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도시 생존법/ 메뉴얼

[라디오 생존법] 가스누출과 중독 사고 대처

작성자코난.카페장(경기)|작성시간18.02.11|조회수697 목록 댓글 6

작년 1월부터 한 라디오방송에 매주 출연해 '재난시대 생존법'이란 프로를 하고 있습니다

도시에서 일어날수 있는 재난이나 사고등은 물론 범죄와 전쟁까지 다루고 있죠  그주에 특별한 사건이 있다면 주로 그걸 다룹니다


처음엔 매주하는게 큰 짐이라 얼마나 잘할수 있을까 걱정됬는데 다행히 이제 반년이 넘었네요

도시재난에 대해 중요하고 요긴한 정보들을 얘기하니 시간되시면 많은 분들이 라디오 들어주시면 고맙겠습니다

교과서적이거나 뻔하지 않은 정말 실질적이고 생생한 재난대처 정보 및 생존법으로 사람들에게 알리려합니다

다행히 방송국쪽 반응이 좋네요

그간 카페에는 알리지 않았는데 라디오로만하고 끝내기엔 정보가 너무 아까워 지난 대본을 매주카페에도 올려보겠습니다


또 제가 자료를 찾아 저 나름대로 분석해서 대본을 만드는데 혹시 틀리거나 관점이 다를수 있을것입니다
제가 잘못알고 있거나 반론이 있는 부분 혹은 더 더루었으면 하는 정보들이 있으면 아래 댓글로 달아주십시요
회원분들과 같이 한 주제에 대해서 토론하는것도 재미있고 유익할것같습니다


라디오는 매주 화요일 저녁 7시30분부터 10분간 교통방송(95.5mhz)에서 들으실수 있습니다
창원,경남쪽에서 방송되며 다른곳에 있는분들은 라디오 어플로 들으실수 있습니다


                                       저번 라디오방송국에서...




생존21-도시재난연구소 코난 우승엽 소장

전화연결 되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질문: 얼마전(1.25일) 포항제철소에서 노동자 4명이 질소 가스에 질식해 사망하는 사고가 났습니다. 최근 작업장과 가정에서 가스중독 사고가 빈발하는데 어떤 대처법이 있을까요


- 2015년 1월 LG디스플레이 파주 공장에서도 질소 가스 누출 사고로 6명의 사상자가 났고 최근 공장이나 건물에서 냉각용이나 소방용등 질소 가스를 많이 쓰기에 관련 사고도 잦습니다

질소자체가 위험물은 아니고 공기중엔 질소가 78% 산소가 21% 정도로 흔합니다 무색무취인만큼 과다 노출되도 알기 어렵지만 밀폐된 환경에서 산소부족으로 죽게됩니다.

가스누출이 우려되는 밀폐된 환경에서 작업시엔 꼭 2인이상 작업하며 환기를 시키고 방독면과 산소농도 측정기를 휴대합니다 만약 사고가 나면 바로 따라 구하러 들어가지 말고 119에 신고후 마스크나 방독면을 착용하고 구조합니다




질문: 예전에는 집에서 연탄가스 중독 사고가 많았는데 이게 일산화탄소 중독이죠. 얼마나 위험한건가요


- 일산화탄소는 불안전 연소때 많이 발생하는데 적혈구 헤모글로빈과의 결합력이 산소보다 250배 높기때문에 일산화탄소를 마시면 바로 산소부족 쇼크로 쓰러지게됩니다 사람은 산소농도 15%이하 호흡과 심장박동이 증가하고 판단장애가 나타나며 10%에선 실신하고 8%에선 죽게 됩니다 화재현장에서도 유독연기중 가장 위험한것이 일산화탄소입니다

좁은 욕실에서 가스 순간 온수기를 사용하다 일산화탄소 중독으로 사고가 나기도합니다.


질문: 가스보일러를 쓰는 요즘도 배기가스누출로 중독사고가 종종 보도되는데 무엇이 문제인가요


-저번 12월에 서울과 대구의 빌라에서 가스보일러 배기가스가 실내로 누출돼 3명이 숨지는 사고가 났습니다.

