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통나무주택정보

통나무주택 장단점

작성자김서호|작성시간22.10.07|조회수80 목록 댓글 1

 


 

통나무주택은 오랜 옛날부터 산림이 발달한 지역에서 독창적으로 발달해왔으며, 지역적 특성에 따라 형태는 조금씩 다르지만 가장 자연적인 건축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귀틀집 역시 이런 통나무 건축의 일종이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현대의 통나무주택은 산림자원이 풍부하고 발달된 목조건축기법을 가진 유럽인들이 아메리카 대륙으로 이주하면서 정립한 기술을 원류로 하고 있습니다. 통나무주택은 지역에 자생하는 산림으로부터 소재를 쉽게 얻을 수 있고, 당시의 건축 기법은 간단하여 도끼 한 자루만 있으면 건축이 가능하였기 때문에 개척시대에 널리 전파되었습니다.

19세기 이후 제재된 목재와 벽돌을 사용한 건축물이 주류를 이루게 되면서 통나무주택들은 점점 사라져가 산속의 오두막으로 명맥을 이어오다, 오늘날에는 자연소재의 건축물을 원하는 시류를 타고 다시 소생하기 시작했습니다.

우리나라에서의 통나무 건축은 산림대피소를 중심으로 조금씩 지어지기 시작하다 레스토랑과 같은 상업시설로 점차 퍼져나갔으며, 현재는 건강주택을 선호하는 풍조의 확산으로 일반 가정집으로도 많이 지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일부 매니아층을 중심으로 스스로 통나무주택을 짓는 사람들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통나무주택의 장점


나무로 지은 통나무주택의 장점은 여러 가지를 들 수 있지만, 가장 큰 것은 인간에게 유익한 건축물이라는 점입니다. 나무라는 자연소재를 풍부하게 사용하여 나무가 가지는 장점들을 최대한 살릴 수 있습니다.

나무는 습도조절 능력이 뛰어납니다. 이는 나무가 겨울을 나기 위해 가을에 잎을 통해 내부의 수분을 발산하고, 봄에 다시 물기가 오르는 현상으로 알 수 있습니다. 평균 30cm 직경에 길이가 11m인 원목의 경우 한봉의 최대 수분 조절량은 약 300kg정도 됩니다. 25평 통나무주택이 원목을 50봉 정도 사용한다고 보면 이론상 약 10톤의 수분을 조절할 수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건조한 겨울에는 수분을 뿜어내어 습도를 유지시켜주고, 다습한 장마철에는 내부의 수분을 흡수하여 실내가 습하지 않게 조절해줍니다.

나무의 섬유세포가 공기를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어 콘크리트의 10배 정도 되는 높은 단열성을 갖고 있는 것도 통나무주택을 건강하고 쾌적한 집으로 만드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나무의 열전도는 수심을 통해서만 전달되기 때문에 원목이 가지는 두께만큼의 단열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이 때 통나무주택의 단열성을 최대한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통나무와 통나무가 접하는 그루브 부분을 완벽하게 단열처리하여야 합니다. 통나무주택을 짓고는 여름에 덥고 겨울에 춥다고 하는 이유는 그루부와 개구부의 단열, 특히 지붕의 단열을 소홀히 한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기본에 충실한 단열처리만 한다면 통나무주택은 원목 자체만으로도 훌륭한 단열재입니다.

또한 통나무주택은 지진과 태풍 같은 자연재해에 강한 연구조 공법으로, 부재 하나하나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어 지진 등의 진동을 모두 흡수할 수 있는 구조입니다. 1995년 일본의 고베 대지진 때 24만여채의 주택들이 파괴되었지만, 피해지역의 통나무주택들은 안전하였습니다.

통나무주택의 수명은 일률적으로 정의할 수는 없습니다. 잘 지어진 통나무주택은 아주 오랜 기간 동안 사람이 거주할 수 있을 정도로 유지되지만 부적절하게 지어진 통나무주택들은 건축 후 몇 년이 지나지 않아서 사람이 거주하지 못하게 되어 비어 있는 통나무주택들도 더러 눈에 뜁니다. 이러한 건물들이 통나무집의 평판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통나무주택의 수명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건축 당시부터 보존을 염두에 두고 적절하게 비와 햇빛으로부터 보호받는 구조와 습기가 차지 않고 환기가 잘 되는 구조로 만들어져야 합니다.
통나무주택은 살아 있는 건축물이기 때문에 건축 후에도 지속적으로 유지와 관리를 하지 않으면 급격히 노화되어갑니다. 통나무주택의 수명은 통나무 자체의 수명보다는 구조와 유지보수에 의해 결정됩니다.

