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략 폭격의 역사 (41) 독일 하늘을 뒤덮는 하얀 별 Part.1 사자의 복수 -루르 전역-

작성자Venice의 선원|작성시간11.12.10|조회수851 목록 댓글 7

1940년부터 1941년까지 영국본토가 신나게 두들겨 맞는 동안 공세적 입장이었던 영국 폭격기 사령부는 독일 본토에 야간 공습을

 

하며 소외 받았었습니다. 하지만 전황이 달라져서 1942년말이 되면 아프리카 전선에 미군이 상륙하면서 아프리카 쪽에서 대반격

 

을 시작하고, 1943년 2월 소련군이 독일군 제 6군을 스탈린그라드에서 괴멸시키며 대반격에 나서자 영국 또한 그동안 미뤄두었던

 

반격에 나서기 시작합니다. 특히 소련의 스탈린은 영국과 미국에게 빨리 유럽쪽에 전선을 마련하여 독일군을 양동으로 공격하길

 

바랬습니다.

-스탈린그라드에서 포로가 되 끌려가는 독일군, 독일은 여기서 85만명을 잃었고, 소련은 125만명을 잃었다고 합니다-

-나치 독일의 몰락이 시작되는 전투였죠-

 

영국은 그 전에 영국 본토가 독일에게 폭격당한것을 잊지 않고 있었습니다. 영국은 이에 그동안 소외받던 폭격기 사령부의 예산을

 

다시 늘려서 폭격기를 생산하기 시작했고, 미 제 8공군과 함께 독일의 산업기반을 박살내기로 마음먹습니다. 1942년 2월에 폭격기

 

사령관으로 취임한 아서 해리스 원수는 그동안 해이해져있었던 영국 폭격기 사령부를 다시 일신하고 신형 폭격기인 랭카스터

 

폭격기를 대량으로 주문하여 독일 본토에 대한 공습을 착착 준비하고 있었습니다.

 

 

-영국 폭격기 사령관 아서 해리스 원수 어디서 이름 많이 들어보셨죠?-

 

 

-영국의 주력 4발 중폭격기 아브로 랭카스터, 연합군 폭격기중 제일 많은 폭장량(9t)을 자랑했습니다-

 

아서 해리스 원수는 무자비한 전략폭격을 주장하던 사람으로 유명했는데 그가 1942년 폭격기 사령관에 오르자 1940년 대 독일

 

공습에 동원된 폭탄은 5000t 남짓이었는데 그가 오르자 마자 보복폭격을 실시해서 거의 매일밤 독일 서부지방에 폭탄이 떨어지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그는 지역폭격이라는 새로운 단어로 폭격을 명령했는데 즉 산업시설 공습의 경우, 산업시설이 위치한 공장

 

뿐만아니라 그 공장을 지탱하는 사람들이 사는 주거 지역까지 폭격하라는 명령을 내린것입니다. 그는 특히 대규모로 폭격을 하는

 

것을 주 전략으로 삼았는데 심할때는 하룻동안 1000여대의 폭격기를 동원하여 폭격하던 적이 있었을정도로 독일에게 있어서

 

해리스는 악몽과도 다름 없었습니다. 그리고 미 8공군이 영국에 도착하자 고성능 B-17이 주간폭격에 합류했고, 이는 독일에게

 

있어서 대 재앙과도 같았습니다. 영국과 미국은 이제 새로운 타겟을 정했는데, 그들이 정한 곳은 독일산업의 핵심지역인

 

루르 지방이었습니다.

-독일 루르지방의 위치입니다, 현재 노스 라인 베스트 팔렌 주에 속해 있습니다-

 

이곳은 독일 산업의 10~20%를 차지할 정도로 산업시설이 몰려 있는 지역이었는데 라인강 지류인 Möhne강과 여러강에 건설된

 

댐의 수력발전을 바탕으로 에센시에는 크루프 사의 공장과 석유 정제 공장 그리고 뒤셀도르프에 라인메탈사의 공장이 존재했습

 

니다. 그리고 이 루르지방에서 쾰른까지 이어지는 지방을 루르-라인지방이라고 했는데, 독일 산업의 핵심지대나 다름없었습니다.

