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북한사회의 실상

평양 아파트 ‘한국산 보일러’ 인기 - "평양 아파트도 2층까지만 수돗물.. 전기 하루 4시간 공급"

작성자정론직필|작성시간14.03.20|조회수2,949 목록 댓글 6
아래 찌라시 기사들은 미국 자유아시아방송과 동아 찌라시 기사들인데....
대북심리전 차원의 북한 폄하에 아주 광분을 하는 그런 찌라시들이지요.

그래도 중앙일보는 덜 하는 것 같던데......
미국 자유아시아방송, 조동 찌라시 및 왜놈 찌라시들은 여전히
대북심리전 차원의 북한 폄하에 아주 광분을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한국국민들은 그런 내막을 모르고
그저 찌라시들이 보도하는 내용들이 모두 진짜 사실인줄 착각하고
철석같이 믿지요.

아래 찌라시들 얘기를 들어보면.....마치 북한이 자본주의 사회가 된 것이
아닐까 착각이 들 정도이지요. 그리고 남한의 부정부패 모습이
북한에도 그대로 재현되어 있는 것 같은 착각이 들 정도입니다.

그런데....매우 허름하고 낡아서 곧 재개발이 되어야만 할 
평양의 매우 작은 평수의 아파트 내부가 어떤지는 
오마이뉴스의 신은미 기자가 잘 촬영해와서 동영상으로
감상해볼 수 있지요.


재미동포 또 북한에 가다, 신은미 - 북한 일반주민 가정집, 북한의 재개발 아파트

(평양 아파트 내부 동영상 있음)

---------------
북한 장마당 물가, 배급제, 배급표, 북한 노동자 근로자 월급 생활비 - 개성공단 북측 근로자 월급

-------------
최신 설비에 연일 만원, 北 류경구강병원
이계환 기자  |  khlee@tongilnews.com
승인 2014.03.20  12:33:19

 의사들은 다목적구강뢴트겐촬영기, 구강종합치료기, 이동식구강뢴트겐촬영기를 비롯한 설비로서 구강치료를 진행하고 있으며, 인공이빨을 비롯한 의료자재도 자체로 제작하고 있다.

환자는 구강진찰실에서 내시경을 통해 입안 질병을 확인한 다음 각 치료실에 가고 치료를 받는다.

특히, 병원에서는 성장하는 어린이들의 교정치료, 인플랜트, 이빨을 뽑지 않는 치료도 모두 무상으로 진행한다.

이에 신문은 “자본주의사회에서는 값비싼 치료도 조선에서는 국가가 부담한다”면서 “사회주의인민보건시책에 의한 이와 같은 무상구강치료가 최상의 수준에서 실현되게 되었다”고 자랑했다.





그러나 우리 카페에는 위와 같은 자료와 정보들이 있어서
아래 찌라시들의 대국민 사기질적 보도들에 속을
회원님들은 없지요.

하여튼, 미국이나 조중동 및 왜놈 찌라시들은 아래와 같은
사기질 보도들을 해서라도 북한체제를 붕괴시켜보고자 하는 모양이군요.

그런 짓을 과거 수십년 동안이나 해왔지만....그러나
북한은 여전히 무너질 기미 조차도 보이지 않고 있네요.
ㅉㅉㅉ

참고로 소개하면.....
최근년에 신축한 북한 최고급 아파트들의 내부 사진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특히, 청소미화원 가족이라고 합니다.( 국가에서 무상 제공)



                                               신축 아파트 화장실 및 욕실


                                      평양 청소미화원 가족 아파트


                                      평양 대학 교원 가족


                                     평양 청소미화원 가족 아파트




 

평양 아파트 ‘한국산 보일러’ 인기

워싱턴-정영 jungy@rfa.org

2014-03-19    


MC: 평양시 아파트에 온수난방이 제대로 돌지 않아 겨울이면 춥게 지낸다고 하는데요, 하지만, 한국에서 들여보낸 보일러가 효자노릇을 톡톡히 하고 있다고 합니다. 


중국을 방문 중인 한 평양 주민은 “겨울만 되면 온수가 전혀 돌지 않아 고생하곤 했는데, 다행히 한국에서 들여온 보일러 덕분에 춥지 않게 지냈다”고 19일 자유아시아방송에 말했습니다.


