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유족 자료실

한강 인도교 폭파 사건(漢江人道橋爆破事件)

작성자사무처|작성시간14.11.30|조회수218 목록 댓글 0

한강 인도교 폭파 사건(漢江人道橋爆破事件)

 

한국전쟁 당시인 1950년 6월 28일 2시 30분 대한민국 국군한강인도교를 폭파하여 민간인 800여 명이 사망한 사건을 말한다.

 

한강대교.

 

정부는 북한군이 한강을 넘어서 진격할 것을 우려해 6월 28일 새벽 2시 30분경 아무런 예고도 없이 한강에 단 하나뿐인 다리였던 한강대교(인도교)를 폭파하였다.

이 폭파로 50대 이상의 차량이 물에 빠지고 최소한 500명이 폭사하였다. 한강대교(인도교)의 폭파로 국민들은 오도가도 못하게 되었다. 지금까지도 정부의 이 같은 실책은 비판을 받고 있다. 당시의 전황으로 볼 때 6~8시간의 여유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조기 폭파로 인명 살상은 물론 병력과 물자 수송에 막대한 타격을 입혔다는 비판이 대두되자, 이승만 정권은(8월 28일) 당시 폭파 책임을 맡았던 공병감인 대령 최창식을 '적전비행죄'로 체포해 9월 21일 사형을 집행했다.

 

최창식은 12년 만에 재심을 거쳐 1962년 무죄 판정을 받아 사후 복권되었다.  한강대교(인도교)의 폭파로 국민들은 오도가도 못하게 되었고 조선인민군은 서울을 넘어 부산, 포항과 경상도 동해안, 대구, 울산, 경주, 영천과 그 이남을 제외한 모든 지역을 점령하게 되었다.

책임 소재

한강 철교의 폭파는 채병덕 국군참모총장이 지시했지만, 총리 이범석이 건의하였다는 주장도 있다. 1962년 재심에서 폭파 명령의 책임은 채병덕에게 있는 것으로 결론이 내려졌지만, 최창식의 고문이었던 미군 크로포드 소령은 당시 폭파명령을 내린 것은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의 고문으로 있던 미군 장교라고 증언했다. 당시 지휘계통상 채병덕에게 명령을 내릴 수 있던 사람은 하우스만 대령이다.

 

한강다리 폭파책임자 역사의 심판대에"
한국전쟁민간인피학살자 전국유족회, 평화재향군인회, 28일 '한강 인도교 폭파 희생자 위령제' 열어

 

1950년 6월 27일(한국전쟁 발발 사흘째) 
전세가 더욱 불리하게 전개되면서 수도 서울이 위협받게 되자 이승만 대통령은 이날 새벽 특별열차 편으로 대전으로 피난. 군은 대통령이 떠난 서울을 사수하기로 하고 전력을 집중시켰으나 창동 방어선이 무너짐.

 

오전 11시. 육군 긴급회의에서 채병덕 총참모장은 서울 사수를 포기하고 육군본부 서울 철수와 함께 한강 다리를 폭파하기로 결정. 이후 육군본부는 철수를 시작하여 시흥에 있는 육군보병학교로 이동.

낮 12시~오후 3시30분. 한강 인도교, 경부선 철교, 경인선 철교 폭파 장치 완료.

밤 11시30분. 폭파 준비 명령 하달.  

# 6월 28일 새벽 1시45분. 서울 돈암동에 북한군 전차 진입했다는 보고를 받은 채병덕 총참모장은 최창식 공병감에게 한강다리를 폭파하도록 명령. 

새벽 2시30분. 큰 폭음과 함께 한강다리 폭파. 그 시각 한강다리를 건너고 있던 500~800명의 민간인 사망. 국군 5개 사단과 지원부대 퇴로 막힘. 

오전 10시. 북한군 전차부대 한강대교 북단에 나타남.  

# 9월 21일. 한강다리를 폭파했던 공병감 최창식 대령 사형. 이후 1964년 부인이 제기한 항소심에서 재판부는 한강다리 폭파는 상관 명령에 따른 것으로 판단된다며 최 공병감에게 무죄 선고.

   
 
  ▲ 28일 오후 3시 서울 용산구 한강대교 노들섬 둔치에서 평화재향군인회 주최로 열린 '제1회 한강 인도교 폭파 희생자 위령제'에는 유가족 등 50여 명이 참가해 억울하게 목숨을 잃은 영혼들을 위로했다.
ⓒ 데일리중앙 석희열
 
 
평화재향군인회는 28일 오후 한국전쟁 당시 폭파됐던 한강대교 노들섬 둔치에서 '제1회 한강 인도교 폭파 희생자 위령제'를 열고 희생자들의 넋을 달랬다. 

김환영 평화재향군인회 사무처장은 "1950년 한국전쟁 발발 3일도 채 안 된 6월 28일 새벽 한강 인도교를 따라 평화롭게 피난하다 아무런 예고도 없이 다리가 폭파되어 무고하게 희생된 영혼을 달래기 위해 위령제를 준비했다"고 밝혔다. 

57년이 지나 처음 열리는 이 위령제에서 참가자들은 당시 한강다리 폭파 장면을 재연한 퍼포먼스에 이어 씻김굿과 추도사 등으로 희생자들을 위로했다. 

열린우리당 김원웅 의원은 추도사를 통해 "살기에 바빠서 영령들 앞에 너무 늦게 와 죄스럽고 부끄럽다"며 "늦었지만 잠자는 역사의 어깨를 흔들어 깨워 반드시 진실을 밝히고 억울한 영령들에게 국가의 이름으로 사죄하고 책임자를 처벌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다짐했다.

또 윤호상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피학살자 전국유족협의회' 협력특별위원장은 "이유도 모른 채 수백명의 목숨이 희생된 그날을 우리 어찌 잊을 수 있겠느냐"며 "억울한 넋을 달래기 위해 이승만 살인정권에 의해 저질러진 학살의 진상을 낱낱히 밝혀 책임자를 역사의 심판대에 올려야 한다"고 말했다.

추도사에 이어 참가자들의 분향과 묵념이 이어졌다. 분향 및 묵념이 끝난 뒤 참가자들은 주최 쪽이 준비한 떡과 음식을 나눠 먹으며 57년 전 억울하게 목숨을 잃은 희생자들을 추억했다.

표명렬 평화재향군인회 상임대표는 "국민을 이렇게 무참히 죽이다니, 이는 당시 정권이 국민을 얼마나 우습게 여겼는지를 보여주는 세계 전쟁사에 유래가 없는 대학살극"이라며 "이 무자비한 학살의 역사를 우리는 영원히 잊지말아야 하며, 이런 차원에서 현대사가 새로 쓰여져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위령제에는 유가족과 시민단체 대표 등 50여 명이 참가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