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주택조합 분담금 반환

작성자이철우 변호사|작성시간19.05.02|조회수284 목록 댓글 2


지역주택조합 탈퇴와 분담금(납입금) 반환 받기

  지역주택조합은 서민들이 주택청약예금 가입없이 저렴한 비용으로 내집마련을 할수 있는 제도이다. 하지만 지역주택조합은 조합원 분담금으로 조합의 경비를 조달해야 하므로 여러 가지 위험성도 도사리고 있다. 그래서 많은 조합들이 사업실패를 하기도 하고 장기간 사업이 표류되기도 하여 탈퇴를 하고 분담금등 납입금을 반환을 원하는 자들도 많다.

 

 주택법에서는 조합원들은 조합의 탈퇴를 인정하나 조합규약에 따라서 탈퇴한다고 규정하고 있고, 조합규약에서는 원칙적으로 탈퇴를 금지하거나 조합의 내부절차에 따라서 조합원의 분담금을 반환하도록 하고 있다.

 

 우선 창립총회 이전이라면 조합설립 전이므로 가입자들은 조합원이 아니므로 조합탈퇴 없이 조합원가입계약서만 무효화 할 수 있다면 납입금들을 반환받을수 있다. 다만 가입계약서의 내용에 따라서 업무추진비나 일부 납입금을 몰수당하는 수가 있다. 하지만 조합원가입계약서상의 가입자의 귀책사유가 없거나 업무대행사나 조합측(엄밀하게는 지역주택조합 추진위원회)의 귀책사유가 있다면 전액을 반환을 구할 수 있다. 만약 창립총회와 조합인가 후라면 가입자는 조합원이 되었으므로 보다 조합의 규약에 따라서 탈퇴절차가 진행되어야 할 가능성이 많다. 하지만 여전히 가입계약 당시 조합측에서나 업무대행사측에서 사기, 과대광고, 약속위반이 있다면 이를 이유로 한 손해배상 소송을 가능하므로 그 손해배상금 청구를 함으로서 실질적으로 납입금을 보전을 받던지 조합가입계약의 무효, 취소, 해제, 해지등을 주장할 수가 있을 것이다. 또한 조합원 자격요건이 없어 조합원 자격이 상실되면 분담금을 반환받을수 있는 근거가 생긴다. 하지만 이러한 근거를 만든다는 것은 쉬운것은 아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조합원 납입금을 반환청구 소송을 제기하는 경우 법원에서는 가입계약이 무효이거나 탈퇴사유가 없더라도 청구를 기각하기 보다는 조정등을 통하여 업무추진비들을 포기하고 나머지 납입금을 반환해 주라는 조정이나 화해권고를 하는 경우가 많고 조합측에서도 안건마다 반대하는 조합원을 탈퇴시키고 신규 조합원을 모집하는 것이 더 원만한 사업진행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조정이나 화해에 응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조합가입을 하였다가 탈퇴하면 그동안 많은 노력과 비용이 발생하므로 지역주택조합 가입자들은 보다 신중한 검토를 한 다음 조합원 가입을 하는 것이 현명하다.


http://news.mt.co.kr/mtview.php?no=2019050210171731003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최종민2 | 작성시간 19.05.02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 작성자박용 | 작성시간 19.05.03 감사합니다.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