통나무주택의 단점


통나무주택이 가지는 단점은 장점과 마찬가지로 나무라는 자연소재이기 때문에 일어나는데, 일단 벌레들이 많이 모여드는 걸 들 수 있습니다. 사람이 살기 좋은 환경은 벌레들도 좋아하는 환경입니다. 통나무주택을 지으면 나무의 향기에 끌려서 많은 종류의 벌이 날아와 집을 짓습니다. 특히 말벌들이 도리에 집을 짓는 것을 많이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습기 조절에 실패한 집에서는 지네와 흰개미의 번식으로 피해를 입는 경우가 있습니다.

원목은 음을 잘 전달하고, 조적된 통나무 벽체의 요철은 음향을 불규칙적으로 확산시키기 때문에 통나무주택은 음향효과가 뛰어난 건축물입니다. 하지만 일상생활에서는 생활소음이 잘 울리는 단점으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특히 층간소음이 심하므로 바닥에 카펫이나 차음재를 설치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 통나무주택은 불에 잘 타지 않아 안전하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오해의 소지가 있는 부분으로 현재 통나무는 불연 재료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고, 이 때문에 건축법에 의해 3층 이상 건축할 수 없습니다.

산에 살아 있는 나무는 산불이 나면 겉 표면이 타면서 탄화되어 더 이상 불이 내부로 번지지 않습니다. 하지만 실제 통나무로 지은 건축물에서 불이 나면 전혀 다른 상황이 됩니다. 통나무가 건조되어가면서 갈라지기 시작하여, 장작과 같은 조건으로 변해가는 것입니다. 창문이나 문과 같은 개구부를 통해서 계속 공기가 공급되면 통나무부재는 쉽게 연소되게 됩니다. 통나무는 보통 침엽수로 짓는데 침엽수는 활엽수에 비해 불이 빨리 붙고 금방 타는 특성이 있습니다. 또한 통나무구조체 이외의 부재들이 연소되기 쉬운 재질이라면 더욱 조심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통나무주택은 불에 강한 집이라는 잘못된 지식을 믿고 아무 방비도 하지 않는 것은 아주 위험한 일입니다. 건축단계에서부터 화재가 발생하면 소화하기 유리하고 대비하기 편리한 구조로 설계하여야 합니다.
통나무를 옆으로 쌓아서 짓는 통나무조적방식의 경우 지나치게 많은 나무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산림환경의 파괴문제가 생기지 않을까 염려되기도 합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통나무주택에 사용되는 원목들은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국산 원목 중에서 통나무집을 짓기에 적합한 나무를 다량으로 구하기 어렵고, 값이 비싸기 때문입니다.

포스트앤드빔이라고도 하는 통나무목구조방식의 경우는 과다한 원목의 사용도, 압박감도 없어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사용하는 원목의 양이 통나무조적방식에 비해서 반 정도이기 때문에 나무가 가지는 장점도 그만큼 줄어듭니다.

통나무주택의 종류


통나무주택은 작업 방법에 따라 기계식과 수공식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기계식은 대형의 가공기계를 이용하여 통나무를 일률적으로 가공해 짓는 방법이며, 수공식은 대형기계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공구들을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하는 것을 말합니다.

수공식은 구조에 따라 통나무조적 방식(Notch, 노치 방식)과 통나무목구조 방식(Post&Beam, 포스트앤드빔 방식)과 이 두가지를 혼합한 혼합구조 방식(Combination)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통나무조적 방식(Notch)

통나무주택이라고 하면 우선적으로 떠오르는 방식으로 모든 벽체를 통나무로 구성합니다. 통나무를 수평으로 교차시키고 교차되는 부분에 노치라고 부르는 홈을 가공하고, 상하 통나무가 접합하는 부분에는 그루브를 가공하여 벽체를 구성하므로 구조적으로 강합니다.

나무의 장점을 최대한으로 살릴 수 있으며, 단열성 및 습도조절 능력이 뛰어나나 건축장소와 설계상 제약이 많고, 유지보수가 필요하다는 점이 단점이라면 단점입니다.

통나무목구조 방식(Post&Beam)

우리나라 전통한옥의 목구조와 같이 보와 기둥, 도리와 같은 주요 구조체만 통나무로 만드는 방식입니다. 적은 수의 통나무로도 구조체를 만들 수 있고, 통나무조적방식에 비해 다양한 형태의 공간을 구성하며 여러가지 마감재로 개성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통나무조적방식에 비해 저렴하고, 스스로 통나무주택을 지어보려는 사람들이 접근하기에 용이한 방식입니다.

