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지오데식 돔하우스 제작 방법

작성자정현경|작성시간22.07.19|조회수201 목록 댓글 0

돔(Dome)하우스는 안정성이나, 내구성에서 상당히 좋은 구조 입니다.

우리나라처럼 겨울이 있는 도시농업에서 겨울에 필요한 온실 구조중에서 아름답고, 안정적으로 만들어 볼 수 있는 구조이기도 합니다.

돔구조 중에서 가장 잘알고 있는 구조가 에스키모하우스 눈집인 이글루 이지요?

추운 툰트라 기온에서 가장 흔한 눈과 얼음을 가지고 간단히 묶을 집을 만드는데, 아무리 강한 눈바람에도 무너지지 않고, 위에 눈이 쌓일 수록 더욱 단단하고, 따뜻한 구조가 된다고 합니다.

돔의 구조상 상부의 하중을 아래에서 분할해 나누는 구조이기 때문에 중간에 기둥이 없는 넓은 공간을 만들 수 있으며, 보는 사람들도 아름답고 안정적으로 느끼게 해주는 형태입니다. 2차원 아치의 형태에서 3차원 돔의 형태로 진화했는데, 우리 몸에도 갈비뼈나, 발바닥의 아치형태들이 외부 충격을 완화하고, 힘을 분산시켜 무너지지 않도록 만든 아치형 구조입니다.

 


힘의 구조에서 볼때 가장 안정한 구조는 원 그다음이 육각형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원은 그림으로 그리기는 쉽지만 실제로는 가장 만들기 힘든 구조이고, 육각형은 평면 구조에서는 유리하지만 입체의 3차원 구조에서는 계산 할 부분이 많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그 구조를 분할한 삼각형을 이용해 돔의 구조를 만들게 됩니다 . 

세분화 하다보면 언젠가는 원에 가까운 구조가 되겠지만.. 재료와 돈의 문제와 연결.. -_-;;

 

뭐 어렵게 말하면 지오데식 돔(geodesic dome) 구조가 대표적 입니다.

측지선을 따라 서로 장력이 작용하는 경량의 직선 구조재를 연결해 만든 돔형 구조물 이라는데.. 뭔말인지...

여기서 측지선은 원의 한점에서 다른지점 까지 가는 가장  짧은 거리를 이야기 합니다.

이래도... 뭔...소..리...

 

쉽게 말해서 안정적인 원형돔에 가장 가까운 방식으로 구조물을 만들 수 있는 방법이라는 뜻인데요..

가장 가볍고, 가장 안정적이며, 가장 적은 재료로 기둥없는 큰 공간을 만들 수 있는데 크기가 클 수록 튼튼하고 비용이 줄어드는 구조입니다.

요즘 이런 방법으로 많은 구조물이 만들어 지고 있습니다.

 

 

엄청나게 큰 구조물도 만들 수 있습니다.

그럼 이런 공학적인 계산은 어떻게 ㅜ_ㅜ.....

 

인터넷의 세상에서 무슨 걱정을 ^^~~

http://desertdomes.com/domecalc.html

여기 싸이트를 가시면 내가 원하는 크기의 각 부속 크기를 간단히 계산할 수 있는 식이 있습니다.

 

 

?어려운 계산식, 이론 이런건 다 잊어 버리시고, 여기에 사이즈만 넣어서 금방 사이즈 빼실 수 있습니다.

요즘 여러 사람들이 지오데식 돔을 도전하고 계신데요.저도 올해 시간을 내서 한번 도전 해볼 생각입니다. ^^

 

도시농업을 하시는 분들도, 기타 간단히 공간을 만들고 싶으신 분들도

큰 공간이 필요하신 분들은 한번 도전해 보시는것도 인생에 한 재미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

 

- 생존21 - 지진,재난,전염병,전쟁,사고로부터의 생존 skytree(서울) -

 

토지사랑 http://cafe.daum.net/tozisarang/

토지투자동호회밴드
(카페회원님들은 같이이용하시면됩니다)

 

추천부탁드립니다 .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