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지역냉방 흡수식냉동기 기술규격서

작성자전영자|작성시간20.06.02|조회수918 목록 댓글 0

 지역냉방 흡수식냉동기 기술규격서

제 정 2009. 03. 10.

   개 정  2015.12. 07.

개 정 2016. 06. 01.


제1조(적용범위) ① 이 규격은 온수이용형 지역냉방 적용기기로써 공사가 지역냉방 공급에 적합하다고 인정하는 냉동기에 적용하며 기기특성은 다음과 같다.

 1. 물(냉매)리튬브로마이드(LiBr) 수용액(흡수액)을 사용

 2. 증발기흡수기(보조흡수기 포함)응축기재생기(제1재생기, 제2재생기, 보조재생기 포함)각종 용액열교환기 등으로 구성

 3. 이 규격에 해당되는 온수이용형 지역냉방 적용기기로는 지역냉방 1단흡수식냉동기 및 지역냉방 2단흡수식냉동기를 말한다.

 

제2조(인용규격) ① 본 기술규격은 다음의 규격일부가 인용될 수 있다.

 1. KS B 6271 2002 흡수식냉동기

 2. JIS B 8622 2002 吸收冷凍機

 3. ARI 560 2000 ABSORPTION WATER CHILLING AND HEATING PACKAGE

 

제3조(용어의 정의) ① 이 규격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1. 정격(정해진 조건에서 지정되어 있는 성능)

  제조사가 보증한 기기의 사용한도 등 특성의 평가치를 명판 또는 판매용 서류에 표시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2종류의 정격이 있다.

  가. 표준정격

     표준정격 조건에서 시행된 시험을 기준으로 한 정격

  나. 비표준정격

     비표준조건(표준정격 이외 조건)에서 시행된 시험기준으로 한 정격

   (1) 정격냉동능력

     냉동기를 ‘제9조(냉동능력 및 난방능력 시험방법) 제3호(시험조건)’에 따라 운전하였을 때, 순환되는 냉수로부터 제거되는 열량.〔㎾(㎉/h)로 표시〕

 

   (2) 정격난방능력

     냉동기를 ‘제9조(냉동능력 및 난방능력 시험방법) 제3호(시험조건)’에 따라 운전하였을 때, 순환되는 온수에 가해지는 열량.〔㎾(㎉/h)로 표시〕

   (3) 정격방열량

     냉동기를 ‘제9조(냉동능력 및 난방능력 시험방법) 제3호(시험조건)’에 따라 운전하였을 때, 순환되는 냉각수로 방열되는 열량.〔㎾(㎉/h)로 표시〕

   (4) 정격유량

     냉동기의 냉동능력시험 또는 난방능력시험시 순환되는 냉수냉각수온수의 유량을 말한다.〔m3/h, ℓ/min, ton/h, ㎏/h로 표시〕

   (5) 정격손실수두

     냉수냉각수온수 등의 정격유량이 냉동기를 통과할 때 발생하는 수두손실의 값을 말한다.〔kPa(mH2O)로 표시〕

 2. 몸체열손실

  냉동기의 주위온도와 몸체표면의 온도차이에 의해 냉수와 온수측에서 손실되는 열량을 말한다.〔단위는 ㎾(㎉/h)로 표시〕

 3. 1단흡수식냉동기

  증발기흡수기응축기재생기용액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되어 1중효용 흡수식냉동사이클 원리로 구동되는 흡수식냉동기를 말한다.

  가. 냉수는 증발기에서 생산되며, 냉각수는 흡수기응축기를 통과함

  나. 지역냉난방용 공급온수가 냉동기의 재생기를 통과 흡수액을 농축시키는 원리로 냉동사이클을 구동함

 4. 2단흡수식냉동기

  증발기흡수기응축기제1재생기제2재생기보조재생기보조흡수기제1용액열교환기제2용액열교환기보조용액열교환기 등으로 구성

  가. 1중효용 흡수식냉동사이클과 보조흡수식냉동사이클의 원리로 구동

  나. 냉수는 증발기에서 생산되며, 냉각수는 흡수기보조흡수기응축기를 통과한다.

 

  다. 지역냉난방용 공급온수가 제1재생기제2재생기보조재생기를 통과하면서 흡수액을 농축시켜 냉동사이클을 구동함.

