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MTW1:고수가 되자!

[전투초급][도리]의 메뉴얼 ^^v -부대특성-

작성자도리도리까꿍|작성시간03.06.02|조회수7,058 목록 댓글 18
부대구성이 얼마나 중요한지는 겜을 오래 하신 분일 수록 잘 아실겁니다... 기병가지고 창병에게 돌격 하는거 만큼 멍청한 일도 없습니다... 손자 병법에도 적을알고 나를 알면 100전 100승이라 했습니다... 때문에 기본적이면서도 유념해야 할 부대 구성에 대해 적어 보겟습니다.

군사 유닛을 크게 분류한다면 기병, 궁병, 창병, 보병으로 나눌수 있습니다.

좀더 세분화 시키면
기병은 궁기병, 경기병, 중기병으로
궁병은 활(롱보우포함), 크로스보우류, 파피스류으로
창병은 장창병, 기병특화병(헬버트창병,미늘창병등)
보병은 경보병, 중보병, 도끼병

어디까지나 이건 제가 분류한 겁니다... 제가 부대 구성을 하기위해서 기준을 정한거죠... 이제 각 특징을 볼까요 ^^

궁기병 -> 궁기병의 용도는 전초전과 후방 교란 패퇴하는 적의 추적입니다.
방어전시 보면 적은 절대 우리 정면으로 공격 않할 겁니다. 이때 적을 우리 정면으로 유인하는게 궁기병의 역활이죠., 반대로 공격시에는 적은 절대 측면을 우리 본진에게 노출 시키지 않으려 합니다. 이때 궁기병으로 살짝 살짝 건들어 주면 적은 모두 움직이지 않고 부분적으로 진형이 무너 집니다. 이럴때 본진을 움직이면 적의 전채적인 밸넌스가 무너지는걸 보실수 있습니다.
궁기병이 우월이라 볼수 있는 병과는 경보병과 궁병입니다... 그외 모든 병과에 대해서는 후방교란의 임무를 수행해야만 합니다.

경기병 -> 전면전일 경우는 빠른이동속도와 차지 능력을 이용한 치고 빠지기 전술을 후방 교란시에는 빠른 이동후 진형을 갖추고 일제 돌격에 이은 전선 붕괴를 조장 할수 있습니다.
경기병이 제일 많이 활약하는 것중의 하나가 적의 궁병을 처리하는 일입니다. 빠른 이동으로 적이 도망 가기 전에 차지로 대단위 사상자를 내고 내빼는 거죠 그리고 전초 전으로 적의 측면의 보병에게 돌격해서 차지 공격후 엉키기 전 후퇴로 치고 빠지기 전술등입니다. 후방 교란시에도 진형을 갖추고 후방 돌격시에는 엄청난 사상자를 내기 때문에 한번에 전선 붕괴를 조장 할 수도 있습니다...
경기병의 우월이라 볼수 있는 것은 경보병과 궁병, 중보병에 대해서는 차지 공격의 치고 빠지기 그외 모든 병과에 대해서는 후방교란의 임무를 수행해야 합니다.

중기병 -> 창병을 제외한 모든 병과에 대해서 절대적 위협의 존재입니다. 전면전및 후방 공격 모두에서 효율적인 전술 운용이 가능 하기 때문에 승패의 열쇠를 쥔 병과라 할수 있습니다. 전성기 보병기사의 경우는 말에서 내리면 중보병에 기병특화와 무장보나스 까지 걸리기 때문에 전면에서 이 병과를 이기기는 엄청 힘듭니다.
중기병은 적의 창병과 기병에 대한 특화병과만 조심한다면 무적에 가까운 능력을 발휘합니다... 중기병 중에는 말에서 내려서 보병기사로 활동할수 있는 유닛도 있기 때문에 적의 구성에 따라서 탈력 있는 전술 운용도 가능 합니다.

활궁병 -> 솔직히 터기의 궁병과 몽고의 궁병, 영국의 롱보우병을 빼고는 궁병의 역활이 두둘어 지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쓰기에 따라서는 엄청난 효과를 불러 일으킵니다. 고지전의 경우 높은 곳에서 화살을 쏴대면 올라가는 입장에서는 죽을 맛입니다. 활궁병의 특성상 곡사로 나가기 때문에 앞에 어느정도 장애물이 있어도 목표물을 향해서 화살이 비오듯 날아 갑니다...
활궁병은 절대 우위라 할수는 없지만 상대적우위(장거리 공격)을 잘만 이용하면 큰 효과를 거둘수 있습니다... 초반에 화살 공격으로 적의 부대를 유인할수 있고, 적 패주시에 적의 진입로에 깔아서 적 진입시 바로 패주 시킬수도 있습니다...

