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약초 공부방

멀꿀 무엇인가?

작성자낙원|작성시간22.10.27|조회수155 목록 댓글 3

 멀꿀 무엇인가? 
열매의 단맛에 취해서 멍해지는 멀꿀

[멀꿀의 잎, 꽃, 열매, 종자의 모습, 사진출처: 일본 구글 이미지 검색]
▶ 이뇨작용, 진통작용, 진정작용, 구충작용, 심장 근육 수축력 증강, 산어지통,

이뇨소종, 타박상, 각종신경성동통, 소변불리, 비종대강심, 수종, 풍습성관절염,

월경불순, 종기, 신경통, 두통을 다스리는 멀꿀
으름덩굴과 멀꿀은 으름덩굴과 늘 푸른 덩굴나무이다.

학명은 <Stauntonia hexaphylla {Thunb.} Dbcne.>이다. 길이는 15미터

정도 뻗어나간다. 우리나라 제주도를 비롯한 남쪽 섬 및 지방에서 월동한다.

줄기는 왼쪽으로 감아 올라가는 습성이 있고 어린 가지는 녹색이다. 잎은

어긋나고 손꼴겹잎이다. 작은 잎은 5~7장이며 타원형~달걀형으로 두껍고

앞면에 광택이 있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암수 한그루로 잎겨드랑이에서

나오는 짧은 총상꽃차례에 3~7개의 꽃이 모여 달리는데 수꽃은 6개의 수술이

있고 암꽃은 3개의 암술이 있다. 타원형 열매는 진한 보라색 또는 붉은 색으로 익는다.

과육은 백색이고 속에는 검은 종자가 많이 들어 있다. 개화기는 4~5월이고,

결실기는 10~11월이다. 산이나 들에서 저절로 자라거나 정원에 재배하기도 한다.  
멀꿀의 다른 이름은 야목과[野木瓜=yě mù guā=예V무↘꾸아 ̄:

국약적약리학(國藥的藥理學)], 나등[那藤, 우등:牛藤: 광서식물명록(

廣西植物名錄)], 칠저매등[七姐妹藤, 칠엽련:七葉蓮, 미엽야본과:尾葉野本瓜

, 미엽가례지:尾葉假荔枝: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목통칠엽련[

木通七葉蓮=mù tōng qī yè lián=무↘통 ̄치 ̄예↘리엔

↗: 중국본초도록(中國本草圖錄)], 무베[ムベ=郁子, 야목과:野木瓜, 

토키와아케비:トキワアケビ=常葉通草, 구베:グベ(長崎県諫早地方), 

휴비:フユビ(島根県隠岐郡), 이노치나가:イノチナガ, 콧코:コッコ:

일본명(日本名)], 멀꿀, 멀꿀덩굴, 야목통, 멍 등으로 부른다.

중국에는 멀꿀의 변종으로 칠엽련(七葉蓮, 미엽야본과:尾葉野本瓜,

미엽가례지:尾葉假荔枝: Stauntonia hexaphylla Decne. var. urophylla

Hand.-Mazz.)이 있는데 모양도 원종과 비슷하고 효능도 같아서 함께 약용한다.
[성분]
1, <중약대사전>: "줄기, 잎에 saponin, phenols amino acid가 들어 있다.

종자에는 3종류의 triterpenoidal saponin 즉 mubenin A, B, C 가 분리 추출된다.

마른 종자에는 기름이 28.7% 들어 있다."
2, <약초의 성분과 이용>: "뿌리에 스타운토게닌 C27 H44 O4과 포도당으로

분해되는 배당체(스타운토닌 C58 H92 O31)가 있다."
3, <한국본초도감>: "사포닌(saponin), 페놀(phenol), 아미노산(amino acid)이 함유되어 있다."
4, <중국본초도록>: "줄기, 잎-saponin, sterol."

[약리작용]
1, <중약대사전>: "열매 및 그 핵은 회충과 편충에 대한 구충 작용이 있는데

구충에 대한 효력은 확실하지 않다. 또한 열에 의해서 구충 작용은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러나 지나치게 익은 열매의 작용은 상당히 떨어진다."
2, <약초의 성분과 이용>: "스타운토닌의 0.07% 수용액은 떼낸 개구리

심장에 대하여 디기탈리스 배당체와 비슷하게 수축기 정지를 일으킨다.

