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아나바다 장터

최 장수한 영조대왕이 80 평생 마셨다는 오미자, 미(菋), 현급, 회급, 오매자, 면등, 산화초는 어떤효능이 있을까

작성자노티기|작성시간17.07.13|조회수76 목록 댓글 0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문경오미자는 농림축산식품부와 문경시에 따르면 문경 오미자는 조선시대 각종 인문기록에 지역 토산물로 소개돼왔고 임금님 진상품 중 하나였다.


특히 52년간 조선의 왕위를 지키면서 82세로 생을 마감한 영조(英祖`1694~1776)가 매일 오미자차를 즐겨 마셨다는 조선왕조실록의 기록이 눈길을 끈다.


문경은 전국 오미자 생산량의 절반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주생산지 동로면은 백두대간 중심 황장산과 대미산 중턱에  위치하고 있고,  땅이 오미자 재배에 꼭 맞는 조건을 갖추고 있어 국내 유일의 오미자 특구로 지정돼 있다. 
오미자는 단맛, 신맛, 매운맛, 쓴맛, 짠맛의 5가지 맛이 모두 나는 열매로 특히 신맛이 강하다.  민간에서는 오미자차를 만들어 마시거나 술로 담가 먹는다. 개화기는 5~7월이고 결실기는 8~9월이다.
 
조선왕조실록을 살펴보면 조선 제9대 임금 성종은 서병(暑病, 여름에 날씨가 몹시 더워서 생기는 병으로 고열로 목이 마르고 땀이 많이 나는 증상이 있다.)을 앓았는데, 이를 고치기 위해 오미자탕(五味子湯)을 처방받았다는 기록이 나온다. 성종 25년, 조선시대 문신 송흠(宋欽)이 임금을 문안하고 나와 이르길 “성상의 몸이 몹시 여위셨고, 얼굴빛이 위황(痿黃)하고, 입술이 또 건조하십니다. 성상께서 큰 소리로 약을 물으시므로 아뢰기를, ‘청심연자음(淸心蓮子飮)·오미자탕(五味子湯)·청심원(淸心元) 등의 약이 청량한 재료가 들어 있어서 갈증을 그치게 할 수 있으니, 청컨대 이를 진어하게 하소서’라고 하였습니다”라고 하였다.




오미자 효능과 부작용, 주의사항 
오미자는 껍질의 신맛, 과육의 단맛, 씨의 맵고 쓴맛, 전체적으로 가지고 있는 짠맛까지 다섯 가지 맛이 난다 해서 오미자(五味子)라고 불리며, 오미(味)는 오장(腸)과도 궁합이 잘 맞는다. 열매에는 사과산과 주석산 등 유기산이 풍부해 세포의 산성화를 막아 노화를 방지한다. 혈당을 내려주는 효과가 있어 당뇨병에도 좋다. 피로를 빨리 회복시켜주고 시력과 심장기능을 강화시키며 혈액순환장애와 기억력감퇴, 사고력 둔화를 예방한다.
 
오미자 특유의 신맛에는 갈증을 해소해 주는 성분이 있어 오미자차를 틈틈이 마셔주면 갈증을 해소 할 수 있다. 오미자와 황률(깐 밤)과 대추를 섞어 끓이거나 미삼을 넣고 오래 달여 마시면 빈혈도 사라진다. 피로회복에도 효과가 있어 과로에 시달리고 있는 사람뿐만 아니라 평소 건강한 사람들도 오미자를 꾸준히 섭취하면 정신적·육체적 피로를 덜 느끼게 된다. 오미자차를 음주 전후로 마셔주면 오미자의 디옥시시잔드린, 시잔드롤 등의 성분이 간의 회복을 도와 숙취 해소에 좋다.



오미자의 약리 1
오미자는 다양한 약리를 갖는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바로 호흡에 대한 영향인데 shizandrin은 호흡에 대해 주기가 증가되고 진폭이 증대되는 흥분작용을 갖는다. 이 호흡중추 흥분작용은 몰핀이 호흡억제작용을 하는 것에 대해 길항작용을 한다. 이 때문에 오미자는 호흡기능을 보강하고 호흡기 질환에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그 다음이 중추신경계에 대한 작용인데 적당한 용량의 오미자를 투여하면 지적능력을 강화하고 노동효율을 개선한다.

