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댓글

뒤로

북한은 왜 벼농사가 잘 안될까요.

작성자신룡기2| 작성시간23.09.25| 조회수0| 댓글 12

댓글 리스트

  • 작성자 Dirus 작성시간23.09.25 답은 미국이민이나 수입...
  • 답댓글 작성자 신룡기2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23.09.25 ㅎㅎㅎ
  • 작성자 ▦무장공비 작성시간23.09.25 애당초

    야 밥은 먹었냐가 인삿말인 민족이
    집념과 광기로 북방한계선을 올려놓은 작물이 벼입니다ㅡㅡ;;;;;;
  • 답댓글 작성자 신룡기2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23.09.25 그리고, 근래
    북한보다 남한의 식량작물 생산량이 줄어들고 있다고 합니다...

    수입산 아니면 먹고살기 힘든 나라가 되었습니다. 흑흑...
  • 답댓글 작성자 델카이저 작성시간23.09.27 우스겟 소리로 우리 민족의 혈관에는 쌀농사의 피가 흐르고 있어 했는데 알고보니 진짜였;;;;
  • 작성자 백인대장 작성시간23.09.25 농사 후 나오는 부산물인 유기물이나 낙엽, 녹비작물을 계속 넣어줘야 토질이 그나마 개선이 되는데 그럴 여유가 없어 빨아 먹기만 하니 악화되네요.
  • 답댓글 작성자 신룡기2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23.09.25 맞습니다....

    우리나라도 농사 지을 사람도 없어.. 거의 ....수입인데..
    앞으로 기후변동에 따라.. 농산물값 변동 폭이 커질 것입니다.

    소고기 1kg에 평균 10만원할 날이 머지않았습니다.
  • 답댓글 작성자 백인대장 작성시간23.09.25 신룡기2 수자원과 식량은 가장 큰 전략 자원이지요..
  • 답댓글 작성자 델카이저 작성시간23.09.27 그래서 표토층 관리가 매우 중요한데, 한국은 그 부분에서도 굉장히 헬입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

    태풍에 장마 치면 애써 가꿔놓은 표토층이 증발하거든요. 필사적으로 논 농사를 도입했던 이유 중에 하나가 여름에 표토층 보호하기 수월하다는 점도 있었을 겁니다.
  • 답댓글 작성자 ▦무장공비 작성시간23.09.27 델카이저 여름철 집중폭우의 위력이지요ㅡㅡ;;

    대신에 오히려 타지역에서는 골치아픈 염화현상이 없긴 합니다만
  • 작성자 heidegger 작성시간23.09.25 토질이 안좋아서 비료가 농사에 필수적이군요
  • 작성자 델카이저 작성시간23.09.27 뭐... 인프라 지을 돈이 없지도 않고... 싸게 뽑느냐의 관건이지 한국이 식량 자급을 걱정할 상황은 아니라고 봐요..

    지금도 돈 되니까 참치도 양식 중입니다. 방사능 때문에 수산물 가격 치솟으면(아니 폭락할려나..ㅋㅋㅋㅋ) 육상 양식 같은 거 돌릴 겁니다.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
카카오 이모티콘
사용할 수 있는 카페앱에서
댓글을 작성하시겠습니까?
이동시 작성중인 내용은 유지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