 5. 1단흡수식냉난방기

  1단흡수식냉동기에 난방용 온수발생장치를 추가하여 지역냉난방 겸용사용이 가능하도록 사이클이 구현된 기기

 6. 2단흡수식냉난방기

  2단흡수식냉동기에 온수발생장치를 추가하여, 지역냉난방 겸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사이클이 구현된 기기

 7. 시방서

  난방능력냉동기설계 및 제작요건 등을 기재한 서류

 8. 지역냉난방용 구동온수

  집중된 대규모 열원시설(열병합발전소, 첨두부하보일러, 쓰레기소각로등)에서 경제적으로 생산된 열을 지역전체에 냉난방 및 급탕용으로 공급하여 사용자기기를 구동하는 온수를 말한다.

  가. 1단흡수식냉동기에서는 재생기를 통과하며,

  나. 2단흡수식냉동기에서는 제1제2재생기 및 보조재생기를 통과하면서 흡수액을 가열 수증기(냉매)가 발생됨으로써 흡수제를 농축시킴

 9. 진공 (대기압보다 압력이 낮은 상태)

  대기압을 절대압으로 101.3kPa(760mmHg)이라고 할 때 이 값보다 낮은 압력상태

 10. 냉수 (냉동기 증발기를 통과하면서 냉각되어진 물)

  건물냉방 또는 산업체 제조공정의 냉각수 등으로 사용된다.

 11. 온수 (냉동기 증발기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물)

  건물난방 또는 산업체 제조공정의 가열용으로 사용된다.

 12. 냉각수

  흡수기(2단흡수식냉동기의 경우 보조흡수기 포함)응축기를 통과하면서 냉동기에서 방열되는 열을 흡수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물

 13. 오염계수

 

  냉수온수냉각수구동온수 등의 전열관에서 물쪽의 오염에 의해 발생하는 열저항〔단위는 m2K/W(m2h℃/㎉)로 표시〕

 14. 추기장치

  냉동기(기내)의 불응축 가스를 냉동기 외부로 추출제거하는 장치

 15. 성능계수 (COP : Coefficient of Performance)

  냉수계통에서 산출되는 냉동능력(kW)을 구동온수 계통에서 산출되는 가열능력(kW)으로 나눈 값

 16. 통합성능계수 (IPLV : Integrated Part Load Value)

  각 부분부하 운전조건에서 산출된 성능계수에 부분부하 운전시간을 곱하여 적산한 값의 평균값으로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가. 산출기준은 100% 부하운전시간(1%), 75% 부하운전시간(42%),

      50% 부하운전시간(45%), 25% 부하운전시간(12%)으로 규정한다.

〔표1〕IPLV 산출기준

< IPLV = 0.01A + 0.42B + 0.45C + 0.12D >

   

성능계수

A

B

C

D

운전부하(%)

100

75

50

25

  나. 흡수식냉동기의 부분부하 운전시간이 다르게 적용되는 경우에는, 한국지역난방공사의 승인을 득하여 운전부하 비율을 변경할 수 있다.

 17. 제어장치

  냉동기 운전을 위해 설치되는 제어 판넬 및 이와 관련된 제어부품, 온수제어밸브(냉난방용량 조절) 등을 말한다.

 18. 부대설비

  냉동기 운전에 필요한 설비로써, 냉수펌프온수펌프냉각수펌프 냉각탑수배관 등을 말한다.

 19. 부식억제제

  냉동기의 흡수제로 사용되는 리듐브로마이드용액의 부식 작용을 억제하기 위해 흡수액의 첨가제로 사용되는 약품

 

 20. 결정(Crystallization)

  냉동기의 흡수제로 사용되는 리듐브로마이드 용액이 과도하게 농축되어 리듐브로마이드(LiBr)성분이 고체상태로 석출되는 현상.

 21. 프레임 시험검사

  지역냉난방용 구동온수에 의해 작동되는 흡수식냉동기 제품규격 및  성능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시험성적서 발행을 위해 행해지는 검사

 22. 인수인도검사

  이미 프레임 시험검사에 합격한 것과 동일한 설계방식의 설계제조에 의한 제품의 인수인도시에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기능의 검사

 23. 프레임

  가. 동일한 설계방식을 이용 여러 모델을 설계할 때 적용하는 개념으로,

  나. 냉동능력당 전열면적은 동일하며, 기준모델의 전후로 모델을 확대하는 경우로, 냉동기 측면외형과 내부구조는 변경하지 않는다.