 

 

-독일도 이때까진 아직 할만했습니다만.......-

 

당연히 미국과 영국은 이곳을 가만히 두려 하지 않았습니다. 1943년 3월부터 미국과 영국은 루르 공습을 시작합니다. 그리고

 

3월 5일 밤 영국의 폭격기 400여대가 에센시를 폭격하는것을 시작으로 무려 5개월동안 미국과 영국은 이 지역을 공습하기

 

시작합니다. 3~4월동안 영국의 폭격기는 야간에 에센을 비롯해 그 지방의 주거지역 및 산업기반을 공습했습니다. 그리고

 

그 결과는 끔찍했죠.

 

 

-끝없이 날아오는 연합군의 폭격기-

 

이동안 영국군 폭격기 사령부는 무려 10만회의 폭격기 출격으로 나치 독일을 밤낮으로 괴롭혔습니다. 결국 이 지방은 거의

 

황폐화 되었고, 독일 산업능력의 중추였던 이곳의 타격으로 독일 산업 생산량이 급감하기 시작합니다. 유명한 크루프 사의

 

생산도 중지되었고, 1942년 기존의 2배로 늘렸던 철강생산이 1943년에는 전년대비 20%증산 밖에 안되었을정도로 영국의 공습은

 

무시무시했습니다.

 

 

-폭격으로 희생된 학생들을 바라보는 선생의 시선에서 슬픔이 느껴집니다......-

 

 

-1000여대의 폭격기가 몰려왔던 쾰른 대공습, 대성당 주위에 폐허가 된 모습이 보이십니까?-

 

이 전역 작전중에서 최고로 꼽히는 작전은 바로 작전명 징벌(Operation Chastise)였습니다. 영국군은 계속되는 공습에 독일군과

 

시민들이 겁을 먹고 포기하길 바랬는데, 독일공군은 야간 전투기부대를 새로이 창설하여 반격에 나섰고, 특히 세계제일의 방공망

 

을 자랑하던 독일방공부대에 의해 영국공군도 생각보다 피해가 컸었습니다.

 

 

-독일의 방공망은 세계제일!!!! 하늘을 향해 불뿜는 88mm대공포 이거에 걸리면 B-17이든 랭카스터든 한방이었습니다-

 

그리고 독일시민들도 똘똘 뭉쳐서 폐허와 일터를 복구했기에, 계속 같은 곳을 폭격해야하는 부담을 영국공군과 미국공군은

 

안고 있었습니다. 결국 영국공군은 이 지방에 전력을 차단하여, 일하고 싶어도 일할수 없게 만들자는 결론에 도달하게 됩니다.

 

그리고 루르지방의 5개의 댐(메네(Möhne)댐, 에델(Eder) 댐, 조르페(Sorpe) 댐, 리스텔(Lister) 댐, 스첼름(Schwelm) 댐)

 

을 공습으로 파괴하겠다는 대담한 계획을 짜기 시작합니다. 하지만 독일도 이 댐 주변에는 어마어마한 대공포 부대를

 

배치 시켜놓았고, 특히 댐을 공격하려면 일반 폭탄으로는 어림도 없고-그 강한 수압을 버텨내려면 어마어마한 두께의

 

강철콘크리트로 되어있는 구조물이라서-댐의 중심부를 공격해야하는데, 독일군은 영국군의 어뢰공격에 대비해 미리

 

몇겹의 강철 그물로 댐 주변을 보호하고 있었습니다.

