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ROME: Academy

[심심해서 해석해보는 RS!!!] Roman evocatii // Roman Legionary // 참고

작성자로마시민|작성시간10.12.17|조회수710 목록 댓글 5

기말고사를 패망하고 우울한데 집에와서 텍스트나 해석하고 있는 제모습을 보며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제가 왜 이러고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ㅅ- 크크

 

 

저번 주제는 페르가몬이었고

이번부터는 마리우스 개혁 이후의 로마 군단병들을 알아보려 합니다.

마이너(?) 팩션에 대해 알아보자는게 본래 취지여서 죄송합니다만ㅋㅋ 본인이 워낙 로마 빠돌이라 로마로만 플레이하는데

RS모드의 엄청나게 디테일한 군단병들을 보며 제가 진행하는 팩션부터 알아보기로 방침을 급선회 했습니다 양해부탁드립니다ㅋㅋㅋㅋ  

 

그러면 본격적으로

심심해서 해석해보는 RS!!! - 마리우스 개혁 이후의 로마 군단병편

 

 

배태랑이라는 영어단어는 굉장히 전투에 숙련된 전사들이라는 느낌을 주지만

배태랑이 한글로 해석된 노병은 느낌이 참 잉여처럼 다가오죠 ㅎㅎ

RS의 evocatii는 배태랑이 아닌 노병 ㅋㅋㅋㅋ 뭐 그럭저럭 쓸만하지만

 

Roman evocatii

 

 

무장하고 준비된 모든 로마군은 어떤 방향·시간·장소에서 공격을 받더라도 이에 맞서 싸울 수 있었다. 그는 군의 본대에서 부대에서 혹은 보병중대 안에서 또는 단독으로 싸우기 위해(다재다능했다는 뜻인 듯) (현역들과)동등하게 준비했고 건강 상태가 좋았다.

 

 

Polybius Evocatus는 로마군에서 복무기간을 다 채우고 전역을 허락받았지만 자발적으로 집정관이나 다른 사령관의 모집에 지원한 사병을 뜻하는 라틴용어다. 중요한 군대에는 언제나 상당한 수의 evocatii가 존재했다. 그리고 장군이 군사들 사이에서 인기가 높다면 그의 군기아래 모이는 배태랑은 자연스럽게 증가했다. vexillarii처럼 evocatii는 진지구축, 길 만들기, et cetera와 같은 평범한 군대의무에서 자유로웠고 군대에서 일반적인 군단병들 보다 높은 지위를 가졌다. 그들은 때때로 equites Romani와 함께 기록되기도 하며 가끔 백부장과 동일하게 간주된다.(두 경우 모두 evocatii의 높은 지위를 말해주는 예인듯) 그들은 빈번하게 백부장으로 선출된 걸로 보인다.

 

 

폼페이우스는 전날 그에게 충성했던 배태랑들에게 보상과 백부장의 지위를 약속하며 그의 휘하로 다시 들어 와라고 설득했다. 그러나 모든 evocatii들이 백부장의 지위를 가지거나 그들이 원하는 특정한 코호트(보병대)에 속할 수 있었던 것은 아니다.그러나 키케로는 evocatii를 지휘하는 Praefectus evocatorum이라는 보직이 있었음을 증명했다. evocatii 는 Domitian 황제의 침실 주위를 경호하던 선별된 젊은이들을 가르키는 용어로도 사용된다. 몇몇 역사가들은 이 경호원들이 Evocatii Augusti라는 이름으로 황제들의 직속부대로 계속 존재했던 걸로 생각했다.

 

 

 

 

 

 

 

 

Roman Legionary... 롬토시리즈에서 가장 인지도 높은 병종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ㅎㅎ

 

 

Roman Legionary(로마 군단병)

 

 

 

로마 군단병(Roman Legionary)의 등장과 함께 로마 공화정 체제는 허물어지 시작했다. 카르타고를 상대로 한 수년간의 끊임없는 전쟁은 이탈리아 시골의 젊은이들을 몰락 시켰고 경제를 파괴했고 수많은 사유지의 소유권을 혼돈 속으로 몰아넣었다. 왜냐하면 토지를 물려받거나 운영할 아들이 없었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가이우스 마리우스는 이 문제를 해결하려 했고 마리우스 군제 개혁이라 불리는 로마 군대에서 가장 극적인 변화가 이뤄졌다.

