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 History of Hoolis

훌리건 < All star > -1부- 레쓰비

작성자살인미소|작성시간06.01.05|조회수284 목록 댓글 0

레쓰비(Let it be..)

소속 : 아주대학교 경영 01학번

성향 : 중도 온건

 

2003년 1월 혜성처럼 등장한 아주대 훌리건

모교, 특히 경영학부에 대한 자부심이 대단했으며, 브레인, 아쭈구리등 전설적인

훌리건들과 함께 아주대의 중흥기를 이끌었다.


브레인이 걸쭉한 욕설과 죽돌이 근성으로 훌천을 장악했다면, 레쓰비는 깔끔한 글

솜씨와 해박한 지식으로 훌천에서 자신의 존재감과 아주대의 위상을 넓혀갔다.


-----------------------------------------------------------------------------

경영대학의 평가... 
 
  번호:1727  글쓴이:  레쓰비  |
 조회:1186  날짜:2003/02/21 21:39   
 
 
.. 인문 사회 분야의 대학 평가를..할려고 했지만...내가 아는 정보가 부족

하다.

그나마 아는..경영이란 분야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다.

먼저 인풋 30% process(30%)와 아웃풋(40%) 정도로 평가의 배점은 아래

이공계열과 같게 나누겠다.

지금 현재 경영학의 분야는 미국이 선도하고 있다. 영국과 프랑스에 두

세개 정도의 유명 대학원이 있지만, 대세는 미국이다. 아마도 미국적 사

고와 가장 잘 맞는 분야가 경영이란 분야가 아닌가 싶다.

먼저, 경영이란 분야를 크게 나누면 재무, 마케팅, 인사, 회계,

opration Management(번역이 생산 관리??조금 해석하기 애매하다)이

다. 여기에 부가적으로 MIS(Management Information System)이 최근 한

분야로 자리 잡아 가고 있다.

경영학은 크게 독일 경영학과 미국 경영학으로 나누어 진다. 독일 경영

학의 시초는 상업학이고 미국 경영학은 문제 해결에

촛점을 맞춘 경영관리학이라고 불린다. 독일 경영학은 경제학적 성격이

매우 강하다. 소규모 성들의 연합으로

연방국가의 성격이 강했던 독일의 특징이 가미되서 성주가 자기의 영토

를 관리하는 측면이 주류이기 때문에 거시적인 면을

중요시 하는 경제학적 성격이 큰 것이다.

서두는..이만하고...그럼 현재 경영학의 주류는 미국의 경영학이고, 이

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일단 미국의 경영학의 특징은 실제 경영에 관련된 경험적인 면을 중시한

다는 것이다. 그래서 MBA라는 학문이 아닌 실제 경영을

위한 특수 과정이 경영학이란 분야에서 큰 인정을 받는 이유이기도 하

다.

따라서 실제의 경영을 위한 학문이기 때문에 위에 언급한 5분야 혹은 6

분야에 관한 균형적인 접근을 중요시한다.

하지만, 국내의 분위기는...CPA라는..단지 경영을 위한 부수적인 요소.

(Value chain 상의 core value가 아니다.) 가 기가 막히게도

경영학을 평가하는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회계 역시 매우 중요한 분야이긴 하다. 회계의 두 큰 분류 재무 회계와

관리 회계 중..최근 추세는 경영을 위한 회계인 관리 회계에

비중이 쏠리고 있는 추세이다.(올해(2003)부터 서울대 경영대학은 회계

필수를 재무 회계에서 관리 회계로 바꾸었다.)

현재 우리 나라의 경영 대학 중 위의 5분야를 골고루 제대로 가르치는

대학은 흔치 않다.

내가 아는 한 제대로 된 커리큘럼을 가지고 소화하는 대학은 서울대, 고

려대, 아주대 (연세대, 서강대는 경영대 홈페이지 상에서 확인 불

가였다.) 뿐이다. 성대는 지나치게 회계 분야에 치우쳐 있고, 한양대

는...균형적이긴 하지만 Operation management 분야에 관해서는

미약하다.

경영대학의 평가는... 훌륭한 경영자를 얼마나 많이 배출했느냐에 따른

것이 가장 옳다.

또한 최근에 가장 인기를 끌고 있는 컨설턴트 역시 경영의 전 분야에 관

한 폭 넓은 이해를 하고 있다. 이 역시 좋은 평가의 기준은

될 수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평가 받을 수 있는 점이 CFA, CPA등 각 분야의 전문

가들이라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일반 기업 입사는...당장은 평가하기 힘든 점이다. 언제가

그 중 누군가가 CEO가 될지 알겠는가?

위의..여러 아웃풋을 하나로 아우를 수 있는 기준은 무엇인가?

바로 돈이다. 각 학교 졸업자의 평균 연봉...적어도 경영 분야에서는 가

장 좋은 잣대가 아니겠는가?


--------------------------------------------------------------------------

대기업 생활 6개월에 쓰는 공대 + 정통대 서열.( LG + SK) 
 
  번호:199540  글쓴이:  Let it be..  |
 조회:162  날짜:2004/03/28 00:08   
 
 
..
1.서울대

2.연고대,포공,카이스트

3.서강대, 아주대, 한양대, 성대, 부산대, 경북대, 인하대

4. 기타..

같은 급간에서 전혀 차이가 없는건 아니지만..
누구 승진할 때 누군 안되는 식이 될 정도는 아니다.

이 중에..일단 LG는 연대와 한대를 선호한다.
SK는 고대 선호. 두 곳 모두 서울대는 넘버1이다.

LG에서 아주대는 조금 대우 못 받는 편이고..부산대, 경북대, 인하대 파워쎄다.
SK에선 아주대 출신 부장급 비율로 따지면 꽤 되더군. 상대적으로 인하대 사람이 보이질 않는다. 이유는 모른다.

갠적으로 서강대 출신에 호감이 간다. 다들 성격 좋고 일 잘한다. 연고대 파워게임
에 끼지 않아서 인지 어느 곳에 가나 환영 받는 곳이 서강대다.

연대 출신은 일은 잘하는 편이지만 상당히 끼(?)가 다분하다. 신촌의 이미지에서 크게 안 벗어난다. 고대 출신..일단 술 평균적으로 잘 먹는다. 그리고 인간미가 좀 더 넘친다.^^ 인하대 출신은.. 서강대와 조금 비슷했던 이미지였다. 근데 일은 서강대 출신이 확실히 더 잘한다.

그리고 포공 출신. 서강대만큼 일은 잘하는데.. 인간 관계에 조금 미흡하다. 예를 들어 서강대 출신과 포공 출신 모두 둘째가라면 서러워할 애처가인데..서강대 출신 차장님은 룸싸롱가서 분위기라도 맞추는 반면 포공 출신 차장님은 안가는 편이지. 물론 포공출신 차장님이 짬밥이 좀 더 높아서 튕기는 걸수도 있다.

경북대, 부산대는 은근히 많다. 근데 딱히 떠오르는 이미지는 없더구나. 대기업 생활에 궁금한거 있음 리플 달아라. 훌천에 머무르는 동안은 답글 달아야겠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