화력발전소 근처가 아닌 대동강구역 아파트에 산다는 이 주민은 겨울이면 온수가 돌지 않아 매년 고생했는데, 주변에서 한국제 보일러가 좋다는 말을 듣고 설치했다며 온기가 많이 나와 좋았다고 연방 칭찬했습니다. 


그는 “한국에서 개발한 보일러는 관을 방바닥에 묻지 않고 벽을 따라 설치하기 때문에 간단하고, 또 밥도 해먹을 수 있고, 난로를 한 구석에 세워두어 보관하기도 좋다”고 덧붙였습니다. 


이 주민에 따르면 이 온수 보일러는 한국산을 본 따 제작한 것으로, 작은 것은 미화 80달러, 큰 것은 120달러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지난 2005년 한국의 귀뚜라미 보일러 회사는 북한 실정에 맞게 난방과 취사가 가능한 연탄보일러 ‘귀뚜라미 평양 연탄보이라’ 1천대를 북한에 지원한 바 있습니다. 


당시 한국 기업이 보일러 제작법과 기술까지 북한에 다 전수했기 때문에 자체로 공장에서 만들고 그것을 시민들에게 팔아 외화를 버는 것으로 파악됩니다. 


이 온수 보일러는 화로가 3층 벽으로 되어 있어 보온도 잘되고 석탄불도 쉽게 꺼지지 않을 뿐아니라, 방열판도 벽에 넓게 설치되어 효율이 좋다고 이 주민은 전했습니다. 


북한제 온수보일러보다 훨씬 좋다는 소문이 돌면서 한다하는 평양시의 중산층은 물론 신혼살림을 차리는 부부들도 장만한다는 설명으로 미뤄 볼 때 한국에서 전수된 보일러가 평양에 상당히 많이 퍼진 것으로 파악됩니다. 


하지만, 고열탄을 써야 하기 때문에 가격이 비싸고, 또 고층아파트에 사는 사람의 경우, 구멍탄을 찍어 꼭대기까지 운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고 그는 덧붙였습니다. 


평양에서 살다 몇 년 전 탈북한 한 남성도 “북한식 온수보일러는 부뚜막에 설치해야 하고, 또 물관을 방바닥으로 깔았기 때문에 고장 나면 바닥 전체를 다 뜯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북한식 온수보일러를 설치하자면 한 집에서 적어도 모래와 시멘트가 2톤 이상 들어간다면서 40층 아파트 전체가 온수보일러를 설치한다고 가정할 때 소비되는 건설자재도 어마어마하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탈북자는 “비록 사람들이 내놓고 칭찬을 못하지만, 한국제가 좋은 건 어린 아이들까지도 다 아는 실정”이라고 덧붙였습니다.


http://www.rfa.org/korean/in_focus/boiler-03192014165500.html

-------------------


"평양 아파트도 2층까지만 수돗물.. 전기 하루 4시간 공급"

[동아일보 통일코리아 프로젝트 2년차/준비해야 하나 된다]

북한의 굶주린 주민들, 탈북자 60인의 증언

점점 더 심해지는 경제난

동아일보 | 입력2014.03.18 03:08 | 수정2014.03.19 12:04


외부와 단절된 북한 사회지만 내부에서는 자본주의적 요소들이 하나둘씩 생겨나고 있다. 동아일보와 아사히신문이 만난 탈북자들에게서 북한 사회의 변화를 짚어낼 수 있는 얘기들을 들을 수 있었다.



탈북자들은 북한 최고의 직업으로 러시아 벌목공, 중국 콩 농장 인부 등 해외 근로자들이 떠오르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해줬다. 돈을 잘 번다는 이유로 과거 선망의 직업이던 의사나 교원을 능가하는 최고의 인기를 누린다는 것이다.