 

기원전 107년 집정관에 당선된 후 얼마 안 있어 야만족의 침략을 두려워하던 마리우스는 군사 증원이 심각하게 필요했던 당시 상황에 직면했다. 이 시기 전까지 로마군이 되기 위한 조건은 매우 엄격했다. 공화국에 봉사하는 존경받는 군인이 되기 위해서 로마 시민은 5번째 Census 등급 이상이어야 했고 3천 세스테르티우스(고대 로마의 화폐 단위; 1/4 denarius) 가량의 재산이 있어야했다. 마리우스는 자영농만 지원 가능했던 규칙을 없애면서 모병 방침을 느슨하게 했고 사회적 지위와 관련없이 모든 로마 시민들에게 군대에 지원할 수 있는 권리를 줬다. 군대에 대한 해택은 엄청났고 실직자들은 좀 더 운이 좋은(사회적 계급이 높은) 시민들과 함께 군대에 지원했다.

 

 

가난한 시민들은 정복된 땅에서 받게 될 보상에 대한 기대로 군대에 지원했다. 이 정책은 또한 새로 정복된 province의 주민들을 ‘로마화’해 이들의 불만을 줄이고 로마 공화정에 대한 봉기의 가능성을 낮췄다. 그들의 직업(군인)에 운명이 걸린 하류층 시민들에 의해 폭발적으로 수가 증가한 새로운 로마 군대는 언제나 재앙의 시기에 준비되어 있었다. 또한 군대의 양적 증가는 많은 수의 신병들을 각각의 군사작전에 투입시킬 수 있었으므로 계속된 군사적 성공을 보장했다. 비록 군대의 수가 상당히 증가 했지만 마리우스는 그의 군대 조직을 향상시키려고 노력했다. 기원전 107년 마리우스는 모병과정에서 census 자격을 완전히 무시하기로 결정했고 잠재적 군인의 재산에 대한 어떤 질문도 없이 모병했다.

 

 

이때부터 로마의 군단병 중 가난한 시민이 차지하는 비중이 컸고 이들의 전역 후의 미래는 오직 어떻게든 그들의 장군이 그들을 위한 토지분배를 이뤄내는가에 달렸다. 그러므로 병사들은 그들의 장군을 돕고자 하는 엄청나게 강한 개인적 열의가 있었다.

 

 

 

참고할만한 글

 

출처: http://kin.naver.com/knowhow/detail.nhn?d1id=5&dirId=5&docId=495171&qb=66Gc66eIIOq1sOuLqA==&enc=utf8§ion=kin&rank=5&search_sort=0&spq=1&pid=gdWA5v331y0ssc9zDK4ssv--338231&sid=TQtLrcEnC00AAFNqHD4 에서 인용

 

 

카밀루스는 로마군의 중핵인 중장보병대를 3개 대열(Hastati, Principes, Triarii)로 편성하였다. 각 대열은 마니풀루스manipulus로 나뉘어 편성되었다. 하스타티와 프린키페스는 120명 단위로 총 1200명씩, 최후미이자 예비대인 트리아리는 60명 단위로 총 600명을 편제하여 한개 군단병력을 3000명 선에서 유지하였고, 양익에는 300명의 기병대를 나누어 배치된다. 군단 총원으로 세지 않는 벨리테스(velites)들은 대열 중간에 나뉘어 배치된다.

 

 

이후 정복전쟁의 여파로 인해 시민병의 근간인 자영농민층이 붕괴하고 장기간의 원정이 필요해지게되는 시점에서, 마리우스Gaius Marius는 군단의 총원을 6000명의 군단과 그에 맞먹는 수의 보조병auxiliarius으로 구성하였다. 100명으로 구성된 백인대Centuria, 여섯개의 백인대가 모여서 만들어진 전술 단위인 대대cohort, 그리고 10개의 대대로 형성되는 전략단위인 군단Legion이 중심이 되며, 보조병 및 기병은 동맹국의 파견 병력으로 편성하게 되었다. 백인대의 장centurion은 병사들과 같은 출신의 노련한 소대지휘관으로, 대대장은 선출된 시민 중에서, 군단은 노련한 정치가(전직 집정관 또는 전직 법무관 급의)의 지휘를 받았다. 군단의 중핵인 중장보병은 투창pilum과 방패, 히스파니아에서 도입된 근접전에서 사용하는 짧은 검gladius으로 무장하였으며 기병, 투석병, 공성병은 보조병으로 편성되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로마시민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10.12.18 흠 오른쪽이 잘리네요 어캐 해야하져 ㅎㄷㄷㄷ
  • 작성자로마시민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10.12.18 이제 고쳐졌네요 ㅎㅎ
  • 작성자개념망치 | 작성시간 10.12.18 베테랑이 그냥 군단병보다 능력치가 떨어지고 귀갑진형도 못하고-_-;;
  • 답댓글 작성자코쟁이22 | 작성시간 10.12.18 연로하신 분들이라... ㅋㅋㅋ
  • 작성자김도롱 | 작성시간 13.07.08 RS2에서 마리우스개혁 어떻게하나요?ㅠㅠ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