 

 

 

-이에 등장한 영국공군의 비밀무기! 업킵이라 불리웠던 폭탄입니다-

 

-둥글게 생긴 폭탄-

 

이 업킵 폭탄은 마치 물수제비처럼 물 수면을 통통튀게 만들어졌고, 폭격기 하부에 미리 이 폭탄을 회전시키는 장치를

 

달아두어서 고속으로 이 폭탄을 회전시킨후에 수면에 투하하면 강철그물을 피해 댐 가까운곳으로 향하고 댐 구조물에

 

부딪히면 바로 그 댐 구조물을 따라 가라 앉아 폭발하여, 댐 중심부에 구멍을 뚫을 수 있었습니다. 1943년 3월말 최정예

 

영국 폭격기 조종사들이 모여서 이 특수 폭탄을 이용해 댐을 폭파시키겠다는 작전이 시작됩니다. 그들은 랭카스터 폭격기를

 

조종하여 초저공으로 나는 방법을 숙달했습니다. 그리고 두달후 5월 16일 드디어 작전이 실행되었습니다. 제 1의 목표는

 

루르지방의 산업용수의 75%를 담담하고 있던 메네(Möhne)댐과 그보다 더 큰 규모의 에델(Eder)댐으로 결정되었습니다.

 

총 19기의 랭카스터 폭격기가 이 작전을 위해 동원되었고, 9기, 5기, 5기로 나뉜 편대는 5월 16일 밤 하늘을 날아

 

올랐습니다. 제일 먼저 출발한 9기의 폭격기들은 예상외의 강풍을 북해에서 만나 항로가 틀어졌고, 원래 예정되었던

 

항로서 벗어나 네덜란드 지방을 통해 루르지방을 향해 날아갔습니다. 그들은 곧 독일 대공포망에 걸려들었고, 대공포들이

 

불을 뿜었습니다. 하지만 이 랭카스터 폭격기들은 초 저공비행을 하고 있어서, 자체 방어 무장인 기관총으로 반격했다고

 

합니다. 다행히 별피해 없이 이 대공포망을 통과한 폭격기들은 목표지점 근처에 다와서 첫번째 희생자가 납니다. 바로

 

한기의 폭격기가 초저공 비행을 하던중에 전선에 걸려 추락했고, 추락하면서 포탄이 터지는 바람에 모든 승무원들이 전사

 

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메네댐에 도착한 랭카스터 폭격기 8대는 곧바로 이 특수 폭탄을 이용한 작전에 돌입합니다.

 

 


-1대의 1개의 폭탄밖에 적재하지 못하였으므로, 이들은 신중에 신중을 기했습니다.-

 

무려 4번의 공습이 이어졌지만, 메네댐은 건재했고, 오히려 마지막에 폭탄을 투하한 기체는 대공포에 맞아 기체가

 

흔들리던 와중에 폭탄이 투하되어, 폭탄의 폭발에 휩쓸려 추락했을만큼 위험한 작전이었습니다. 하지만 물속에서

 

4번이나 폭탄이 폭발하는 바람에 댐 안쪽에 균열이 생겼고, 마지막 5번째 공습때 정확히 댐구조물 바로 안쪽에서

 

폭발한 이 업킵폭탄의 폭발력으로 메네댐은 결국 무너지면서 저장되어있던 1억5천만입방미터의 물이 한꺼번에 쏟아지기

 

시작했습니다.

 

 

-박살나 버린 메네댐-

 

이 공격대를 이끌던 깁슨중령은 환호성을 지르며 좋아했고, 이미 폭탄을 투하한 4기-1기는 추락-에게 귀환명령을 내리고

 

남은 3기의 폭격기를 이끌고 두번째 목표인 에델댐으로 향했습니다. 에델댐은 깎아지를 듯한 절벽사이에 위치하고 있어서

 

대공포부대가 주둔할수 없었고, 이에따라 메네댐보다 수월하게 공격할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댐구조물을 노리기 위해서는

 

좀 더 복잡한 비행기동이 필요했고, 이는 오히려 메네댐보다 성공이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었습니다. 첫번째 댐버스터

 

공격은 실패했고, 두번째 기체도 공격도중 폭탄의 후폭풍에 휘말려 추락했습니다. 하지만 마지막 세번째 공격은 제대로

 

적중했고, 2억 입방미터의 저수량을 자랑했던 에델댐도 무너져 내리기 시작합니다.

