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cjs5x5의 штрафбат

[오..누네띠네]2023.07.25. 미 국무부 언론 브리핑 中

작성자cjs5x5|작성시간23.07.27|조회수92 목록 댓글 0

오늘 다시 미 국무부 홈페이지에 들어가보니 이제는 접속이 원활했습니다. 그래서 다시 국무부 브리핑으로 돌아왔습니다.

 

어제자 7월 26일 브리핑도 있었는데 제가 보기에는 딱히 눈에 띄는건 없었고, 7월 25일자 브리핑이 분량도 길고 시사점도 많은듯 하여서 7월 25일자 브리핑을 골랐습니다.

 

언제나 그렇듯이 번역에 태클걸어주시면 오히려 대환영입니다!

(사실 태클걸리길 바랄 지경입니다. 그래야 생산적일테니까요.)

-

https://www.state.gov/briefings/department-press-briefing-july-25-2023/

Vedant Patel. 미 국무부 수석 부대변인

 

 

1. 월북한 킹 이병은 지금 어떤 상태인가?

 

QUESTION: — recorder going. Thanks. Let’s just start – I just want to make sure that it’s still correct that you have not heard anything back from the North Koreans about Private King.

 

MR PATEL: That is correct. As Matt indicated yesterday, the – getting an assertation of his well‑being continues to be a high priority, and we continue to be in close coordination with the White House and the Department of Defense and throughout the interagency, but I don’t have any new updates beyond what Matt shared yesterday.

---> 7월 24일자 미 국무부 브리핑에서 기자인 Matt은 북한으로부터 King 이병에 관련된 응답을 기다리는 것외에 다른 옵션은 없는지 질문하였고, Mattew Miller 미 국무부 대변인은 다양한 채널을 통해 접촉을 시도하고 있으나 자세한 디테일은 밝히지 않겠다고 답변한바 있습니다.

 

---> 그래서 Matt은 7월 25일자 브리핑에서도 King 이병에 관련된 사항에 새로운 사실이 있는지 질문하였고, Vedant Patel 수석 부대변인은 새로운 사실이 없다, 킹 이병의 상태에 대해서도 알고있지 못하다고 답변한 겁니다.

 

QUESTION: Okay. And just to make sure that everyone understands, that means you don’t know if he’s in custody, you don’t know if he’s alive, you don’t know what – and if he is alive, if he’s – what his condition is?

 

MR PATEL: That is correct. Those are among the litany of things that we do not know.

---> 사실관계를 정리해드리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주한미군인 Travis King 이병은 징계처분 도중에 미국으로 소환될 예정이었으나 JSA를 통해 월북하였습니다.

 

현재 미국은 킹 이병에 대한 사안으로 북한과 접촉하고 있으나 북한측에서는 별다른 반응을 보이고 있지 않습니다. 이 사건이 앞으로 어떻게 작용할지는 지켜봐야 할 듯 합니다.

https://www.voakorea.com/a/7189620.html

-

 

 

2. 북한 '전승절' 70주년. 그리고 러시아 및 중국의 고위급 인사들의 방북.

 

QUESTION: Just to stay on North Korea.

 

MR PATEL: Sure.

 

QUESTION: The Russian defense minister is planning to visit. I think some Chinese will go to mark Victory Day. Do you have any, like, specific – any concerns about those countries at a time like this kind of showing some support for Pyongyang?

---> 일단 사실관계부터 정리해봐야 겠습니다. 오늘 7월 27일은 북한의 '전승절' 70주년입니다. 이에 맞춰서 중국은 부총리급인 리훙중 전인대 상무위 부위원장이, 러시아는 쇼이구 국방장관이 방북하였습니다. 그리고 러시아와 중국의 방북 대표단 모두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면담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아마도 저녁쯤에 관련 뉴스가 뜰거 같습니다.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7733801 

 

 

MR PATEL: Well, this – it goes back to an issue that we have raised a number of times before. Both Russia and the PRC have a potential role they can play, including through the auspices of the UN Security Council, in which they can use their influence over the DPRK to encourage them to refrain from threatening, unlawful behavior, behavior that will not just incite tensions in the immediate region but also the region broadly. And they also have a potential role to play in encouraging the DPRK to return to the negotiating table. The United States’ point of view on this has been quite consistent, which is that we are open to meeting with Pyongyang without preconditions, and we continue to have a commitment for the complete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 이러한 상황에 대해서 Vedant Patel 미 국무부 수석 부대변인은 러시아와 중국은 북한의 위협적이고 불법적인 행태를 부추길 수도 있지만, 반대로 북한을 협상 테이블로 돌려보낼 수 있는 역할도 할 수 있음을 말했습니다. 우크라이나 전쟁을 둘러싸고 북중러 연대가 강화되어, 3국이 미국과의 대립구도를 강화하는 속에서 수석 부대변인은 중국과 러시아로 하여금 북한을 부추기지 말라고 요청한 셈입니다.

 

---> 그리고 미국의 북한에 대한 입장은 변하지 않았다고도 첨언하고 있습니다. 미국은 북한과의 조건없는 대화에 열려있으며, 한반도 비핵화에 대한 공약을 계속 유지하고 있다고 말입니다.

-

 

 

3. 중국의 외교부장 교체.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중대화는 지속될 것인가?

 

QUESTION: — the Chinese foreign minister, they’ve announced that he’s been replaced by his predecessor Wang Yi. There was supposed to be a visit of Qin Gang to Washington that was in the works. Could you tell us about those discussions? Did they get anywhere? And I guess to put a final point on it, does the U.S. consider that the visit that was being discussed is a visit of the Chinese foreign minister no matter who that is?

