차가우며 여윈 증상에 좋다고 하였고, 파상풍이나 타박상으로 생긴 어혈을 없앤다고 하였다.
주로 혈액순환을 좋게 하며 어혈을 풀어준다. 월경이 일정치 않거나 양옆구리가 아픈 것,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것, 수종 등을 치료한다.
어혈을 풀어주는 약중에서 정기를 손상시키지 않은 장점이 있어 부인과에 많이 응용되는 약이다.
생리통, 상처, 타박상, 부스럼, 황달, 중풍, 고혈압 등에도 응용된다.

“자궁 건강의 1차적 이상은 어혈이라는 비 생리적인 노폐물이다.
어혈은 보통 죽은 피라고 불리는 혈액순환이 좋지 못하여 생기는 노폐물로서, 어혈은 생리불순과 냉대하 같은 일차적 문제를 일클 뿐 아니라 임신에도 어려움을 주고, 비만에도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자궁내 어혈을 유발시키는 큰 요인 들로 장건강이 좋지 않을 때와 몸을 차게 유지할 때 발생한다.
불규칙한 식습관은 만성적인 장 근육의 약화를 유발하고 자궁에 좋지않은 영향을 미친다.
장건강이 좋지 않으면 여성의 자궁을 자극, 자궁내 혈액순환을 저해하여 이른바 어혈(비생리적인 노폐물)을 발생시켜 생리통, 생리불순, 물혹, 근종등 자궁관련 질환을 일으킨다.
올 겨울에 특히나 추운 날씨에도 불구하고 미니스커트가 유행했었는데, 하체를 차게 유지할 경우 자궁에 차고 습한 기운이 생겨 기혈순환을 방해하고 자궁이 냉해져 어혈이 생기기 쉽다.
또한 살이 찌면 자궁과 복강내에 지방이 과잉 축적되어 자궁기능을 관할하는 경락 및 아랫배의 혈액순환장애를 일으켜서 자궁기능을 약하게 해 어혈이 생기기도 한다.
이와 같이 자궁이 건강이 여성의 평생 건강을 좌우한다는 것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사람의 건강 자체가 태내에 있을 때 어떤 자궁환경 속에서 자랐는가가 평생 건강을 좌우한다는, 태아의 평생 건강을 결정하는 요소로 까지 조명되고 있다.
자궁의 건강을 유자하는데 중요한 두가지 키워드는 어혈과 냉기 제거이다.
한방차로도 묽게 달여 평소에 마실 수도 있다.
또한 냉기 제거에 가장 좋은 방법 중의 하나는 반신욕과 자궁 훈증이다.
반신욕은 하체를 따뜻하게 해주어 혈액순환, 기순환 촉진 효과가 뛰어나며, 자궁 훈증은 약초를 태워 그 연기를 자궁에 쐬는 것으로서 역시 같은 효과가 있는데, 노폐물과 독소 배출 면에서는 반신욕보다 효과가 뛰어나다.
달여서 그 물을 욕조에 조금 타서 반신욕을 수시로 하거나, 말려서 훈증하여 그 연기를 자궁에 쐬는 택란 좌훈을 하는 것은 놀랄만한 효과를 보인다.

택란 분화물은 당뇨를 가지고 있는 흰쥐에 실험한 결과 혈당강하에 미치는 영향이 좋다.
쪹 21세기 당뇨병 치료에 좋은 약초이다.
간장과 비장을 도우며 인슐린 분비를 촉진한다.
당뇨병 중소(간·소화기)에 좋으며, 월경불순, 폐경 산후어혈, 복통에 좋다.
이용 방법

만성 변비 --
결명자(생것으로) 12g, 대계(엉겅퀴), 의이인(율무) 8g, 마자인(삼씨) 4g을 차로 달여 복용한다.
비만 --
결명자(생것으로) 10g, 대계(엉겅퀴), 치자 8g, 오가피 6g을 차로 달여 복용한다.
식욕이 없고 소화불량일 때 --
결명자 10g, 백작약, 감초 각 8g을 달여 복용한다.
시력이 약하여질 때 --
결명자, 구기자, 목적, 복분자 각 8g을 달여 복용한다.
당뇨로 소변불통(전립선·요실금) -
택란, 차전자 각 16g, 구기자, 오미자 각 8g을 달여 복용한다.
생리이상 소변불통--
택란, 애엽, 차전자, 대계(엉겅퀴) 각 6g을 달여 수시로 복용한다.
자궁냉증 소변복통 -
금은화, 애엽, 택란, 차전자, 호박 각 8g을 달여 복용한다.
산후어혈 -
당귀, 천궁, 숙변, 백작약, 택란 각 80g을 달여 복용한다.
젖이 모자랄때: 한번에 6~12g을 200CC의 물이되게 달여서 하루 3번에 나누어 젖이 잘 나오지 않을 때 민간요법에서 이용한다
혈액순환, 월경불순--
건조된 택란 10~15g을 1일량으로 하여 400cc의 물로 1/3량이 될 때까지 끓여서 3회로 나누어서 복용한다.
생리가 없을때--
택란 15g, 감초 8g, 당귀 8g, 적작 8g / 섞어 달여 먹는다.
1첩을 달여 하루 3번 나누어 먹는다
생리가 불순할때--
택란을 10-20g씩 물에 달여서 2번에 나누어 먹는다.
월경통에 쓰이는 외에 산후 죽은 피 가 깨끗이 내리지 않아 헛배가 부르며 아랫배가 아픈데, 월경이 고르지 못한 데도 쓴 다.
약은 월경을 하지않는 전기간에 쓰는것이 좋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