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남기고 싶은 글

백홍관일(白虹貫日)

작성자스잔나|작성시간24.05.18|조회수52 목록 댓글 2

백홍관일(白虹貫日)

흰 무지개가 태양을 뚫고 지나간다는 뜻으로,

정성이 지극하여 하늘이 감응함을 이르는 말이나

임금의 신상에 해로움이 가하여짐을 이르는 말이다.

또는 지성이 감천하여 

나타나는 조짐을 일컫는 말이다.


白 : 흰 백
      虹 : 무지개 홍
貫 : 꿸 관
日 : 날 일
 

출전 : 사기(史記) 추양전(鄒陽傳)

하늘에 장엄한 색색의 무지개가 펼쳐지면 모두들 환호한다.

비가 그친 뒤 태양의 반대쪽에 걸리는 반원형의 무지개는

우리나라에선 선녀가 타고 내려와

목욕하는 미끄럼대가 되고,

그리스(Greece) 신화에선 하늘과 땅을

연결하는 여신 이리스(Iris) 자신이 된다.

무지개를 나타내는 한자 홍(虹)은

연못의 물을 빨아올리는 벌레로

하늘에 닿으면 용이 된다고 봤다.

 

빛의 반사에 따라 쌍무지개도 뜨는데

희미한 것이 암무지개이고

둘을 합쳐서 홍예(虹霓)라 하기도 한다.

특이하게 흰 무지개(白虹)가 실제 보였는지

전설에 의한 것인지 종종 등장하여

해를 꿰뚫었다(貫日)는 성어가 남아있다.

 

이때의 흰 무지개는 지극한 정성을 뜻해

하늘이 감응했다는 뜻과,

해가 임금을 말해 신상에 해로움이

닥친다는 전조의 의미를 지녔다.

중국 전한(前漢) 시대 문필로

명성이 높았던 추양(鄒陽)이란 사람이

쓴 말로 사기(史記) 열전에 나온다.

추양은 제(齊)나라에서 태어나 제후국 양(梁)나라

효왕(孝王)의 문객으로 지내다

양승(羊勝)이란 사람의 참소로 옥에 갇혔다.

 

잘못도 없이 억울하게 죽게 되자

진실한 사람은 의심을 받지 않는다며

옥중상양왕서(獄中上梁王書)를 썼다.

여기에 전국시대(戰國時代) 때의 협객

형가(荊軻)를 등장시켜 충신과 간신,

의로움을 추구하는 선비를

군주는 알아야 한다고 읍소했다.

 

성어 부분을 보자.

"옛날 형가가 연나라 태자 단의 의로움을 사모했는데

흰 무지개가 해를 뚫는 현상이 있었지만

태자 단은 형가를 의심했다.

진시황(秦始皇)의 볼모로 있다 탈출한 연(燕)나라 태자

단(丹)이 복수를 위해 형가에 부탁했을 때

하늘도 감동하여 흰 무지개(형가의 칼)가

하늘의 해(진시황)를 꿰뚫었으나

깊은 신임을 주지 못해 실패했다는 이야기다.

실제 형가는 진시황 암살 일보 앞에서 실패했다.

추양의 간곡한 글은 물론 효왕의 마음을 움직여

옥에서 풀려난 뒤 상객의 대우를 받았다고 한다.

간절한 정성은 천지의 자연현상까지 바꾸어도

믿음이 없으면 무용지물이 된다는 가르침도 준다.

 

반면 해를 뜻하는 군주의 입장에서 칼이 꿰뚫으면

신상에 위해가 닥쳐옴을 알고

잘못을 돌아보며 바로잡도록 깨우친다.

해가 아닌 달을 흰 무지개가 관통하듯 걸리는

백홍관월(白虹貫月)은 우리 고전에서 검색되는데

왕비나 후궁에 변고가 생긴다고 인식했다 한다.

 

또한 병란이 일어날 조짐으로 보기도 했는데

어찌됐든 흰 무지개는

태평한 시기에는 불길한 징조이고,

어지러운 시기에는 세상이 바뀌도록

희망하는 상징으로 여긴 셈이다.

 

-옮긴 글-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동트는새벽 | 작성시간 24.05.20 좋은글에 머물다 갑니다 감사 합니다 요즘 조석으로 기온차가 많이 납니다 언제나 건강 하시고 행복 하세요
  • 답댓글 작성자스잔나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24.05.21 감사합니다. 감기 조심하세요.~
    댓글 이모티콘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