2012년 7월 탈북한 박금주 씨(42·여)는 "러시아나 중국에서 2년 정도 일하고 온 사람들은 동네 주민들이 모두 부러워할 정도로 잘살았다"고 말했다. 해외 근로자들은 월급 중 70% 정도를 정부에 빼앗긴다고 한다. 하지만 나머지 30% 정도만 해도 북한에선 큰돈이다. 러시아 벌목공들은 본국에 돌아와 TV 냉장고 옷장을 구입하고도 장사 밑천까지 남겼다. 북한의 일반 근로자들로서는 상상도 못하는 일이다.


이런 직업을 얻는 게 쉽지는 않다. 박 씨는 "벌목공이 되려면 당원이어야 하고 36세 이하라는 나이 제한도 있다. 자녀 모두를 외국으로 데려가지 못한다는 규제도 있다"고 말했다. 의사나 교원도 아직까지는 인기 있는 직업이지만 의사들도 장마당에 나와야 먹고살 수 있는 게 현실이라고 한다.


2014년 3월 현재 북한 장마당에서 쌀 1kg은 북한 돈 4000원에 거래된다. 뇌물용으로 쓰는 일명 '고양이 담배'가 한 갑에 2000원이고 항생제인 페니실린 역시 2000원 정도에 거래되고 있다. 탈북자들은 북한 장마당에는 중국쌀, 북한쌀 그리고 호남쌀이라 불리는 대한민국 쌀을 비롯해 없는 것이 없다고 전했다. 한국에서 수입된 화장품까지도 거래될 정도다. 물론 한국산 브랜드임을 표시하는 상표는 지운다.


북한의 교육도 말이 무상교육이지 모든 비용을 스스로 부담해야 하는 상황이 됐다. 교과서 교복 학용품은 모두 자신이 챙겨야 한다. 의료비도 자기 부담이다. 일선 시도 병원에는 기본적인 항생제나 거즈조차 배급되지 않는다. 그러다 보니 병자들은 장마당에서 각종 약품을 구입해 병원으로 가져가곤 한다. 페니실린의 국정가격은 38원60전이지만 시장가격은 2000원. 시도 약품관리소장이 시장 상인에게 1500원에 팔아 착복하는 일이 다반사다. 따라서 탈북자들은 치료받기 위해 북한 장마당에서 항생제 붕대 마스크 반창고 주사기 등을 구입해야 한다.


평양의 고급 아파트를 제외한 대부분의 아파트 단지에는 재래식 공동 화장실이 있다. 아파트라고 해서 집집마다 화장실이 제대로 갖춰진 게 아니어서 아침이면 주민들이 공동 화장실 앞에 길게 줄을 서야 한다.


평양에서 10년을 거주한 재일교포 탈북자 김석규 씨(76)는 "평양의 간부 등 엘리트가 사는 집을 가도 대한민국 같은 중앙 가스난방 시스템을 갖춘 곳이 없다. 가스레인지로 밥을 짓는 일은 거의 없고 대부분 조그마한 아궁이에 불을 지펴 밥을 짓는다"고 말했다.


전기도 공휴일, 명절에나 제대로 공급되기 때문에 평소 TV나 DVD를 보는 게 쉽지 않다. 일부는 뇌물을 주고 기업소에 공급되는 전기를 자택으로 연결하기도 한다. 평양의 사정도 크게 다르지 않다. 김 씨는 "중앙당 간부들이 거주하는 평양의 중구역을 빼고는 시간제로 오후 6시부터 10시까지만 전기가 들어온다"고 설명했다. 그는 "평양 광복거리 등 고층 아파트가 보기에는 멋있지만 사실은 날림으로 지은 것이어서 2층까지만 물이 공급된다. 그 위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계단을 걸어 내려와 물을 길어야 한다"고 전했다. 그러다 보니 매일 샤워를 하는 것은 꿈도 꾸지 못하며 보름에 한 번 정도 목욕을 한다.


여성에 대한 외모 간섭도 심하다. 북송 교포의 손녀로 2006년 탈북한 뒤 일본에 살고 있는 20대 여성은 "북한에서는 여성들의 머리가 흑발이어야 하고 너무 짧아도 안 된다. 원래 갈색 머리인 나는 길거리에서 종종 주의를 받았다. 귀고리와 반지 때문에 시비를 걸어올 때도 있었다"고 전했다.


