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잉솔로 싱글턴이 온다] 에릭 클라이넨버그 (더퀘스트)

작성자[3기]서태웅|작성시간15.02.03|조회수53 목록 댓글 0



추천 평점: [★★★]


저자 "에렉 클라이넨버그(Eric Klinenberg)는 

뉴욕대학교 사회학과 교수이자 <대중문화 Public Culture>와 

<디지털 시대의 문화생산 Cultural Production in a Digital Age>의 

편집장을 맡고 있다. 


사회현상에 대한 분석이나 통찰이 담긴 책보다는 

자기계발서적들이 더 친숙한 분들에게는 저자의 이름이 낯설겠지만, 


학계와 출판계는 물론이거니와 

<뉴옥타임즈>, <타임>, <월스트리트저널> 등의 대중매체를 통해서

많은 활약을 펼치고 있다. 


그의 첫 저서 <시카고의 폭염>

<시카고 트리뷴>에서 올해의 도서로 선정하였고,  

학계와 출판계에서 총 6차례의 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전문가의 눈으로 비쳐진 "1인 가구" 싱글족

우리의 눈으로 바로본 "1인 가구"와 어떻게 다르고, 

혼자사는 1인 가구의 증가가 우리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궁금하신 분들은 이 책을 펼치시기 바랍니다. 


------------------------------------------------------- 


"혼자 사는 사람"을 가리키는 용어 '싱글턴(Single Turn)"


싱글턴이라는 단어, 

죽, 혼자 사는 1인 가족이라는 말을 들었을 때, 

우리는 어떤 느낌이 드는가? 


왠지 모르게, 

고령화 또는 노인분들의 빈곤, 질병, 소외 또는 

무언가 문제가 있거나 개인주의적인 성향이 매우 강한 사람이라는 

부정적인 이미지가 먼저 떠오르는 게 사실이다. 


"싱글턴"이라는 용어자체에 대한 느낌이야 

매우 주관적이기 때문에 무어나 나무랄 이유는 없다. 


하지만,  

우리가 분명하게 인지해야 하는 사실은 

"싱글턴"현상은 이미 우리 사회의 보편적 현상이 되었다는 것이다. 


1950년에는 미국 성인들 가운데 

22%만이 독신이었지만 현재는 그 수가 50%를 넘어섰으며, 

전체 인구로 따진다면 7명 중 1명이 혼자서 살고 있는 격이 된다. 


이러한 현상은 대한민국도 예외일 수 없다. 

대한민국의 1인 가구 비중은 2012년에 벌써 전체 가구의 25%를 넘어섰으며, 

2035년에는 34%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들이 나오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우리는 어떻게 바라봐야 할까?


나와 전혀 무관한 현상으로 치부해야 할까, 

아니면 지금은 아니지만 언젠가는 나 역시 겪어야 하는 현상일까?


원하던 원하지 않던 

그리고 나와 직접 관련이 있던 없던간에


우리에게 중요한 사실은 "싱글턴"현상은 

우리 사회의 중요한 이슈이자 사회 현상이며

왜 많은 사람들이 혼자 살아가는 지에 대한 이유를 밝히고,  

이 현상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과 함께 대비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고잉솔로 싱글턴이 온다>는 

뉴욕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에릭 클라이넨버그의 책으로, 

'혼자 살기'가 늘어가는 오늘날의 현대 사회의 모습을 자세히 들여다보고, 

혼자 살기가 늘어가는 이유와 이것이 사회 전반에 끼치는 영향 등을 분석한 책이다. 


저자는 이 책에서 싱글턴 현상이 증가하는 이유는 

여성의 지위 상승, 통신혁명, 대도시의 형성, 혁명적 수명연장이라는 

20세기 후반에 일어난 네 가지 거대한 사회적 변동이 

개인이 활약하기에 좋은 여건을 창출했기 때문이라고 말하고 있다. 


또한 인의 부상, 여성 지위의 향상, 도시의 성장, 통신기술의 발달 등의 현상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라는 전망을 통해 "싱글턴 사회"에 대한 준비를 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아울러 혼자 사는 가족이 늘어난다고 해서

공동체가 분해되거나 이기주의가 팽배해진 사회가 되었다고 

생각하는 것을 경계해야 한다는 말과 함께 

 

우리에게 "싱글턴이 잘 사는 사회가 모두에게도 좋은 사회"라는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거듭 강조한다. 


어쩌면 작금의 대한민국에 필요한 내요이 아닐까라는 생각이 든다. 


싱글턴 현상을 개인의 노력과 책임으로 전가하기 에 앞서  

"혼자서도 잘 살 수 있는 세상" 을 만드는 게 국가의 의무이자 동시에 책임이 아닐까? 


사회현상에 관심이 있는 많은 청년들에게 권해드립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