 

 

-박살이 나버린 에델댐-

 

이 작전의 두개의 댐을 폭파시키는 것으로 끝났습니다. 나머지 댐들은 공격이 모두 실패했고, 아쉽지만 영국공군은 제일

 

큰 두개의 댐을 파괴했다는 것에 만족해야만 했습니다. 19기의 폭격기중 8기의 폭격기가 돌아오지 못했을정도로 위험한

 

작전이었기에 영국공군은 이를 지휘한 깁슨중령에게 최고훈장인 빅토리아 훈장을 수여하며 그의 공적을 치하했습니다.

 

-깁슨중령(왼쪽에서 두번째)를 찾아와 치하하는 영국국왕 조지6세(깁슨중령 왼쪽)-

 

이 작전의 결과로 메네댐과 에델댐 하류에 홍수가 일어나 강연안에 있던 집과 농장들이 침수되었고, 특히 에델댐 및에

 

있던 소련군 포로수용소의 피해가 컸는데, 무려 1300명의 사상자중 절반이나 나왔다고 합니다. 그리고 루르지방의 산업시설

 

들이 전력공급의 차질이 빚어 기계를 멈춰야했습니다. 당시 나치독일의 군수상이었던 알베르트 슈페어는 이 끔찍한 파괴에

 

당황했지만 곧 천재적인 행정능력을 발휘하여 이 댐 공습은 독일에게 일시적인 타격밖에 주지 못했습니다.

-당시 나치독일의 군수상 알베르트 슈페어, 원래는 건축가였지만 1942년 히틀러의 명령으로 군수상이 되었습니다.-

-그는 나치독일 군수 생산을 혁신적으로 개편하여,1945년까지 버틸수 있게 만들었을정도로 천재적 능력을 발휘했습니다.-

 

전후에 그는 만일 그때 한개의 댐이 더 폭파되었다면 독일 군수시설은 마비되었을테고, 그랬다면 나치독일은 붕괴되었을거

 

라고 진술했습니다. 하지만 불행인지 다행인지, 루르 지방의 피해는 복구 가능할정도였고, 그는 대서양방벽 구축을 위해

 

파견된 기술자와 노동자 2만명을 이 메네댐과 에델댐 복구에 투입합니다. 그리고 이는 후에 있을 노르망디 상륙잔전에

 

영향을 끼치게됩니다. 그리고 이 작전이 끝난뒤 영국은 몇번의 폭격을 더 루르 지방에 시도했고, 그리고 나서 1943년

 

7월 새로운 폭격 목표를 정하고 프랑스 지방에서 경험을 쌓아 조금씩 독일본토에 주간폭격을하던 미 8공군과 연합하여

 

작전을 구상합니다. 작전명은 성경에 나오는 소돔과 고모라에서 고모라를 따와 Operation Gomorrah라 명명합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VOCALOID 時代 | 작성시간 11.12.11 정말 잔혹하군요...노동자들이 있던 곳 까지 폭격하다니...
  • 작성자centurion | 작성시간 11.12.11 북한이 한국전쟁때 무지막지한 폭격때문에 트라우마가 생길 정도였다는데 독일도 마찬가지였겠죠?
  • 작성자Che_GueVaRa | 작성시간 11.12.11 아서해리스가 지역폭격 하기 전의 폭격방식이

    명중률이 끔찍할 정도로 안습이었다고 하더군요.
    목표 반경 1마일 안에 도달한 폭탄이 쏟아부은 폭탄의 5%미만이었다고 하던가?
  • 작성자기러기 | 작성시간 11.12.11 ㄷㄷㄷㄷㄷㄷ
  • 작성자안세 | 작성시간 17.01.02 슈페어찡이 나왔쪄염 뿌우'o'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