신분에 따른 이중 잣대도 적용된다. 북송 교포의 자녀로 2000년 초 탈북해 일본에 살고 있는 30대 남성 가네다(金田) 씨는 "경찰 고위 간부인 친구 아버지가 김정일로부터 미국산 담배와 고급 통조림을 선물 받은 것을 알고 충격에 빠졌다. 서민들에게는 미국을 적이라고 가르치고 미국 물건을 갖고 있으면 체포하면서도 고급 간부들은 미국산 제품을 쓰면서 윤택한 생활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 것이다"고 말했다.


최근 북한 제13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에서 100% 지지 결과를 두고 논란을 벌였던 것은 새로운 일도 아니었다. 도쿄(東京)에 거주하는 탈북자 가와사키 에이코(川崎榮子·71·여) 씨는 "북한의 선거가 가장 이상했다"고 회고했다. 1개 선거구에 후보자는 반드시 1명이었다. 투표율 100%에 득표율도 100%다. 투표소 모퉁이에는 감시원이 있어 반대에 해당하는 '×'를 쓴 주민을 현장에서 체포한다. 그러곤 곧바로 수용소로 보낸다. 그게 북한식 투표다.  


▼ 본보가 35명, 아사히가 25명 탈북자 4개월 심층면접 ▼

어떻게 조사했나


이번 조사는 탈북자와 일대일 심층면접 방식으로 진행됐다.


동아일보 취재진이 지난해 12월과 올해 1월 35명을, 아사히신문 취재진이 지난해 12월부터 올 3월까지 4개월간 25명을 각각 만났다. 취재에 응한 탈북자는 남자 25명, 여자 35명. 연령은 10, 20대 6명, 30, 40대 30명, 50대 이상 24명이었다.


설문 항목은 △식량 사정 △사상 통제 △시장 상황 등 전반적인 북한 생활을 묻는 항목을 비롯해 △현재 한국 또는 일본에서의 생활 만족도 △통일 이후 북한에 돌아가 살고 싶은지 등 24개였다. 특히 인권 침해 상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했다. 1인당 최소 4시간에서 8∼9시간이 걸리는 대장정이었다. 동아일보와 아사히신문은 2월 말 취재 내용을 교환해 취재한 설문의 분석 작업을 벌였다.


동아일보·아사히신문 공동취재팀


< 동아일보 > 배극인 박형준 도쿄특파원, 김영식 박희창 국제부, 백연상 사회부 기자


< 아사히신문 > 기하라 다미유키(鬼原民幸) 호리우치 교코(堀內京子·이상 특별보도부), 요시타케 유(吉武祐) 히가시오카 도루(東岡徹) 히라가 다쿠야(平賀拓哉) 마키노 요시히로(牧野愛博) 기타가와 마나부(北川學·이상 국제보도부), 다이나카 마사토(田井中雅人) 도쿄 사회부, 다케다 하지무(武田肇) 오사카 사회부 기자


 http://media.daum.net/v/20140318030834529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서흥남 | 작성시간 14.03.20 저렇게 못 사는데 왜 못 잡아먹어 안달일까? '' 글에 포함된 스티커
  • 답댓글 작성자정론직필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14.03.20 그러게 말입니다.
    어차피 쌀도 안줄거면.....그냥 모르는채 하며
    지내면 될 것 같은데....

    그러나 실제로는 시시콜콜히 관심을 보이며
    못산다고 떠들어대지요.
  • 답댓글 작성자변화무쌍태양 | 작성시간 14.03.20 남쪽 이 알면 절대로 안되는 극비사항등( 무상시리즈, 김일성주석의 진짜항일빨치산투쟁, 근 로대중이 중심인 세상, 미제식민지배를 받는 남쪽을 압제로부터 해방시키고자 측은지심, 전세계국가중 미제를 개박살내겠다고 유일하게 맞짱을뜨는나라) 등 ,
  • 작성자태공망 | 작성시간 14.03.20 "굿바이 평양"에서 선화라는 아이가 교정기를 끼고 있길래 좀 이상하다 했는데 저런 거였군요.
  • 작성자한겨레 | 작성시간 14.03.20 세뇌가 그래서 무서운 것이지요.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