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비상 에너지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비상발전 용량별 등급

작성자우재(창원)|작성시간23.02.28|조회수400 목록 댓글 9

개인적인 경험과 생각으로 한전에서 전기를 받지 않고 직접 전기를 생산하는 양에 따른 등급입니다. 재미로 보시면 될듯하고 틀린 정보도 있을 수 있습니다.


5등급 : 보조배터리 충전수준
가전제품 보다 휴대용 보조배터리, 스마트폰, 무전기 같은 제품을 충전하는 수준입니다. 굳이 따지자면 50w 이하일테지만, 앞으로 아이폰과 갤럭시등에 지원하거나 지원 예정인 위성통신 기능을 활용하면 그 가치가 높을것입니다.

4등급: 300w 이상 (~600w정도)
대부분의 아파트에서 개인이 설치할 수 있는 가장 큰 사이즈일겁니다.
각 지자체에서 아파트에 미니태양광 혹은 베란다 태양광등의 이름으로 보조금이 지원되던 발전량이며, 2023년 기준 10만원 안쪽으로 자 부담금을 내고 설치 하던가, 일부 지자체의 경우 조금 더 추가금을 내고 600w까지 보조금을 받을 수 있는 규모입니다.

300w는 대략 한 여름에 (오전9~오후5시까지) 작은 벽걸이 에어컨을 22도로 가동해도 전기 계량기가 멈춰있게 해줄 정도입니다.
(설치위치, 단열정도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혹은 한달기준 17~28kw까지 발전량이 나왔는데, 최적화된 조건이면 배터리를 통해 냉장고도 가동할 수 있을겁니다.

3등급: 1kw(1000w)이상
개인적으로는 애매한 구간이라고 봅니다. 1kw정도면 냉장고한개 정도는 쓸 수 있지만, 그렇다고 다른것을 하긴 애매하죠.

이 구간부터 유류 발전기가 사용될 수 있을 텐데, 꼭 유류 발전기가 필요한 환경이 아니라면 여러가지 고려해보는게 좋을거 같네요. 만약 유류 발전기를 산다면 1kw보단 2kw로 가는게 큰 가격차 없이 올라갈 수 있고, 엔진오일이나 연료같은 부수 기자재들이 필요할것이고, 발전기 자체만 신품이면 수백만원 할텐데, 태양광 3kw 보조금 받는게 더 속편하지 않을까요?

아니면 순수하게 태양광으로 발전할 경우에도 애매하다고 보는데, 3kw까지 보조금이 나오는데 굳이 1kw 정도만? 설치 공간이 좁거나 기타 제약이 있으면 어쩔 수 없죠.

2등급: 3kw 부근
태양광으로 가장 많이 설치하는 사이즈입니다. 설치비가 2023 기준 300~350가량 된다고 합니다. 대략 4x4m의 공간이 필요한데, 이 공간을 옥상에 올리면 여름에 덜 덥고 방수 대용으로 쓸 수 있으니, 편하게 설치하는 사이즈라고합니다.



1등급: 10kw 이상 + V2L
완전 자급을 할 수 있는 용량이라고 봅니다. 이정도 용량이면 전기차 충전도 가능한데, 발전량이 충분하면 충전을 하고, 가정에서 대용량 전력이 필요하면 V2L기능을 통해 보조도 가능하겠지요.
(전기차의 배터리 용량은 일반가정의 5일치 수준입니다)

어떤게 정답이라고 말 못하는게, 각자 상황과 필요에 따라 준비하시면 될거 같습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답댓글 작성자우재(창원)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23.03.01 나중에 리뷰가능할까요?
  • 작성자오두막(경기 성남) | 작성시간 23.03.01 태양광 발전은 결국 전기저장장치 즉, 베터리 용량에 제한됩니다.
    12Vx200Ah =2.4KWh 베터리 비용이 100만원 넘게 들었지요.
    댓글 첨부 이미지 이미지 확대
  • 작성자월식(경기) | 작성시간 23.03.01 오 시골집이라면 2등급이 적절하겠네요.. 유용한 정보 감사합니다 :)
  • 작성자happyyogi | 작성시간 23.04.18 베란다 태양광 좋은 것 같애요~^
  • 작성자behamoth(경북) | 작성시간 23.04.30 좋은 조언 감사드려요 ^^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