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Daily Test

2021년 5월 13일 문제

작성자리베나이|작성시간21.05.13|조회수442 목록 댓글 2

1. 특고압용 제2종 보안장치 또는 이에 준하는 보안장치 등이 되어 있지 않은 25[kV] 이하인 특고압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에 시설하는 통신선

   또는 이에 직접 접속하는 통신선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① 광섬유 케이블

② CN/CV 케이블

③ 캡타이어 케이블

④ 지름 2.6[㎜] 이상의 절연전선

 

2. 전기방식시설의 전기방식 회로의 전선 중 지중에 시설하는 것으로 틀린 것은?

① 전선은 공칭단면적 4.0㎟의 연동선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세기 및 굵기의 것일 것

② 양극에 부속하는 전선은 공칭단면적 2.5㎟ 이상의 연동선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세기 및 굵기의 것을 사용할 수 있을 것

③ 전선을 직접 매설식에 의하여 시설하는 경우 차량 기타의 중량물의 압력을 받을 우려가 없는 것에 매설 깊이를 1.2m 이상으로 할 것

④ 입상 부분의 전선 중 깊이 60㎝ 미만인 부분은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없고 또한 손상을 받을 우려가 없도록 적당한 방호장치를 할 것

 

3. 발전소, 변전소, 개폐소의 시설부지 조성을 위해 산지를 전용할 경우에 전용하고자 하는 산지의 평균 경사도는 몇 도 이하이어야 하는가?

① 10

② 15

③ 20

④ 25

 

4. 고・저압 혼촉에 의한 위험을 방지하려고 시행하는 접지공사에 대한 기준으로 틀린 것은?

① 접지공사는 변압기의 시설장소마다 시행하여야 한다.

② 토지의 상황에 의하여 접지저항값을 얻기 어려운 경우, 가공 접지선을 사용하여 접지극을 100[m]까지 떼어 놓을 수 있다.

③ 가공 공동지선을 설치하여 접지공사를 하는 경우, 각 변압기를 중심으로 지름 400[m] 이내의 지역에 접지를 하여야 한다.

④ 저압 전로의 사용전압이 300[V] 이하인 경우, 그 접지공사를 중성점에 하기 어려우면 저압측의 1단자에 시행할 수 있다.

 

5. 공칭전압이 교류 1㎸인 전기철도 설비에서 감전에 대한 보호조치로 공간거리를 유지할 수 없는 경우 충전부와의 직접접촉에 대한 보호를 위해 

   장애물을 설치해야 하는데, 충전부가 보행표면과 동일한 높이 또는 낮게 위치한 경우 장애물 높이는 장애물 상단으로부터 몇 [m]의 공간거리를 

  유지하여야 하는가?

① 0.3

② 1.0

③ 1.35

④ 2.0

 

 

 

 

 

 

 

 

 

 

 

 

 

 

 

 

 

 

 

[정답] 

1. ①

2. ③

3. ④

4. ②

5. ③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간절한 삐돌이 | 작성시간 21.05.15 고맙습니다
  • 작성자인생을 즐기자 | 작성시간 21.07.02 어렵네요.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