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댓글

뒤로

이상한 발전량

작성자미남| 작성시간23.02.01| 조회수443| 댓글 7

댓글 리스트

  • 작성자 함박눈 작성시간23.02.01 지역이 어데신지.입사각이 15도 이면 각도를 조금더 기울여야 되는것 아닌지요...? 제가 알기로는 제주도를 제외한 육지에서는
    대략 20~25도가 되어야 하지 않을까요...?
  • 작성자 하루를 일년처럼.. 작성시간23.02.02 1. 태양고도는 겨울철에 가장 아래쪽에 있습니다.. 태ㅑㅇ광 모듈의 경가각이 15도라면 겨울철에 발전량이 떨어질 수 밖에 없습니다.
    (사진은 구굴에서 발췌 : http://www.edunet.net/nedu/contsvc/viewWkstContPost.do?contents_id=4eb3e899-8b4a-4201-bdeb-4f2488f1eb2d&head_div=)
    댓글 첨부 이미지 이미지 확대
  • 작성자 하루를 일년처럼.. 작성시간23.02.02 2. 경사각을 낮추고 입사각을 18도(Ground Level 무시)로 한 것 보면..... 입사각 18도요..? 그럼 경사각을 조금 올리셔도 되었을 듯 싶은데요. ^^;;
    요즘 도면을 보면 대부분 23도에 입사각을 맞추던데.. 저는 개인적으로 21도를 추천합니다..
    https://youtu.be/Wr7D2xPQwh8
    첨부된 유튜브 동영상 동영상
  • 작성자 하루를 일년처럼.. 작성시간23.02.02 3. 모듈 상부에 먼지가 심하게 쌓이거나, 산중이라 여름철에 솔잎가루가 두껍게 쌓이지 않는다면 (모듈 경사각이 낮으면 비로 인하여 쓸려내려가지 못하고 쌓이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여름철 발전량은 다른 곳 보다 조금은 많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
  • 작성자 하루를 일년처럼.. 작성시간23.02.02 위 사항처럼.. 모든 주변 변수들이 있기에, 발전시간은 1년, 또는 2년의 평균 발전시간을 계산해봐야 알 수 있습니다.
    위 기재해주신 내역만으로 본다면 충분히 겨울철 발전량이 떨어질 것을 예상할 수 있으니, 조금 시간을 가지고 지켜보시는게 좋을 듯 싶습니다..
    봄이되고, 여름이 오면 되면 빵긋 빵긋 웃으실 날이 오길 기대합니다.. ^^
  • 답댓글 작성자 미남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작성시간23.02.02 같이 고민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원인을 알아 냈는데 허무하게도 모니터링의 시간이 제 용량과 다르게 설정된 것이 문제였네요.
    계량기 값과 발전 용량만 계산해보니 지역 평균 4.77과 정확히 같네요. 지역 평균이 나온 것 만으로도 감사할 따름 입니다.
    여름에는 좀 더 나올 것을 기대해 봅니다.
    남북 평균 경사도가 7.78도에 동쪽과 서쪽 간의 경사도 도 있어서 설계를 20도로 맞추었어도
    포스트 프레임 3~5cm 차이로 입사각이 1도 바뀌고 3단 시공이라 모듈각이 14도에 가까운 15도,16도에 가까운 15도냐에 따라서도
    입사각이 1~2도는 달라지더라구요. 구조물팀이 땅이 어려워 입사각을 못 맞춘다며 20~26도로 지그재그 맞추어 놓은 걸
    제가 직접 고르게 맞추어 공사했습니다.이렇게 너무 힘들게 공사했는데 발전량이 안 나와서 크게 실망 했는데, 그래도 다행입니다.
    카페지기님, 또 많은 선배님들 덕에 무사히 공사 마치게 되어 감사합니다.
    새해엔 좋은 일들만 생기세요.
  • 답댓글 작성자 하루를 일년처럼.. 작성시간23.02.02 미남 좋은 소식이라 다행입니다..^^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
카카오 이모티콘
사용할 수 있는 카페앱에서
댓글을 작성하시겠습니까?
이동시 작성중인 내용은 유지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