줄기는 진정작용과 아픔멎이 작용이 있다고 하는데 과학적으로

밝혀진 내용은 아직 찾아보지 못하였다."
3, <한국본초도감>: "열매는 구충 작용이 있다."
[약효와 주치]
1, <국약적약리학>: "강심, 이뇨작용을 한다."
2, <광서식물명록>: "덩굴은 통증을 멎게 하고 덩굴과 뿌리는 이뇨작용을 한다."

[용법과 용량]
내복: 0.5~1냥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멀꿀의 효능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멀꿀(Stauntonia hexaphylla {Thunb.} Decaisne)
다른 이름: 멀꿀 덩굴
식물: 사철 푸른 덩굴 뻗는 나무이다. 잎은 타원형인 쪽잎(3~7개)이 손 바닥처럼 모인 잎이다.
남부의 산에서 자란다.
줄기(야목통): 줄기를 베어 껍질을 벗긴 다음 쪼개어 햇볕에 말린다. 뿌리도 동약재로 쓴다.
성분: 뿌리에 스타운토게닌 C27 H44 O4과 포도당으로 분해되는

배당체(스타운토닌 C58 H92 O31)가 있다.
작용: 스타운토닌의 0.07% 수용액은 떼낸 개구리 심장에 대하여

디기탈리스 배당체와 비슷하게 수축기 정지를 일으킨다. 줄기

는 진정작용과 아픔멎이 작용이 있다고 하는데 과학적으로

밝혀진 내용은 아직 찾아보지 못하였다.

아래 멀꿀 나무 꽃

응용: 민간에서 줄기와 뿌리를 오줌내기약으로 쓴다.
멀꿀줄기 알약: 멀꿀줄기엑스 2g에 부형약으로 녹말을

섞어 0.4g짜리 알약으로 만든다. 아픔멎이약으로 한번에 4~6알씩 하루 3번 먹는다.]
멀꿀의 뇨능에 대해서 안덕균의 <한국본초도감>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야모과(野木瓜)
으름덩굴과의 상록 덩굴나무 멀꿀(Stauntonia hexaphylla

{Thunb.} Dbcne.)의 줄기와 뿌리이다.
효능: 강심(强心), 이뇨(利尿)
해설: ① 심장 근육의 수축력을 증강시키고, ② 소변을 잘 못

보는 증상에 이뇨 작용을 나타낸다.  
성분: 사포닌(saponin), 페놀(phenol), 아미노산(amino acid)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 열매는 구충 작용이 있다.

임상 보고: ① 약물 달인 물 40g을 수술 후 동통과 각종 동통에

사용하여 통증을 가라앉혔다. ② 환제는 외상동통, 내장동통,

수술 후 동통, 신경통, 두통에 진정, 진통 효과를 보였다. ③

약침 제제로 사용했을 때 지속적인 지통 효과가 나타났다.]
멀꿀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10권 51면 4590호에서는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목통칠엽련(木通七葉蓮)
기원: 목통과(木通科: 으름덩굴과; Lardizabalaceae)식물인 야모과(野木瓜=멀꿀:

Stauntonia chinensis DC.)의 뿌리 및 전체이다.

형태: 상록의 덩굴성 목본식물이다. 줄기와 가지에는 털이없다. 잎은

장상복엽(掌狀複葉)으로 어긋나며 소엽(小葉)은 3∼7개이고 거의 가죽질이며

장원상(長圓狀) 피침형(披針形)이고 양면에는 털이 없으며 잎맥이 양면에 모두

뚜렷하게 융기되어 있으며 눈엽(嫩葉)의 뒷면에는 반점이 없다. 총상화서(總狀花序)가

액생(腋生)하는데 꽃이 6송이씩 달리고, 꽃잎은 밀선상(蜜腺狀)으로 되어 있으며,

수술과 수술대는 통상(筒狀)으로 합생(合生)한다. 열매는

장원형(長圓形)이고 길이는 7cm이며 직경은 3cm이다.
분포: 산골짜기나 계곡 주변의 성긴 숲에서 자란다. 중국의

화동(華東), 화중(華中), 화남(華南), 서남(西南)에 분포한다.
채취 및 제법: 여름, 가을철에 채취하여 잘게 잘라 햇볕에 말린다.
성분: 줄기, 잎-saponin, sterol.
기미: 맛은 달고 성질은 따뜻하다.
효능: 산어지통(散瘀止痛), 이뇨소종(利尿消腫).
주치: 풍습성관절염(風濕性關節炎), 질타손상(跌打損傷),

