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지역난방 개별세대 분전함 회로도 및 배선도

작성자꿈돌이-1|작성시간19.02.02|조회수984 목록 댓글 4

요즈음에는 지역난방을 이용하여 난방하는 아파트가 많습니다.

그래서 여러번 분전함 회로도와 배선도를 공개하려고 했으나,

기회가 없어서 공개를 하지 못했습니다.

 

설 명절 연휴도 되고 해서 마음의 여유가 조금 생겨서

공개합니다.

 

이미 많은 기전과장님들은 상식으로 되어있는

회로도 이고, 배선도이지만

익숙하시지만

처음 부임하시는 분들은 참 막막합니다.


회로도를 안내합니다.

첫줄 선로 와 4번째 줄 선로가 220V 공급전원입니다.

배선도에 흑색 배선과 백색 배선이 보입니다.

첫줄(흑색배선)을 전력선으로 하고 4번째줄(백색배선)N상으로 하는 것이

제어에 효과적으로 판단합니다.

그래서 회로도를 180도 회전하여 보여주게 되었습니다.

다시 촬영하면 되겠지만 자꾸 게을러집니다.

그래서 아래에 이어지는 안내는

위의 기준으로 안내합니다.

 

어떤 단지에선 콘센트에 코드를 꽂을 수 있게 해서 구동기 교체시 차단기를

내리지 않고 코드만 뽑고서 작업을 할 수 있게 배려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분전함에 텀블러스위치(똑딱이 스위치)만 설치하고 전열선에 연결하는 경우는

똑딱이 스위치만 믿고 끄고 작업하다간 감전을 당하는 사태가 발생합니다.

 

공사하시는 분들이 여러 가지 사유로

전력선에 똑딱이 스위치를 연결해야 하는데

N상에 연결하면 그렇습니다.

그런 경험을 한 기사는 아예 누전차단기 메인을 내리고 작업합니다.

 

첫번째 줄과 2번째 줄이 구동기를 연결하는 선로입니다.

구동기 2개의 배선의 위치는 다르게 해도 동작에는 관계 없습니다.

사진에서는

첫번째줄(전력선쪽)은 청색

2번째줄(N상쪽)은 갈색입니다.

 

3번째줄과 4번째줄의 노란색 배선은 방에 있는 온도조절기와 연결되는 선로입니다.

조절기에서 접점이 붙으면 구동기에 전원이 통하여 구동기의 핀을 눌러서

밸브를 잠그게 합니다. 이때, 구동기 청색배선 과 갈색 배선의 전압을 측정하면

150V 정도 측정됩니다. 제조사에 따라서는 조금 더 낮을 수 있습니다.

접점이 떨어지면 5V정도 측정됩니다. 핀의 누르는 힘이 작아져서 밸브가

개방되어 난방이 공급됩니다.

 

배선 선로에 대하여 잘 모르는 기사가 많으므로 기전과장에게

문제 해결을 요청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대부분이 구동기를 다른 방에 오결선하거나

선을 잡아당겨 배선하다가 단선시킨 경우입니다.

당황하지 말고 멀티테스터기 하나만 가져가시면

해결됩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시나브로^^ | 작성시간 19.02.03 유용한 정보 감사합니다.^^
    즐거운 설 명절 되시기 바랍니다.
  • 작성자미부쿄시로a | 작성시간 19.02.05 감사합니다
  • 작성자하루하루 | 작성시간 19.03.11 공장에서만 일하다보니 이해가 잘 안가서 묻는데요. 흑색과 백색 연결된 단자는 서로 연결하면 작동되는 원리는 알겟는데 중간에 두줄 단자는 무슨 역활을 하는건가요? 구동기가 뭔지 모르니 이해가 안가네요.
  • 작성자배광연 | 작성시간 19.08.10 감사합니다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