혼합구조방식(Combination)

혼합구조는 통나무 벽체를 몇 단 조적한 위에 통나무목구조방식의 통나무주택을 만드는 수직적 의미의 혼합구조와 통나무조적 방식과 통나무목구조 방식을 수평적으로 결합하는 혼합구조가 있습니다. 통나무조적 방식의 웅장함과 통나무목구조 방식의 간결함을 같이 느끼고 싶을 때 많이 사용되는 방식입니다.

피스앤피스 방식(Piece&Piece)

통나무목구조 방식의 통나무주택에 벽체를 필라로그(pillarlog)라고 부르는 짧은 통나무를 통나무조적 방식으로 쌓아서 마감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수축이 일어나면 틈새가 생길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작업에 주의가 필요하며, 통나무를 많이 사용하는 만큼 통나무목구조 방식보다 습도조절 능력 등은 향상됩니다. 일부 벽체만을 피스앤피스로 작업하기도 합니다.

스스로 통나무주택 짓기


통나무주택의 공정은 아마추어들도 기본적인 기술만 익히면 비교적 쉽게 접근할 수 있어, 다른 건축방식에 비해 직접 집을 지어보려는 아마추어들이 많은 편입니다.

통나무기술의 대부분은 원목을 다루는 기술로, 통나무주택 짓는 기법을 익히면 한옥이나 퓨전 형태의 집, 황토집 등 여러가지 건축기법에 유용하게 응용될 수 있습니다.
통나무주택을 스스로 짓기 전에 시간과 예산을 줄이기 위해서는 철저한 준비가 필요합니다.

우선 인터넷이나 서적 등을 통해 통나무건축 뿐만 아니라 관련되는 목공사, 기초공사, 전기공사, 설비공사 등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공부해둘 필요가 있습니다. 건축박람회 같은 곳은 한번에 건축에 관한 많은 자료를 얻을 수 있는 기회입니다.

또한 다양한 교육과정에 참여하여 실제 기술을 익혀두는 것이 좋습니다. 이론으로 알고 있어야 되는 부분도 있지만 실제 몸으로 익혀야 하는 기술도 많습니다. 직접 교육을 통해 작업을 해보면 보는 안목이 생기며, 같은 뜻을 가지고 배운 동료들이 큰 힘이 되기도 합니다.

스스로 집을 지으려고 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으나 건축비를 절감해서 저렴하게 지어보려는 의도도 포함될 것입니다. 가능한 일이지만 건축경험이 없는 상태에서 작업을 효율적으로 진행하지 못할 경우 불필요한 경비를 지출해야 될 수 있고, 건축과정에 필요한 공구들을 구입해야 하는 부담이 있습니다. 최소 500만원 정도의 공구구입비가 들고, 경험이 없는 초보자가 작업할 경우 전문가의 반 정도도 효율을 내기 어렵습니다.

자기 집을 자신의 손으로 직접 지어보고 싶은 욕구에 의한 경우도 많습니다. 쉬운 과정은 아니지만 스스로 집짓기를 마친 후에 느끼는 성취감은 어떤 것과도 비교할 수 없는 값어치가 있습니다. 그러나 육체적으로 정신적으로 무척 힘든 과정이라는 것을 먼저 새겨두는 것이 좋습니다. 자신의 한계를 인식하고 자금력과 기술력, 체력이 감당할 수 있는 한계 내에서 집을 짓도록 합니다.

직장생활 등으로 주말만 시간이 나는 경우는 건축기간을 2~3년 정도 장기적으로 잡아야 합니다. 전적으로 집짓기에만 매달릴 경우 혼자서 작업할 경우는 약 1년 정도가 걸립니다. 장기전을 염두에 두고 가족의 이해와 협력을 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위에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전문가와 친분을 쌓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기술적인 어드바이스를 받고 자재수급 등에서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인터넷카페 등을 활용하여 기술자들과 교류하고 선배들의 경험을 참고로 하면 많은 실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습니다.

위험한 공사나 기술적으로 숙련이 필요한 부분은 전문가에게 의뢰하는 것도 한 가지 방법입니다. 초보자의 경우 시간이 오래 걸리고 완성도가 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자신은 없지만 직접 도전해보고 싶은 경우는 전적으로 외주를 주기보다 관련 전문가를 고용해서 같이 작업을 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스스로 집짓기를 한 경우에는 보수작업도 직접 하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에도 전문가와 같이 작업하면서 익혀둔 기술과 지식이 많은 도움이 됩니다.

 

토지사랑 http://cafe.daum.net/tozisarang/

토지투자동호회밴드

 

 

추천부탁드립니다 .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김서호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22.10.07 본격적인 가을 정취를 느껴보는 요즘입니다..
    모두가 건강하게지내면서 삶의 보람을 느껴보시기 바랍니다..
    정보 감사합니다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