   (1) 냉동기외형(길이, 폭, 높이)은 변화시키지 않고 전열관(증발기흡수기보조흡수기응축기재생기제1재생기제2재생기보조재생기)의 수량만 변화시키는 경우가 있으며,

   (2) 전열관의 수량은 변화시키지 않고 전열관과 냉동기의 길이를 냉동능력에 비례해서 변화시키는 경우가 있다.

 

제4조(기기의 종류) ① 지역냉방용 흡수식냉동기는 냉동사이클의 차이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1. 1단흡수냉동기 

  1중효용형 흡수식냉동사이클을 이용한 기기

 2. 2단흡수냉동기 

  1중효용형 흡수식냉동사이클과 보조흡수식냉동사이클을 이용한 기기

 

 

 

제5조(제품규격)

 1. 전압과 주파수

  가. 냉동기(동력용) 정격전압은 3상 교류 220V, 380V, 440V, 460V로 하고, 정격주파수는 60Hz 전용으로 한다.

  나. 제어전원은 냉동기의 동력용 상기 ‘가’목의 공급전압을 제어용 전압〔교류(220V, 100V, 24V), 직류(24V, 12V)등〕으로 변환하여 사용한다.

 2. 지역냉난방용 구동온수 조건(1차측)

  가. 냉동기의 구동에너지(가열원) 계통 설계조건은 〔표2〕와 같다.

〔표2〕지역냉난방 1차측 공급계통 시험설비기준

 

입구온도

사용압력

손실수두(전열관+TCV)

95℃(±3℃)

1.57MPa

 (16kgf/cm2G)

89kPa

(0.9kgf/cm2G 또는 9.0mH2O)이하

   열사용시설기준 제11조 관련 : 전열관(0.6bar이내), TCV(0.3bar이내)

   1bar = 1.0197kgf/cm2G = 10.197mH2O = 1×105Pa

 3. 냉동기 구성기기 표준

  가. 냉동기 세부구성은 원칙적으로 〔표3〕의 표준기준을 따른다.

  나. 냉동기 각 세부 구성기기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1) 증발기 

    (가) 냉수 공급시에는 냉매펌프 가동으로 냉매액이 전열관군에 산포되어 증발함으로써, 전열관내의 냉수온도를 떨어뜨린다.

    (나) 온수 공급시에는 냉매펌프가 정지하며 냉매증기가 전열관군의 외부에 응축하거나, 흡수액 산포 또는 기타 반응을 없게 한다.

   (2) 흡수기 

    (가) 냉수 공급시에 증발기에서 증발된 냉매증기를 흡수액에 흡수시키고 증발기내의 압력을 일정한 값으로 유지하도록 한다.

 

    (나) 냉매 증기를 흡수할 때 발생하는 흡수열은 전열관군을 통과하는 냉각수에 의해 외부로 방출된다.

    (다) 흡수기에서 온수를 생산하는 경우에는 고온의 흡수액을 전열관군에 산포하여 온수를 가열한다.

   (3) 보조흡수기

    (가) 2단흡수식냉동기에만 있는 기기로써, 냉수 공급시에 제2재생기에서 발생된 냉매증기를 흡수액에 흡수시키고, 제2재생기내의 압력을 일정한 값으로 유지하도록 한다.

    (나) 냉매증기를 흡수할 때 발생하는 흡수열은 전열관군을 통과하는 냉각수에 의해 외부로 방출된다. 온수를 생산하는 경우에는 아무런 작용이 일어나지 않게 한다.

   (4) 응축기

    (가) 냉수 공급시에 재생기(2단흡수식냉동기의 경우 제1재생기와 보조재생기)에서 발생된 냉매증기를 전열관군을 통과하는 냉각수로 냉각하여 응축시킨다.

    (나) 온수를 생산하는 경우에는 아무런 작용이 일어나지 않게 한다.

   (5) 재생기 

      흡수기에서 공급된 저농도의 흡수액은 구동온수로 가열농축되어 고농도의 흡수액이 되고, 이 때 냉매증기가 발생한다.

      (1단흡수식냉동기의 주요구성기기)

   (6) 제1재생기 

      흡수기에서 공급된 저농도의 흡수액은 구동온수로 가열농축되어 중간농도의 흡수액이 되고, 이 때 냉매증기가 발생한다.