오미자의 약리 2
특히 오미자 추출물은 카페인이나 니코틴, pentetrazol이 일으키는 경련에 대해 길항작용을 한다. 따라서 술이나 담배, 양약을 많이 먹는 사람들이 먹으면 그 부작용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자궁에 대해 평활근의 리듬성 수축을 강화하지만 혈압을 올리지도 않아 분만이 지연되거나 자궁수축이 미약해서 출산이 늦어질 때 투여하면 효과적이다. 아래 사진은 오미자 꽃이다.

오미자의 약리 3
이 밖에 간장의 글리코겐의 이화를 촉진하고 분해를 가속하며, 뇌와 근육 중의 포도당 인산화 과정을 증강하고 혈액 속의 당류나 젖산의 비율을 높여서 당대사를 촉진하기 때문에 비만이나 고지혈증 환자에게도 효과가 있다. 더구나 오미자의 7종 성분은 사염화탄소나 thioacetamide에 의한 마우스의 SGOT 활성의 상승에 대해 모두 상당한 하강작용이 있고, 오미자 에스테르 A는 사염화탄소 또는 thioacetamide에 의한 SGPT도 하강시킨다.

오미자의 부작용
마우스의 위에 오미자를 5g/kg 주입했을 때는 사망하지 않을 정도로 그 독성은 상당히 낮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오미자의 지방유 10~15g/kg을 마우스의 위에 주입했더니 15분에서 60분 후에 호흡곤란과 운동감소가 나타났고, 1일이나 2일 후에 사망했다. 따라서 아무리오미자가 좋다고 하더라도 한꺼번에 너무 많이 먹는 것은 피해야 한다.

오미자 복용시 주의사항
오미자는 한번 먹을 때 2그램에서 8그램을 달여서 먹거나 가루내어 먹는다. 오미자는 상기도 감염으로 인해 기침이 처음 시작할 때는 먹지 말아야 하며, 에전에는 홍역이나 천연두로 마진(痲疹)이 시작될때는 사용하지 말라고 기록하고 있다. 곧 오미자는 몸을 보강하는 약이니 감기 초기처럼 실제로 열이 날 때는 쓰지 말라는 의미다. 오미자는 태음인 이외에는 장복하지 않는 것이 좋다.
                                                 
오미자의 쓰이는곳
강장작용, 강정작용, 중추신경계통 흥분 작용, 대뇌 피질 흥분작용, 피로 회복 촉진 작용, 신장 혈관 계통 기능 회복 작용, 혈압 강하 및 조절 작용, 위액 분비 조절 작용, 담즙 분비 촉진작용, 호흡 흥분작용, 거담 및 진해작용, 세포 면역 기능 증강 작용, 자궁 흥분 작용, 위액 분비 조절 작용, 항균작용, 혈당 낮춤 작용, 글리코겐함량을 늘리는 작용, 허약한 데, 정신 및 육체적 피로, 무력증, 폐와 신이 허하여 기침이 나면서 숨이 찬데, 음허(陰虛)로 갈증이 나는 데, 식은땀, 자한(自汗), 유정(遺精), 유뇨증, 설사, 심근쇠약증, 밤눈 어두운 데, 전신쇠약, 신경쇠약, 건망증, 불면증, 피부염, 저혈압, 동맥경화증, 당뇨병, 간염을 다스리는데 쓰인다.

오미자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
1, 신경쇠약
2, 잠재형 극산병(克山病: 흑룡강성 극산현에서 처음으로 발견된 풍토병
3, 급성 장도(腸道) 감염
4, 무황달형 전염성 간염
5, 창양(瘡瘍)이 궤란(潰爛)되어 살갗이 탈락하려는 증상
6, 몽유허탈
7, 폐허한(肺虛寒)
9, 기침
오미자(五味子)의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한가지 열매에 다섯 가지맛인 신맛, 단맛, 쓴맛, 짠맛, 매운맛을 지니고 있다는 것은 놀라운 조물주의 신비가 담겨 있는 것이 분명하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