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예방접종 - 예방의학

닥스훈트 접시의 예방접종일~~

작성자더샵|작성시간10.06.24|조회수196 목록 댓글 0

 

 

오늘은 더 샵 동물병원의 단골 호텔 손님인 접시의 코로나 장염 추가 예방접종일 이네요~~ 접시는 어렸을때에 5차 예방접종까지 다하고 항체도 높게 나와서 1년이 지난 오늘 추가 예방 접종을 했습니다~

 

 

이름 : 접시

품종 : 닥스훈트

성별 : 중성화 수술된 공주님

나이 : 1년 3개월

성격 : 활동적이고 친구들과 잘 사귐

특기 : 공 물어오기

내원이유 : 추가 예방접종

 

 

접시는 닥스훈트인데 아주 작은 편입니다. 등에는 기름칠을 했는지 윤기가나고 아주 반들반들하고요..  ^^

성격도 아주 좋아서 병원에 있는 아이들과 잘 어울리고, 보호자분과 공 물어오기 놀기를 좋아하는 공주님입니다.

 

접종 할때도 저의 손을 살살 핥아 주시는 친밀함 까지 보여주시는 접시..

앞으로 남은 예방접종도 잘하고~  예쁘게 크길 바랄께요~~~  ^^

 

참.... 우리 접시의 성이 있었는데 빼 먹었네요.... 

 

접시 성은 '한' 이에요....  ^^;;

 

 


 코로나 장염에 대하여

 

코로나는 Coronaviridae에 속하고 단쇄의 RNA바이러스인 canine coronavirus가 원인체이며 70-120nm 의 크기를 지닌다. 바이러스는 nucleocapsid (N) p50와3개의 glycoprotein, gp204 (spike), gp23, gp22를 지니고 있으며 gp22는 TGEV에서는 보이지 않는 개 코로나바이러스의 특이 단백질이다.

 

[임상증상]

코로나 바이러스는 잠복기가 매우 짧고, 구토를 하며 설사는 감염 후 1-3일 까지 일어난다.

분변은 점액성, 수분을 포함하며 녹황색, 오렌지색 악취나는 혈변을 배출한다.

증상은 설사와 탈수, 기력감퇴, 구토, 식욕부진을 일으킨다.

본 병은 구토, 설사를 주요증상으로 하고 강아지나 성견에서 일반적으로 다발한다.

그러나 임상 증상이 불현성 감염이 많고 증상이 있다 하더라도 미약하게 나타나므로,

임상 진단으로 확진 하기가 매우 어렵다.

잠복기는 실험감염 후 24-36시간에 나타나고 자연 감염에서는 1-5일 이다.

설사와 구토를 동반할 때에는 초기에 구토를 보이다가 1-2일 경과하여

원기 소실, 식욕감퇴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체온는 정상이다.

설사는 감염 후 1-3일째에 나타나고 원기, 식욕의 감퇴, 구토와 가트상의 연변(軟便)에서

수양성있는 점액이나 혈액을 혼합한 혈액성 설사와 탈수가 보인다.

일반적으로 발열이나 백혈구 감소는 보이지 않지만, 환축의 대부분은 7-10일에서 회복한다.

백혈구 감소증은 자연 감염에서는 발생치 않는다.

2차 감염 세균, 기생충, 다른 바이러스들이 종종 감염되고 단독 감염시는 치사율이 매우 낮다.

열은 없고 이병율은 다양하나 치사율은 매우 낮다.

바이러스배출은 2주간 지속되며 중화항체를 동반한다.

 

[감염경로]

모든 종과 년령의 개는 이 바이러스에 감수성이 있고, TGEV에 감염된 개는 개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수성이 없다.

감염된 개는 6-9일 동안 바이러스를 배출하고, 일부는 계속 지속될 수도 있다.

전염경로는 직접적으로는 환견의 분변중에 배출되는 바이러스에 의해서 경구감염한다.

오염 된 물질이 겨울기간에 지속적으로 감염을 일으킬 수 있고 전염력이 강해서

특히 집단사육을 하 는 양견장에서는 급속히 전파한다.

감염된 환견과 접촉한 도구, 사람, 사료 등에 의해서 전파 되는 경우가 많다.

감염된 바이러스는 소장의 상피세포에서 증식하고 부수적으로 임파절, 때로는 간장, 비장에도 보이고

드물게는 인후두까지도 바이러스가 분리되지만 독혈증을 동반하는 전신감염은 인정되지 않는다.

고양이에도 감염되고, 바이러스가 배출되나 무증상 감염 유도한다.

 

[병인기전]

  이 바이러스에 감염된 장염은 돼지의 TGEV, 송아지의 코로나바이러스 장염과 매우 비슷하며

어린 강아지는 성견보다 더 감수성을 지닌다.

모체에 의한 태반감염은 장염을 유도하지 않으며, 자연적 감염경로는 경구감염이다.

산에 저항성이 있어 위를 통과하고 바이러스는 pinocytosis를 통해

장융모의 상부 2/3의 미세융모사이 endocytosis에 의해 섭취된다.

경구 섭취 2일 이내에 십이지장의 장융모에서 찾을 수 있으며

감염 후 4일 까지 소장에서 바이러스 검출되나 결장은 감염되지 않는다.

소장의 상피조직은 주요 목표로 융모를 파괴시키며 그 시기에 바이러스의 분 변 배출량은 최고가 된다.

간혹 장간막 임파절, 때로 간과 비장에서 동정되기도 한다.

흡수불량(malabsorption)이 있고 소화효소의 부족으로 설사를 일으키며

감염 후 18-72시간 동안 여러 날을 지속적으로 설사를 한다.

국소항체는 바이러스 전파를 방해하고 감염을 방제할 수 있으며

장 융모에서의 바이러스는 접종후 7일까지 십이지장에서 관찰되고 곧 소장 전체에서 보인다.

분변에서 배출하는 바이러스 는 치료경과와 함께 줄어든다.

국소면역은 장에서 IgA에 의해서 가능하고 감염방어에 필수적이다.

 


더 샵 동 물 병 원

송파구 신천동 17 - 6 영빌딩 103호

02 - 416 - 7512

주말, 공휴일 정상 진료

야간 응급 전화, 진료 가능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