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알기쉬운 측만증의 정의와 분류

작성자chirojk|작성시간07.10.01|조회수788 목록 댓글 0


척추  측만증(scoliosis)  그리스어로 "굽었다"라는  "skolios"에서   유래된  말입니

척추가  옆으로  휜것  중앙선(극돌기)  기준으로  C  또는  S자로 구부러지거나 척추  마디  마디가  회전하여  일어난 것을 말합니다.

측만증의 종류는 다음과 같이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따라서 그 원인을 정확히 아는 것보다는 예방을 하는것이나 더이상 각도의 증가를 방지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수 있습니다.



1. 위치에 따른 분류

   1) 흉추 곡선(thoracic curve)

       특발성 척추 측만증 에서 많이 보여진다.

       일반적으로 오른쪽으로 휘기 쉽다.

   2) 흉요추 곡선(thoraco-lumbar corve)

        이 곡선 역시 특발성 척추 측만증에서 많이 일어난다.

        늑골이 틀어지거나 늑골의 높낮이가 다를 수 있다.

   3) 요추 곡선(lumbar curve)

        주로 왼쪽으로 나타나고 요통을 동반하기도 한다.

   4) "S"자형 곡선 (double major curve)

        두 개의 곡선이 중앙선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로 생기는 것이다.




 
 

2. 원인에 따라

1) 구조적 척추 측만증(structural scoliosis)

    - 특발성 척추 측만증 : 특발성이란 용어는 원인을 모른다는 뜻으로 사춘기에 많이 발생하고 남학생보다 여학생에게 발생빈도가 높다.

    - 선천적 척추 측만증 태아때부터 뼈의 선천적 성장이상으로 발생한다 정상적으로 볼때 앞이나 옆에서 볼 때 네모로 보여야 할 각의 척추가   

                                    한쪽만 자라고 붙은 쪽은 자라지 않아서 발생한다.

    - 기타신경 근육종으로 인해--》소아마비척수 공동증뇌성마비척수 수막류등.

     간충조직의 이상으로 인해 --》마르팡 증후군모르키오 증후군

     외상  /종양

 

 2) 기능성 척추 측만증(functional scoliosis)

       - 자세로 인해(postural)

       - 다리 길이 차이로 인해 (leg length difference)

       - 근육의 불균형으로 인해( muscle imbalance)

       - 신경성(hysterical)

       - 신경근 자극(nerve root irritation) : 추간판 탈출증종양

       - 고관절 구축으로 인해 (hip contracture)



3. 곡선에 따라

>곡선의 심한 정도에 따라 구분지어지며 "cobb"의 방법으로 측정한다.

    1) 경증 곡선( mild curve) : 10~20 도 사이

    2) 중증 곡선( moderate curve) : 25~30도 사이

    3) 중증 곡선( severe curve) : 40



4. 나이에 의해 (By age of onset)

  1) 유아기 측만증 (infantile scoliosis)

        -3세 이전에 발생하며 극히 드물다.

        -주로 남자 아이에게 발생

    2) 성장기 측만증(juvenile scoliosis)    

        -3~10세때 발생

        -주로 우측 흉추곡선 많다.

        -대부분의 청소년기 측만증이 이 경우에 해당한다.

        -여학생의 발생빈도가 높다.

    3) 성인 측만증(adult scoliosis)

        -성인 측만증의 86%는 청소년기의 특발성 측만증에서 진행된 것이다.

        -퇴행성 또는 노인성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알기쉬운 측만증의 정의와 분류 - 롤핑 척추 자세 연구소 -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