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드보르자크 교향곡 9번 "신세계로부터" l Dvorak - Symphony No. 9 "From the New World"

작성자스티그마|작성시간23.10.02|조회수34 목록 댓글 0

[알기쉬운 클래식 사전]
새로운 세계와 고향의 그리움, 드보르자크 교향곡 9번 "신세계로부터"
Dvorak - Symphony No. 9 "From the New World"


전 악장 듣기 및 해설

* Time Line

00:00 1악장 Adagio - Allegro molto
9:33 2악장 Largo
21:37 3악장 Scherzo Molto Vivace
30:00 ★4악장(추천) Allegro con fuoco

* 원 저작권자에 의해 자동 광고가 생길 수 있습니다!

지휘자: Herbert von Karajan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오케스트라 : Berliner Philharmoniker (베를린 필하모닉)
실황 연주 날짜 : 1979/01

"만약 미국을 보지 않았더라면
이러한 교향곡을 쓸 수 없었을 것이다"
- 작곡 직후 미국을 회상하며 -


https://youtu.be/ZitVOXAX7FU


1841년 오스트리아 제국 프라하(현 체코)에서 태어나
평생을 프라하 근처에서 작곡을 공부하며 보내고 있었는데요,

1890년, 어느날
프라하 음악원에서 작곡을 가르치고 있던 49세의 드보르자크는 뉴욕의 국민음악원 원장직을 스카웃받게 됩니다.

그렇게 평생 체코 공화국에서 지내던 드보르자크는 기회의 땅이자 낮설었던 신세계, '미국'으로 떠나게 되며 이야기는 시작됩니다.

드보르자크는 미국에서 정말 새로운 신세계를 맛보게 됩니다.
자신이 살던 유럽에서는 볼 수 없었던 웅장한 자연과
매일 놀랍게 발전하는 뉴욕의 모습을 보았고 특히 평소 민속음악에 관심이 많았던 그는
미국의 시골들을 돌아다니며 인디언과 흑인들을 만나게되었고
심하게 차별받던 그들의 노래와 문화에 관심을 가지게 됩니다.

" 흑인 영가야 말로 미국 음악의 중심이고
모든 음악 작품의 기본이 되어야한다."
- 드보르자크 -

드보르자크는 뉴욕 음악원장으로 일하면서도 틈틈이 흑인 영가와 인디언 민요를 연구하였습니다.

그러면서도 자신의 고향 체코에 심한 그리움을 가지고 있었는데요
1893년 봄 어느 날, 그는 큰 결심을 하게 됩니다.

나날이 발전하는 미국과 차별받는 인디언, 흑인들 그리고 자신의 고향 체코를 떠올리며 인생의 9번째 교향곡을 작곡하기로 합니다.

체코 시골 출신의 가난한 음악가였던 드보르작은
다양한 인종과 문화, 발전하는 신세계 미국에서 겪은 경험으로
새로움과 도전을 느낄 수 있는, 음악사에 길이남을 명곡을 만들어 냅니다.

1893년 12월 뉴욕 카네기홀에서 이 작품이 공연되기 시작하였습니다.
곡이 끝나자 미국의 청중들은 모두 기립박수와 큰 환호를 보내었고, 대다수의 관객들은 드보르작처럼 자신의 나라를 떠나 미국으로 건너왔고 고향에 대한 향수로 큰 감동을 받게 되었습니다.

이후 이 작품은 새해를 맞이할 때마다 새로운 자극과 도전을 생각하는 기념비적인 교향곡이 되었고, 매 해 전세계의 많은 오케스트라가 이 곡을 공연하곤 한답니다.

계속해서 악장별 설명을 들으며 감상해보세요!

1악장. Adagio - Allegro molto

호른의 주제 선율로 신대륙을 처음 만난 신비로운 느낌을 줍니다
이 느낌은 전 악장에 걸쳐 반복되는데, 이것이 헝가리 지역의 민속음악과 흑인 영가에서 차용된 특유의 색채입니다.
1악장에서 제시된 선율이 어떻게 발전해나아가는지 들어보세요

2악장. Largo

2악장에서는 잉글리시 호른이라는 오보에 계통의 악기가 메인이 됩니다.
잉글리시 호른의 독특한 음색이 역시 고향에 대한 향수를 불러일으키고 잔잔하며 아름다운 멜로디가 가슴 속 깊이 들어옵니다.

3악장. Scherzo. Molto vivace

마치 정겨운 시골속 주민들의 풍경이 그려지는듯한 3악장은
자신의 고향의 풍경과도 닮아 있는듯합니다.
이 작품을 작곡할 당시 일하는 바쁜 뉴욕과는 대조되는 느낌입니다.

4악장. Allegro con fuoco

가장 대중적으로도 유명한 4악장은 죠스가 나올것같은 이 도입부에 대한 이야기가 많은데,
가장 유명한것은 철도 매니아인 드보르작이 증기 기관차의 발차소리에 모티브를 얻었다는 이야기입니다.

지나온 악장에서 보여준 새로운 문화와 도전, 고향의 대한 그리움이 합쳐져 드보르자크가 미국이란 신세계에서 겪었던 느낌을 고스란히 우리에게 전해줍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