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댓글

뒤로

The Korea project 56, 57 - 낙랑, 대방의 몰락

작성자Btomato| 작성시간12.11.19| 조회수564| 댓글 18

댓글 리스트

  • 삭제된 댓글입니다.
  • 답댓글 작성자 Btomato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12.11.19 쨔읗..
  • 작성자 코쟁이24 작성시간12.11.19 아, 저기 낙랑이 있군요. 좋은 단백질 공급원이죠.
  • 답댓글 작성자 Btomato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12.11.19 맛있군요.
  • 작성자 Panda™ 작성시간12.11.19 너무 급작스러운 전개에요 ㄷㄷㄷ
  • 답댓글 작성자 Btomato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12.11.19 나라가 망하는데 루즈함이 있나훃 ~ㅅ~)/
  • 작성자 아바루나 작성시간12.11.19 음......전... 전개가 낙랑공주와 호동왕자이야기는 나오고 끝나는줄;;;
  • 답댓글 작성자 Btomato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12.11.19 그 낙랑'국'과 이 낙랑'군'은 전혀 다른 나라입니다. ㄷㄷ
  • 작성자 SteelCan 작성시간12.11.19 구려야 이렇게만 자라다오 ㅋㅋㅋ 구려 얼굴이 많이 동글해졌네요 ㅎㅎ
  • 답댓글 작성자 Btomato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12.11.19 마치 동그랑땡과 같이.... 'ㅠ')
  • 삭제된 댓글입니다.
  • 답댓글 작성자 Btomato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12.11.19 드디어.. ㅇㅅㅇ)
  • 작성자 밸틴1 작성시간12.11.22 Adios Amigos. Pero...--->보충설명: 미천왕때 낙랑, 대방을 먹어버린덴 여러 이유가 있지만, 왜 하필 314년에서야 먹었을까. 이유인 즉. 중국본토가 아수라장 되어 고구려가 뜯어먹기 좋은 상태가 되었기 때문입니다. 실제 진나라는 311년 터진, 영가의 난이란 이름으로 불린 흉노족 반란으로 망해버립니다. 그로 부터 바로 몇달뒤 미천왕은 이전과 달리 약탈이 아닌 정복을 목적으로 낙랑군을 쳤고, 다음에는 처음으로 대방군까지 직접 공격해서 314년 정복을 완료합니다. 그리고는 바로 다음해 현토성을 접수하고 더 나아가 요동까지 완전히 장악을 하게 됩니다...만, 요동에서...뭥미...모용선비애들때문에 요서, 중원가는 길을 놓칩니다!
  • 작성자 밸틴1 작성시간12.11.22 미천왕의 생각은. 311년이래 유목민들이 너도 나도 중원에서 한몫잡아보자고 날뛰는 상황에서, 고구려의 국익을 위해 낙랑, 대방, 현토, 요동을 점령한뒤 여세를 몰아 서방으로 진출하자는 거였는데, 결국은 모용선비때문에 다 틀어져버렸습니다. 한편 미천왕에게서 사실상승리를 거둔 모용선비는 이후 제대로 기회를 잡아 중원에서 자신들만의 나라를 건설합니다. 이후 모용선비와 고구려는 원수지간으로 치달았고, 이때문에 모용선비의 미천왕릉 도굴, 고구려의 전진과의 동맹, 광개토태왕과 후연의 전쟁이 벌어지게 되었습니다.
  • 작성자 밸틴1 작성시간12.11.22 미천왕의 낙랑정복동기는 한국과 중국측 기록의 연표만 대조해봐도 쉽게 알수 있는 사실입니다. 때문에 종래까지의 견해.-미천왕이 낙랑을 정복함으로써 한반도에서 외세를 축출하였다는 견해는 지극히, 기록에대한 기본적인 분석조차 결여된 잘못된, 민족주의적 생각의 산물이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 작성자 밸틴1 작성시간12.11.22 솔직히...낙랑, 대방이 이렇게 빨리 퇴장할 줄 알았다면 진작에 말씀드릴걸 그랬다는 생각이 듭니다. 하지만 그렇지 않았기 때문에, 의도치 않게 만화에 보탬이 못됐단 점에서 좀 죄송스럽습니다. 추가로. 위의 첫번째 댓글에서 설명한 내용들은 전에 추천해드린 [광개토태왕의 위대한 길]에 전부 수록되어있습니다. 그리고 [네이버 캐스트-미천왕편]에도 같은 내용이 수록되어있으니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댓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작성자 밸틴1 작성시간12.11.22 아. 추가로. 낙랑과 대방은 망했지만, 그 주민들은 이후 100년간 계속된 고구려, 백제의 갈등의 핵심에 서있습니다. 백제, 고구려 모두가 국가발전을 위해 평양의 앞선 문물, 기술자, 농경지를 서로 노리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사실 불교를 받아들인 것도, 중원의 영향으로 불교를 많이 믿고 있던 낙랑 대방인들을 끌어들이기 위한 조치였다고 합니다. 일본에 문물을 전한 왕인도, 일부의 학자들에 따르면 이들 낙랑계 주민의 후예란 견해가 있습니다.
  • 답댓글 작성자 Btomato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12.11.22 밸틴씨가 죄송하다고 할 이유가 없습니다. 이 만화작업에 직접적으로 참여하는 일원은 아니시니 사과를 하실 이유가 없습니다. 그리고 아직도 역사견해는 학계와 나라마다 서로 다르고 '완전히 정확하게' 밝혀진 것도 거의 없고 단정지어지는 정도니까요. 이 만화는 역사전문가들의 입맛에 맞춰진 '아주 세밀한' 만화가 아닙니다. 캐릭터를 이용한 것으로 역사를 어려워 하는 사람에게 그나마 쉽게 다가가기 쉽게 고안된 것이니까요. 저도 전문가가 아닌 이상... 말씀은 참고하겠습니다.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
카카오 이모티콘
사용할 수 있는 카페앱에서
댓글을 작성하시겠습니까?
이동시 작성중인 내용은 유지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