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세광내이처 해밀 도시형생활주택세제현황

작성자안병관|작성시간11.03.29|조회수366 목록 댓글 4

지방세특례제한법

 

제31조(임대주택 등에 대한 감면) 「임대주택법」 제2조제4호에 따른 임대사업자(임대용 부동산 취득일부터 30일 이내에 임대사업자로 등록한 경우를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임대사업자”라 한다)가 임대할 목적으로 공동주택(그 부속토지를 포함하되, 해당 공동주택의 부대시설 및 임대수익금 전액을 임대주택관리비로 충당하는 임대용 복리시설을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을 건축하는 경우 그 공동주택과 임대사업자가 임대할 목적으로 건축주로부터 공동주택을 최초로 분양받은 경우 그 공동주택(「주택법」 제80조의2제1항에 따른 주택거래신고지역에 있는 공동주택은 제외한다)에 대하여는 다음 각 호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2012년 12월 31일까지 지방세를 감면한다. 다만, 토지를 취득한 날부터 정당한 사유 없이 2년 이내에 공동주택을 착공하지 아니한 경우는 제외한다.

    1. 전용면적 60제곱미터 이하인 공동주택을 취득하는 경우에는 취득세를 면제한다.

    2. 「임대주택법」 제16조제1항제1호·제2호·제2호의2 및 제3호에 따른 장기임대 목적으로 전용

 

면적 60제곱미터 초과 85제곱미터 이하인 임대주택(이하 이 조에서 “장기임대주택”이라 한다)을 20호(호) 이상 취득하거나, 20호 이상의 장기임대주택을 보유한 임대사업자가 추가로 장기임대주택을 취득하는 경우(추가로 취득한 결과로 20호 이상을 보유하게 되었을 때에는 그 20호부터 초과분까지를 포함한다)에는 취득세의 100분의 25를 경감한다.

② 제1항을 적용할 때 「임대주택법」 제16조제1항 각 호에 따른 임대의무기간에 대통령령으로 정한 경우가 아닌 사유로 임대 외의 용도로 사용하거나 매각·증여하는 경우에는 감면된 취득세를 추징한다.<개정 2010.12.27>

③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임대사업자 등이 국내에 2세대 이상의 임대용 공동주택을 건축·매입하여 과세기준일 현재 임대 목적에 직접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음 각 호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2012년 12월 31일까지 재산세를 감면한다.<개정 2010.12.27>

1. 전용면적 40제곱미터 이하인 「임대주택법」 제16조제1항제1호 및 제2호에 따른 임대 목적의 공동주택에 대하여는 재산세(「지방세법」 제112조에 따른 부과액을 포함한다)와 「지방세법」 제146조제2항에 따른 지역자원시설세를 각각 면제한다.

2. 전용면적 60제곱미터 이하인 임대목적의 공동주택에 대하여는 재산세(「지방세법」 제112조에 따른 부과액을 포함한다)의 100분의 50을 경감하고, 「지방세법」 제146조제2항 따른 지역자원시설세를 면제한다.

3. 전용면적 85제곱미터 이하인 임대목적의 공동주택에 대하여는 재산세의 100분의 25를 경감한다.

「한국토지주택공사법」에 따라 설립된 한국토지주택공사(이하 “한국토지주택공사”라 한다)가 「보금자리주택건설 등에 관한 특별법」 제43조제1항에 따라 매입하여 공급하는 것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주거용 건축물 및 그 부속토지에 대하여는 2012년 12월 31일까지 취득세를 면제하고, 2012년 12월 31일까지 재산세의 100분의 50을 경감한다. 다만, 그 매입일부터 1년 이내에 정당한 사유 없이 해당 용도에 직접 사용하지 아니하는 경우 또는 그 사용일부터 2년 이상 해당 용도에 직접 사용하지 아니하고 매각·증여하거나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 그 해당 부분에 대하여는 감면된 취득세 및 재산세를 추징한다.<개정 2010.12.27>

 

 

1. 취등록세가 취득세로 합산되어 과세 되기 때문에 취등록세가 면제가 된다는 거지요.

2. 재산세 50%감면 입니다.  종부세에는 해당사항 없습니다.

3. 종소세는 당연 내셔야 합니다.

    소득세는 소득금액에 따라 세율이 적용되기 때문에 딱 얼마 나온다고 말할순 없지만

    소득금액의 합산금액에서 필요경비를 제외한 금액이 과세표준이 되며,

    과세표준금액 기준세율은

      1200만 이하-----6%

      1200만~4600만 이하-----15%

      4600만~8800만 이하-----24%

   입니다.  (ex8000만원의 소득이라면 1200X6%+3400X15%+3400X24%의 식으로 계산됩니다.)

4. 양도세는 일반과세 됩니다.  양도소득금액중 필요경비를 제외한 금액이 과세표준이며

    세율은 소득세와 같습니다.

 

도시형 생활주택은 주택입니다.

따라서 현재 2012년까지 취득하는 주택에 관해서 양도세 감면혜택이 주어지는것을 제외한다면

일반 주택과 같은 개념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무주택자가 취득한다면 1주택자가 되는것이고, 이 경우 비과세 여건을 채우면 양도세 비과세.

1주택자가 취득한다면 2주택자가 되는것이고, 이경우 양도세 중과세(50%), 지금 특례기간이므로 일반과세

2주택자가 취득한다면 3주택자가 되는 것이고, 이경우 양도세 중과세(60%), 지금 특례기간이므로 일반과세

 

특이사항으로 1주택자가 비과세 여건을 채운상태에서 도시형 1채를 구입했을경우,  구입한 도시형은 특례기간이므로 양도세 일반과세지만, 기존 주택의 비과세 여건은 상실하여, 기존주택도 일반과세 하여야 합니다.

 

 

 

임대사업자를 내지 않는 다면 취등록세, 재산세등의 감면혜택은 없다고 생각하셔야 합니다.

단 특례기간중에 구입한 주택의 양도세중과는 되지 않습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오학진 | 작성시간 11.03.30 유용한 정보 감사합니다..
  • 작성자현동환 | 작성시간 11.03.31 감사합니다..
  • 작성자최 창 민 | 작성시간 11.04.01 좋은 자료 감사 합니다.
  • 작성자주진우 | 작성시간 11.04.30 감사합니다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