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캠핑, 야외 생존

동물에 비해 힘과 스피드가 약한 인간이 사냥할수 있는 방법

작성자코난.카페장(경기)|작성시간23.04.25|조회수500 목록 댓글 7

 

 

 

 

 

 

 

바로 "지구력"이 넘사벽이라 가능.

 

포유류에서 빠르고 힘 좋다는 동물들도 단기간의 속도가 그런 거지, 그 속도를 계속해서 유지하지 못함.

 

심지어 속도도 빠르고 지구력 좋다는 말도 10km이내에선 인간을 압도하지만 30km넘는 거리로 경주하면 종종 인간에게 지고,

50km가 넘어가면 인간이 이기는 경우가 상당히 많아짐.

 

개도 땀샘이 없어서 장거리 이동 불가. 썰매개의 경우는 낫긴 한데, 특정 조건(추운 날씨)에서나 가능.

 

그래서 과거 인간은 사냥할 때 특별한 방법이 있지 않음.

 

목표물을 발견? 그냥 계속 추적함. 추적하고 또 추적함.....

달리다 지친 동물이 멈춤. 보통 심장박동 수가 너무 올라가서 힘을 내지 못하고 자리에 멈추는 경우가 많음.

그럼 손쉽게 쓱 다가가서 처리.

말이 특별한 경우지 대부분의 동물은 몇 분 뛰지도 못 함.

 

이족보행이 사족보행보다 효율(연비)가 압도적으로 높아서 가능한 일

 

 

 

 

인간이 다른 동물과 힘이나 스피드등 비교해서 모든면에서 참 약하고 뒤지는것같습니다

하지만 존버정신 즉 인내심이 있어서 동물사냥과 생존이 가능하다고 하네요 ㅎ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alaskan1803 | 작성시간 23.04.25 짐승과는 구분되는 탁월한 냉각장치(땀샘) 덕분이죠.
  • 작성자보슬비(경북) | 작성시간 23.04.25 아-지구력이군요.
    처음 아는 사실이네요.
  • 작성자천뢰 | 작성시간 23.04.25 지구력에 더해서 사람은 멀리 던질 수 있기에 도구 사용한 사냥에 유리하죠
  • 작성자빛소리(경기) | 작성시간 23.04.26 늘 궁금하던 것이었는데, 그래서 인간이 동물의 맨꼭대기에 올라간거군요
    그런데 이족보행이 과연 진화의 결과인가? 또 새로운 궁금함이 생기네요
  • 작성자문제청년(서울) | 작성시간 23.04.26 처음 아는 사실이네요 흥미롭습니다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