크로스궁병 -> 크로스 보우는 활궁병 보다도 사정거리가 짧기 때문에 아발레스트를 보통 사용합니다. 활궁병과 비슷한 전술로 운용하지만 직사무기 이기 때문에 정면에 장애물이 많다면 효과가 떨어집니다. 활궁병과 다르게 연사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전투 종반까지도 지속적인 후방 지원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단기전으로 싸운다면 느린연사는 오히려 방해가 되무로 보통 활궁병을 사용하거나 혼용으로 사용하는 추세입니다.
활궁병과 마찬가지로 상대적 우위를 이용한 공격을 해야 하고 부수적으로 무장상태가 좋기 때문에 적부대 진격의 지연용으로도 쓰입니다.

파피스궁병 -> 크로스궁병에 방패를 든격인데 화살공격에 대해서 일정 확률로 팅겨내는 효과를 가집니다... 적이 화살 부대가 많을때 엄청난 효과를 발휘하는 병과로 보통 한부대를 앞에 보내서 적의 화살 받이로도 쓰입니다...

장창병 -> 장창병은 기병상대와 전선 유지에 쓰입니다.. 장교정도의 창병이면 어느정도 보병에대해서도 방어가 가능 합니다. 망치와 모루 전술 운용시 모루의 역활을 수행하며 적보병의 진격 지연, 기병에 대한 공격에 쓰입니다.
장창병은 기병에 대해서 우위에 스며, 무장상태가 올라갈수록 보병에 대해서도 방어시 큰 효과를 발휘합니다. 도끼병류에 대해서 특히 약하므로 될수 있으면 도끼병과는 피하는게 좋습니다.

기병특화병 -> 기병에게 있어서 창병보다 무서운 존재 입니다... 일단 기병 특화병에게 기병이 얽히면 너무 순식간에 기병이 죽어나가기 때문입니다... 또 기병특화병은 대게 도끼병과의 옵션이 붙기때문에 창병에 대해서도 효과적인 공격이 이루어 지고 무장 상태도 좋습니다.
기병특화병의 우위는 기병에 대한 절대적 우위 창병에 대한 우위 입니다.. 보병에 대해서는 어느정도 전선 유지가 돼지만 될수 있으면 보병과는 단독으로 싸우게는 하지 않는게 좋습니다...(단, 기병의 차지 공격에 대한 치고 빠지기 공격은 주의해야 합니다. 이하 기병방어에 대한 보너스가 없는 병과는 모두 이게 적용됩니다.)

경보병 -> 빠른 이동력을 가진 보병으로 무장상태가 좋지 않기 때문에 약간 컨트롤에 신경을 써야 합니다... 기병 부재시 적 후방 공격을 담당하지만 기병이 생산되면 거의 쓰지 않는 병과가 됩니다. 단, 사막전시에는 중무장한 병과는 엄청난 패널티를 받기 때문에 사막전용으로 편성 돼기도 합니다.(중무장병과는 사막전시 가만 있어도 피로도가 싸입니다.)

중보병 -> 전투의 핵으로 부대 전면에서 활약 합니다... 중무장과 적절한 공격력으로 유능한 장수가 지휘할때 그 진가가 톡톡히 발휘 됩니다. 창병류가 낫은 사기로 잘 도망 가는데 반해 어느정도 불리한 상황에서도 잘 싸우기 때문에 공격과 수비에있어서 빼놀수 없는 유닛입니다. 또, 창병이 없고 적이 기병이 많더라도 숲에서 싸우면 기병보다도 무서운 전투력을 보입니다.
중보병은 창병에 대한 우위 기병특화병에 대한 어느정도 우위, 궁병에 대한 절대 우위, 경(궁)기병에 대한 어느정도 우위를 보입니다.

도끼병 -> 무장부대에 대한 보너스가 붙은 병과로 전면전시 적 창병을 주된 목표로 돌격하게 됩니다... 정면에서 빠른 전선 붕괴를 조장할수 있고 숲지역에서는 중보병 보다도 기병에 대해서 더 효과적인 공격이 가능 합니다. 단 대게의 도끼병은 양날의 칼처럼 공격력이 좋지만, 느리거나 방어력이 않좋기 때문에 주력으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도끼병은 창병에 대한 절대우위 기병특화병에 대한 어느정도 우위, 궁병에 대한 절대 우위, 숲지형에서는 기병에 대해서 우위를 보입니다.

이상 각 병과의 특징입니다.... 힘들군요 ㅡㅡ;.. 1시간 넘게 쓴글입니다... 여러분에게 많은 도움이 돼길 바라구 유익한 정보가 있으면 아래 꼬리말 달아주는거 잇지 마세요 ^^v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호예 | 작성시간 04.07.19 정말 많은 도움이 됬습니다^^
  • 작성자체계적으로 | 작성시간 04.08.28 감사히 잘봤습니다
  • 작성자챠미리카 | 작성시간 04.10.13 좋은 글 정말 도움이 많이 되었네요 감사드립니다
  • 작성자kaede | 작성시간 05.04.09 사소한 문제 지적=잘난척이란 공식이라...
  • 작성자바티스타는 | 작성시간 07.01.18 좋은글 감사합니다 정말 좋았어요~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