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펀드 가입시 중요한 점

작성자상승미소|작성시간17.11.13|조회수4,378 목록 댓글 27

며칠 전 연금펀드 및 일반 펀드 상담을 하면서 만난 분의 이야기입니다. 이름을 밝히지 않는 조건으로 공개를 해도 좋다는 허락을 얻었습니다. 그 분은 지난 2008년 초에 중국펀드에 가입하셨습니다. 무려 10년이 흐른 지금도 그 펀드는 50%넘는 손실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당시 상하이 종합지수가 4,500P 정도에서 가입했는데 현재 지수가 3,447P라는 것을 감안할 때 왜 50%가 넘는 손실이 되어 있는지 아무리 생각해도 알 수가 없다고 하소연을 하셨습니다. 지수차이가 1,000P 정도밖에 나지 않았는데 손실이 50% 넘게 기록된 이유가 무엇일까요?


그 이유는 해당 중국펀드가 환헷지가 되어 있는 펀드였기 때문입니다. 해외 펀드 명칭을 보면 맨 끝에 (H) 또는 (UH)가 쓰여있습니다. 환헷지를 하는 펀드는 (H)가 표시되고, 반대로 헷지를 하지 않으면 (UH)가 표시되어 있습니다. 만약 해외펀드(원자재,농산물 등도 포함)임에도 (H)또는(UH) 표시가 없으면 환율과 관련이 없는 특정 지수를 추종하는 펀드입니다. 환율의 변동과 상관없이 오로지 기초자산의 등락에 영향을 받게 됩니다.


자 그렇다면 엇그제 그 분의 손실이 그렇게 큰 이유가 (H)가 쓰여있는 펀드를 가입해서 그렇다고 했는데 그 진짜 속사정을 살펴봐야 겠습니다. 여러분이 내일 증권사 또는 은행, 아니면 저를 통해 중국펀드를 가입하게 되면 그 돈은 이런 흐름으로 움직이게 됩니다. 100만원의 펀드를 가입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100만원(원화) >> 달러화 환전 >> 위앤화 환전


이렇게 돈을 환전해서 중국지수에 투자하게 됩니다. 이 때 자산운용사는 원화와 달러화의 환전 과정에서 환율 변동 위험을 피하기 위해 헷지(H)를 하게 됩니다. 문제는 거의 99.9%의 헷지는 선물환 매도를 통해 원-달러 환율의 하락을 전제로 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만약 1달러에 1,110원에 선물환 매도를 하고 나서 투자를 한 후에 원-달러 환율이 예상대로 하락하면 환전이익이 발생합니다. 반대로 환율이 상승하게 되면 오르는 만큼 운용사는 손실을 보게 되는데, 그 손실은 당연히 펀드 가입 고객의 돈에서 지출됩니다.


2008년 초에 원-달러 환율은 1달러당 약 1천원 정도였습니다. 문제는 금융위기 시작과 동시에 원-달러 환율이 폭등하며 달러당 1,500원을 넘어선 적이 있었습니다. 당시 그 분이 가입하고 있던 펀드에서 원-달러 환율이 상승하는 것을 버티다가 1,300원~1,400원 근처에서 선물환을 풀어서 더 큰 손실을 막으려 했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당연히 1,000원 하던 환율에서 1,300원 근처에서 반대매매를 했다면 환전손실만 30% 입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런 이유로 해외 펀드를 가입하실 때는 환헷지 여부를 신중하게 결정하셔야 합니다. 저는 고객에게 추천하는 해외 펀드(베트남,일본,중국,석유펀드 등)에서 무조건 UH를 찾아서 가입시켜 드리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딱 하나입니다. 역사상 펀드 손실을 봤을 때는 항상 환율의 폭등시기였기 때문입니다. 환율이 하락한다고 해서 헷지를 하지 않는다고 큰 손실은 제한적이 되어 있습니다. 반대로 환율의 폭등은 뚜껑이 열릴 정도로 많이 올라가곤 합니다. 물론 환율이 달러당 1,300원이거나 그 이상시점이라면 당연히 환헷지를 하는 (H)권유했을 것입니다. 하지만 요즘 환율은 달러당 1,100원대에 있습니다.


간단하게 질문하겠습니다. 지금부터 추가적으로 환율이 하락한다면 얼마나 더 하락할 수 있을까요? 반대로 오른다면 얼마나 많이 오를 수 있을까요? 계산해 보면 (H)가 좋은지, (UH)가 좋은 지 결정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즉, 지금 시점에서 (UH)를 가입하신다면 적립식으로 납입한다면 납입할 때 마다 조금씩 달러화를 매입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내는 것입니다. 달러화를 사가지고 오르지 않는다고 고민할 필요도 없는 것이 기초자산이 올라가면 그 지겨움을 이겨낼 수 있을 것입니다.


여기에 마지막으로 묻겠습니다. 만약 제가 추천하는 중국펀드에 가입했는데 세계 GDP 2위 국가인 중국 주식시장이 지금부터 20% 가까이 폭락한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그렇다면 원-달러 환율은 올라가겠습니까? 내려가겠습니까? 제가 왜 일본이나 중국펀드를 가입할 때 UH 펀드를 가입시켜 드리는 지 그 대답에서도 이유를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중국펀드를 추천해 달라고 하시는 분들께 드리는 조언입니다. 어느 운용사든 인덱스를 추종한다면 수익률에 큰 차이가 없을 것입니다. 다만 UH인지 H 인지는 위험 또는 수익관리에 무척 중요한 변수가 될 수도 있다는 점을 고려하시어 선택하시면 될 것입니다. 그나저나 펀드 가입하시면서 이런 설명 들으신 적은 있었습니까?


상승미소드림


#해외펀드 #연금펀드 #선물환매도 #원달러환율 #IRP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신호등 | 작성시간 17.11.16 농산물 h 에 많은 금액이 들어가있는데 ~ 농산물etf 선택여지없이 h 상품만있네요~ 지금이라도 짐로저스 농산물 펀드로라도 갈아타야할까요? 혹시 농산물 중에 추천하시는 상품을 알수있을까요?
  • 작성자사랑해요 | 작성시간 17.11.17 감사합니다
  • 작성자바람되어- | 작성시간 17.11.23 노트에 정리하며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작성자진이아빠 | 작성시간 17.12.29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h,uh생각도 못햇는데
  • 작성자이수자 | 작성시간 18.01.21 환율이 항상 어렵고 헷갈렸는데 이 글을 읽으니 환율을 고려하는 것의 중요성이 더 크게 느껴지네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