 

MR PATEL: So, Simon, let me say a couple things. First, it is up to China to decide who their foreign minister is. As you know, Secretary Blinken has met with Wang Yi on multiple occasions, including on his most recent trip to Jakarta as well as while he visited Beijing prior to that. We will continue to engage with Foreign Minister Wang Yi and other Chinese officials, and we continue to believe that keeping lines of communications are incredibly important. And it’s an important avenue to manage this relationship responsibly, which is something that the international community expects of us.

---> 어제 제가 미 백악관 브리핑에서 소개드렸다시피 중국은 알 수 없는 이유로 친강 외교부장을 경질하고 왕이 외사판공실 주임에게 외교부장직을 겸직시켰습니다.

 

As it relates to any potential travel, Simon, I am not going to get specific – get into specifics. What I will just reiterate is that at the conclusion of almost every U.S. official’s visit to the PRC, they have reiterated that there is an expectation that we will continue to see high-level engagement with travel from both sides of the Pacific, and we continue to expect that to be the case. I don’t have any finite travel to announce, and it would – ultimately would be for the PRC to announce any travel to the United States. But I just – I’m not going to get ahead of the process on who it might be and what their title or titles may not be.

--->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고위급 접촉 등을 통해 미중대화의 기조를 이어나가겠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미중관계를 책임감있게 관리하는 것이 국제사회가 미중에게 바라는 바이기 때문이라면서요.

-

 

 

4. 이스라엘의 사법개혁. 앞으로 미국과 이스라엘의 관계는 어떻게 변할 것인가?

 

일단 어제자 미 백악관 브리핑에서도 소개드리긴 했으나, 다시 한번 사실관계를 정리해보겠습니다.

 

이스라엘에는 헌법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 대신에 이스라엘 대법원은 비합법적이라 생각되는 정부의 결정을 번복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이번에 이스라엘 여당은 대법원의 이러한 권한을 폐지하는 내용의 사법개혁안을 가결시켰습니다. 이에 대하여 반발하는 시위가 이스라엘에서 대거 일어난 상황입니다.

https://www.bbc.com/korean/articles/c72em3955jmo

 

QUESTION: Let me ask you on the judicial reforms, if I may. Now, the President said yesterday that – or the White House said that they were disappointed or they regret the passage of the reforms. But now that this – the ship has sailed. So what’s next? What will the United States do, and can we – do we – can we expect sort of any hiccups in the special relationship with Israel? Does that in any way impact the thinking or the stuff that is ongoing? There’s been calls, for instance, by former ambassadors to basically cut off military aid to Israel and so on. So what is your response to all these things?

 

MR PATEL: Well, what I will say on that is that is not going to happen. But what I can say is that our decades —

---> 한마디로 말씀드리자면 팔레스타인 기자 Said는 이스라엘의 이번 사법개혁으로 인해 이스라엘과 미국간의 관계에 어떤 변화가 있을 것이냐고 질문했고, Vedant Patel 수석 부대변인은 그렇지 않을거라고 딱 잘라 말한 겁니다.

 

QUESTION: What’s not going to happen?

 

MR PATEL: There’s not going to be any cut or stoppage —

 

QUESTION: (Off-mike.)

 

MR PATEL: — of military aid, and that is because our commitment to Israel and our commitment to Israel’s security is ironclad. Our decades-long partnership with Israel is ironclad. And the President – and you saw the White House be very clear about this over the past couple of days – has expressed his views in this scenario, that major changes in a democracy need to be enduring, they need to have as broad consensus as possible. We also understand that talks are ongoing and likely to continue over the coming weeks and months to forge a broader compromise.

 

And we will continue to support efforts of Israeli leaders as they continue to work to seek a broader consensus and create a consensus through political dialogue. We also will continue to engage with our Israeli counterparts and Israeli officials to strengthen the bond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Israel and to advance our shared democratic values, cooperating on a full range of issues while working through our differences and concerns, like our – most relationships where we have bilateral relations with a country, Said.

---> 수석 부대변인은 또한 이스라엘에 대한 미국의 안보공약 그리고 미국과 이스라엘간의 관계는 여전히 철통같으며(ironclad), 미국은 이스라엘과 미국간의 유대(bond)를 더욱 강화하기 위해 이스라엘의 카운터파트 및 당국자들과 계속 관여(engage)할 것이라고 잘라 말하고 있습니다.

-

 

 

5. 자카르타에서 열렸던 ASEAN 포럼에서 미국과 북한의 외교적 접촉은 없었나?

 

2023년 7월 14일 자카르타에서 ASEAN 외교장관 포럼이 있었습니다. 그때 미국과 북한의 외교적 접촉이 있었는지 물어본 질문입니다.

https://asean.org/secretary-general-of-asean-attends-30th-asean-regional-forum/

 

QUESTION: — took place in Jakarta. North Korean ambassador took place in the ASEAN Regional Forum, and he didn’t talk with U.S. delegation as far as reported. So can you confirm‎ that there was no diplomatic engagement between North Korea and the U.S. this time in Jakarta? And —

 

MR PATEL: There was no diplomatic engagement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the DPRK in Jakarta.

---> 싱겁게 말씀드리자면 Vedant Patel 수석 부대변인은 ASEAN 외교장관 포럼에서 미합중국과 북한과의 외교적 접촉은 없었다고 확인시켜주었습니다. 북한도 어지간히 대화의 의지가 없나 봅니다.

-

 

그 외에도 중요한 지점들이 있었을거 같습니다. 그러나 저의 눈에 띄진 않았습니다. 만약 놓친 지점이 있다면 저의 소양부족 때문입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