각종신경성동통(各種神經性疼痛), 수종(水腫),

소변불리(小便不利), 월경부조(月經不調), 비종대(脾腫大).

용량: 하루 9~15g을 물로 달여서 먹는다.
참고문헌: 중약대사전, 하권, 4366호 ; 회편(滙編),

상권, 176면 ; 광서민족약간편(廣西民族藥簡編), 36면.]
◆ 멀꿀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지통(止痛)(임상보고)
① 탕제: 멀꿀 전초 37.5g에 물을 넣고 30ml가 되게 달여 아플 때

돈복하는데 필요하면 1일 3회 복용한다. 수술 후 동통, 마풍(麻風)

반응성 동통 등 각종 동통증 총 113례를 관찰한 결과, 일반적으로

복용한지 15분 후에 통증이 멎기 시작하여 그 효과가 4시간 지속되었다.
② 환제: 1알은 생약 37.5g에 해당하며 1일 2~3회, 1회 1~2알을 복용한다.

외상에 의한 동통, 내장 동통, 수술 후 동통, 신경통, 두통 등 40례 남짓한

치료에서 모두 진정 지통 효과가 있었고 그 중 효과가 뚜렷한 경우는 73%를 차지했다.

③ 정제: 1정은 생약 2.5g에 해당하며 아플 때 4~6정씩 돈복한다. 각종 수술

후 동통 40례에 사용했더니 일반적으로 복용한디 30분 후쯤부터 지통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해서 그 효과가 3시간 지속되었다.
④ 주사액: 1회에 2ml(생약 5g에 해당)를 근육에 주사한다. 지통 효과의

지속 시간은 달인 약과 같다. 또 다른 보고에 의하면 칠엽련(七葉蓮: 멀꿀의

변종)으로 만든 주사액을 1회에 2ml(마른 잎 3g에 해당)씩 근육 주사하여도

지통 효과가 있다고 한다. 12례의 관찰에서 일반적으로 주사 후 5~15분이면

효과가 나타나 지통 효과가 4~10시간 지속되었다. [중약대사전]

멀꿀의 이름의 유래에 대해서 열매의 속살 맛이 꿀처럼 달다고 해서 '멀꿀'이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열매의 색깔이 아주 섬세하면서 곱고 진한자줏빛에서 붉은

색으로 바뀌어 가는 모습과 열매 표면에 독특한 광채를 발하며 매달려 있는 모습이

대단히 아름답다. 제주도에서는 멀꿀 열매의 단맛에 취해서 정신이 멍해진다고

하여 '멍'이라고 부르는데 익은 열매의 껍질을 벗겨 속살의 과육을 입에

넣으면 달콤한 맛이 일품이다.  

그런데 마치 조선 바나나인 으름덩굴 열매보다 과육은 더 달콤하지만 그 씨앗은

아리고 쓰다. 그래서 과육만 빨아먹고 씨를 뱉거나 씨를 씹지 않고 그냥 삼키기도 한다.

남부지방에 살고 있는 약사모 회원께서는 집안에 텃밭이 있다면 멀꿀을 직접

재배하여 가꾸어 볼 것을 추천하고 싶다. 
상기 자료는 약초연구가로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천연물질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질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환우들에게 희망을 주며 기능성 식품이나

신약을 개발하는데 통찰력을 갖게하고 약초를 사랑하는 모든 사람에게

정보의 목적으로 공개하는 것임을 밝혀 둔다.

낙 원 산 약 초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감초(창원) | 작성시간 22.10.27 멀꿀 잘 배웁니다
  • 작성자검은 호랑이 | 작성시간 22.10.27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 작성자계피 | 작성시간 22.10.29 멀꿀정보 감사드립니다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