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해외 산행/여행 후기

카라코람하이웨이 그리고 실크로드30일 여행기(34)중국(4) 서역 최고(最古) 최대의 도시 카스가르(1) 야시장

작성자왕뿅망치|작성시간22.07.14|조회수27 목록 댓글 0

카슈가르(喀什, Kashgar)는 텐산(天山산맥 주변의 타클라마칸 사막의 서부의 타림분지에 위치하고 있으며,

해발 고도는 평균 1,289.5m이나 타림분지의 오아시스 지역에 속한다고 한다.

 

이곳은 사막기후로서 뜨거운 여름과 추운 겨울이 있으며 두 계 절간 큰 온도차가 있다고 하며 겨울에는 최저 영하 24도까지

내려가고 여름에는 40도까지 올라간다고 한다.

연평균 강우량은 64mm로 지구상에서 비가 가장 적게 내리는 도시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이곳은 옛날부터 비단길의 교통 요지로서 고대로부터 정치와 상업의 중심지가 되었고 여러 민족이 이곳을

지배해 왔으나 민족과 국가가 명멸(明滅)하면서 이곳을 지배하는 주인들이 바뀌었고 지금은 중국이 이곳을 지배하고 있는 중이다.

 

카라코람 하이웨이웨이의 마지막인 카슈가르...중국에서는 카스라고 부른다.

 

거리에 있는 그림간판...광동에서 원조한다는 뜻의 광동원신 간펀

 

중국이 BC 2세기 경 한 나라때 윌지(Yue Zh) 족으로부터 이곳을 점령하여 서역 도호부를 설치하였으나 AD 1세기경에

 월지인이 카스를 탈환하게 되면서 중국의 영향이 미치기 못하게 되었다.

그 후 북부와 동부에서 쳐들어온 민족들이 카스를 지배하는 혼란기가 이어지다가()나라시대인 7세기 말과 8세기 초에

점령을 했으나 752년에 돌궐이 이 지역을 점령하였고 10세기와 11세기에는 위구르가 이곳을 점령했다고 한다.

 

그러다가 1219년 몽골족이 이 곳을 차지하면서중국과 중앙아시아를 잇는 육상교통이 번창하게 되었으나, 14세기말에

카스는 티무르족에게 약탈당하면서 이곳에 이슬람 종교가 정착을 하게 되었고그 후로도 이곳을 지배하고자 하는 세력들의 각축장이

 되다가 1755년에 마지막으로 청(1644~1911)나라에 점령되었다.

그 후에도 분리독립 운동 등이 있었으나 진압이 되고 현재에 이르고 있다.

 

이곳의 주민은 50여만 명 정도로 90%가 위구르 인들이라고 하며 한족은 10% 정도이나 한족의 이주 정책에

 의해서 점점 더 한 족의 비율이 늘어나고 있는 중이라고 한다.

 

바닷길이 열리지 않은 시절에는 이곳이 지리적으로 교통의 동서양의 교통의 중심지이다가 보니 여러 민족과 여러국가들이

 지배하는 그런 운명을 겪을 수밖에 없었던 곳으로 이곳에 살던 사람들은 그 고통을 고스란히 감내할 수밖에 없으며

 지금도 그 고통은 계속되고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우리가 어느 곳을 가게 되면 그 곳의 역사를 세세하고 알 필요는 없지만 그곳의 지리적 위치와 환경을 보면서 어떤 역사가 있었고

그곳의 사람들이 어떻게 살았을 것이라는 것은 이해할 필요가 있다.

그런 의미도 두지 않는다면 머나먼 길에 힘들게 시간과 비용을 들여서 갈 필요가 없는 것이 아닌가....

 

 

숙소에 도착을 하고...

 

숙소에 도착한 시간이 5시로 아직 어두어질 때까지는 시간이 남아서 주변부터 둘러 보기로 했다.

 

이곳에 도착하기 전에 이곳에서 둘러 볼 곳을 가이드가 알려 주는데 시간이 하루밖에 없기 때문에 나름대로 계획을 잘 짜야 한다.

먼저 가 보아야 할 곳이 대 바자르(시장), 향비묘(香妃墓)가 있는 아팍 호자 가문의 영묘신장지역에서는 제일 크다는 이드가 모스크,

올드타운야시장조금 멀리 떨어진 가축매매시장그리고 가무들 곁들인 국제시장의 음식백화점 등 등....