1월에도 서산등 몇곳에서 보일러 가스로 노인부부와 손자등 여러명이 사망했죠

보일러 연통이 빠지거나 부식으로 구멍이 생기면서 일산화탄소 가스가 새어나와 사망한 것이죠 최근 5년(2013년~2017년)간 가스보일러 사고는 25건에 17명이상 사망하고 35명이 다쳤습니다. 때문에

초겨울 가스 보일러를 가동하기 전에는 배기통 연결부가 잘 고정돼 있는지 찌그러지지 않았는지 연결부에 틈새가 없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부식된 노후 배기통은 바로 교체하고요


질문: 그럼 집이나 작업장에서만 가스누출을 조심하면되나요 우리가 생각지 못한 의외로 위험한 장소도 있나요


-캠핑장에서도 의외로 가스중독 사고가 빈발합니다 올 1월에도 새해를 맞아 야영하던 일가족 4명이 텐트 난로에서 나온 가스에 중독돼 병원으로 이송됬습니다 추워지자 텐트 안에 소형 가스난로를 피운것이죠

캠핑 사고는 여름에 주로 발생할 것이라는 통념과 달리 겨울에 많이 발생합니다. 전국 야영장 사고중 급류에 의한 사고는 26%인데 35%가 가스중독, 26%가 화재입니다.(2010∼2015년 국립공원관리공단)


또 텐트 내부에서 난로를 피우지 않아도 근처에서 가스난로를 쓰거나 고기를 굽기위해 숯불을 피우면 일산화탄소가 발생해 텐트안으로 들어올수 있습니다

피곤해 자거나 술취한 상태에서 무색·무취인 일산화탄소에 중독되면 큰 사고나는거죠 따라서 고기를 굽고 남은 숯불은 꼭 물로 끄거나 멀리 떨어뜨려놓고 뒷정리해야합니다



               


질문: 야외캠피장에서 가스와 화재사고가 많군요 그럼 질소나 일산화탄소같은 가스중독 사고를 당하면 어떻게 응급처치를 해야하나요


-황토방 구들이나 전원주택의 벽난로에서도 일산화탄소 가스 중독을 주의해야 합니다

가스에 질식되면 조심히 밖으로 옮겨서 윗옷을 풀어 편안히하고 맑은 공기를 마시게 합니다 호흡이 힘들면 인공호흡으로 산소를 공급해주고요

만약 산소부족 상태가 심각하면 병원으로 이송해 고압산소치료 (hyperbaric oxygen therapy)를 하게됩니다 고압산소관에 넣고 대기압보다 높게(2~5기압) 고순도 산소를 가압해서 환자 혈액속 산소량을 증가시키는것이죠

속설에 연탄가스에 중독되면 김치국물을 먹인다. 라는데 잘못된 정보입니다


조: 네, 좋은정보 감명깊게 들었습니다. 말씀 감사합니다.

지금까지 도시재난연구소 우승엽 소장과 함께 했습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답댓글 작성자코난.카페장(경기)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18.02.11 전부 외주업체 직원들입니다 대게 사고가 다 외주죠
  • 작성자탄소중독화성인(창원) | 작성시간 18.02.11 잘 읽었습니다.
  • 작성자즈나(부산) | 작성시간 18.02.11 가정에서 난로나 보일러에 의한 일산화탄소중독 예방은 일산화탄소 경보기를 설치하는게 답이죠.
    일산화탄소는 산소보다 약간 가볍기 때문에 바닥에서 150cm 높이에 설치하면 된다고 하네요.
    (더 무거운줄 알았는데 아니군요)
  • 답댓글 작성자코난.카페장(경기)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18.02.11 네 일산화탄소는 비중이 0.96으로 약간 가볍다네요 경보기 설치하면 화재시에도 도움이 된다합니다
  • 작성자하늘이(서울) | 작성시간 18.02.12 이번에 뉴스를 보니...
    아파트 위층의 보일러 연통에 맺힌 고드름이 아래로 떨어지며 아래층의 보일러 연통을 때려서
    그 충격으로 아래층의 연통과 보일러가 분리되서

    연소가스가 실내로 들어가서 일산화가스중독으로 돌아가신분이 여러분 계시더군요.

    연통에 생기는 고드름이 아래 사람에게 위험한것만 생각햇는데.
    아래 나란히 있는 연통을 때려서 가스중독 사고도 생기게 하네요.

    연통이 충격을 받아도 관이 빠지지 않게 시설을 해야하나봅니다.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