 

야시장과 올드타운쪽으로 가는 중

다양한 인종의 얼굴들이 보인다.

모자를 만드는 골목...

안으로 들어가면 모자만 파는 가게들만 있다.

이곳의 겨울이 영하 24도까지 떨어진다고,,,처음에는 털모자를 왜 팔지 했었는데.

이곳 사람들의 전통모자이다.

모피옷도 팔고...

 

대부분 각자 행동들을 하기 때문에 호텔에 있는 시내지도를 하나 얻어서 가고자 하는 곳을 그려가면서 확인을 하고 출발을 한다.

나는 호텔에서 그리 멀지 않은 곳에 올드타운 곁에 있는 유명한 야시장을 찾아가기로 했다.

이곳은 이슬람교인들이 사는 직역이지만 파키스탄에서 보았던 이슬람들의 삶의 모습과는 완전히 달라서 일단은 놀랍다.

 

가로 세로 50여 미터가 되는 내모난 광장에 먹거리를 파는 점포와 먹거리를 사먹는 사람들이 발 디딜 틈이 없다.

아직 저녁이 되지 않아서 조명이 들어오지 않았는데 저녁이 되면 조명도 들어오고 사람도 더 많아 진다고 한다.

이곳에서 돌아다니다 보니 이곳을 찾아온 일행도 만나고 각가 자신들의 취향에 맞는 음식들을 사 먹기도 한다.

잠깐 둘러보고 주변 거리를 보니 가 골목 안에는 이곳의 특산물을 만드는 사람들의 조각이 있어서 이곳이 어떤 공방(工房)

 있었던 곳인가를 알게 해 두었다.

 

야시장으로 들어가는 입구...입구에도

  길거리 어디에나 공안이 10M 간격으로 서 있다. 

 

 

양 족발...이곳은 이슬람지역으로 돼지 족발은 팔지 않는다.

수육들...그 자리에서 곧바로 그릇에 담아 준다.

일행이 사서 먹는데 한 입 얻어 먹었는데 먹을 만 하다.

우리나라의 순대 같은 것들

생선도 튀겨서 팔고

야채를 국수처럼 가늘게 채를 쳐서 국수와 섞어서 판다.

그릇에 비벼서 준다.

그릇에 담아서 손님들에게...

전갈 등 벌레를 튀겨 파는 곳

 

이곳에 바다도 없는데 새우도 판다.

야채국수를 파는 곳에서

한 그릇을 사 먹었는데 그리 권할 만한 것은 아니다.

 

야시장에서 나와서 올드 타운입구에 들러서...약도

이곳도 기원전부터 있었던 도시로...이곳은 그 때의 도시는 아니고 건너편에 고대도시가 있다고... 

들어가는 문마다 조각상이 있는데 이곳은 동문으로 악기를 연주하는 조각상이다.

다시 야시장쪽으로 오는데 황동과 구리 등의 세공품들이 진열되어 있는 것을 보아 공예품들을 만드는 공방이 있었던 골목이다.

목각 공예품이 있는 가게

다시 야시장으로 와서 구운 두부를 시켰는데..퍽퍽해서 ...

 

이곳에서는 의자가 부족하기 때문에 아무나 합석을 한다...가족들과 온 잘생긴 남자.

그 가족들

 

 

음식도 저렴하고 가짓수도 수백가지가 넘으며 보기에도 먹음직 보이는 음식들이 있어서 야채로 만든 국수와

생선튀김 두부튀김 등을 사 먹어 보았는데 생각만큼 우리 입맛에 맞지는 않는다.

 

 

야시장을 떠나서

숙소로 들어오는 중...우리가 묵는 호텔...호텔이 수시로 바뀔 때가 있는데 이번 경우는 아주 잘 바퀸 경우라고...관광지에 가깝게 있어서

숙소 창분에서 본 카스 야경    

 

 

아직 이곳이 처음이어서 야시장만 구경을 하고 숙소로 돌아온다.

내일 어떻게 동선을 짜서 어떻게 구경을 해야 하는가 하는 숙제를 안고 잠이 든다.

 

 

카스의 야시장

 

파는 음식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