      (2단흡수식냉동기의 주요구성기기)

 

 

 

   (7) 제2재생기 

    (가) 냉수 공급시 제1재생기에서 농축된 중간농도의 흡수액은 구동온수로 가열농축되어 고농도의 흡수액이 되고, 이때 냉매증기가 발생한다. (2단흡수식냉동기의 주요구성기기)

    (나) 온수를 생산하는 경우에는 아무런 작용이 일어나지 않게 한다.

   (8) 보조재생기 

    (가) 냉수 공급시 보조흡수기에서 공급된 저농도의 흡수액은 구동온수로 가열농축되어 고농도의 흡수액이 되고, 이 때 냉매증기가 발생한다. (2단흡수식냉동기의 주요구성기기)

    (나) 온수를 생산하는 경우에는 아무런 작용이 일어나지 않게 한다.

   (9) 용액열교환기 

      흡수기에서 공급된 저온의 흡수액과 재생기에서 공급된 고온의 흡수액을 열교환시켜 저온의 흡수액은 가열하고, 고온의 흡수액은 냉각된다. (1단흡수식냉동기의 주요구성기기)

   (10) 제1용액열교환기 

      흡수기에서 공급된 저온의 흡수액과 제1재생기에서 공급된 고온의 흡수액을 열교환시켜 저온의 흡수액은 가열하고, 고온의 흡수액은 냉각한다. (2단흡수식냉동기의 주요구성기기)

   (11) 제2용액열교환기 

      흡수기에서 공급된 저온의 흡수액과 제2재생기에서 공급된 중온의 흡수액을 열교환시켜 저온의 흡수액은 가열하고, 중온의 흡수액은 냉각한다. (2단흡수식냉동기의 주요 구성기기)

   (12) 보조용액열교환기 

      보조흡수기에서 공급된 저온의 흡수액과 보조재생기에서 공급된 고온의 흡수액을 열교환시켜 저온의 흡수액은 가열하고, 고온의 흡수액은 냉각한다. (2단흡수식냉동기의 주요 구성기기)

 

   (13) 흡수액펌프

      흡수액을 제1재생기, 제2재생기, 흡수기 등으로 압송한다.

   (14) 보조흡수액펌프

      흡수액을 보조재생기, 보조흡수기 등으로 압송한다.

      (2단흡수식냉동기의 주요구성기기)

   (15) 냉매펌프  

      증발기에 고여있는 냉매액을 증발기 전열관군 위로 산포하여 냉매의 증발작용을 촉진한다.

   (16) 추기장치

      냉동기 내부의 불응축가스를 냉동기 외부로 추출제거하는 장치

   (17) 안전장치

      이상 현상 발생 또는 비정상적인 운전시 냉동기를 정지시키거나, 안전하게 운전되도록 냉동기를 제어한다.

   (18) 제어판넬

      냉동기 운전정지 등의 조작, 운전상태 감시, 고장현황 표시, 중앙제어장치 또는 주변장치와 신호 및 정보를 교환하는 장소.

   (19) 온수제어밸브(TCV : 온도조절밸브)

      냉동기로 들어오는 온수의 유량을 제어하여 냉동기의 냉동용량, 또는 난방용량을 조절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20) 명  판 (냉동기의 특징과 규격을 표시한다.)

   (21) 냉  매 (냉동기의 내부에서 증발하여 냉수를 냉각하는 매체.)

   (22) 흡수액 (흡수식냉동사이클에서 냉매증기를 흡수하는 매체.)

 

 

 

 

〔표3〕냉동기 표준기기 구성 일람표

              구  분

   구성기기

흡수식냉동기

비 고

1

2

증 발 기

 

흡 수 기

   ‘○’ 표는,

보조흡수기

 

   표준기기로서

응 축 기

   구비해야 할

재 생 기

 

   기본적인(표준)

제1 재생기

 

   구성기기를

제2 재생기

 

   표시한 것임.

보조재생기

 

 

용액열교환기

 

 

제1용액열교환기

 

 

제2용액열교환기

 

 

보조용액열교환기

 

 

흡수액 펌프

 

보조흡수액 펌프

 

 

냉 매 펌 프

 

추 기 장 치

 

안 전 장 치

 

제 어 판 넬

 

용량 제어장치

 

온수 제어밸브

 

명       판

 

흡  수  액

 

냉       매

 

 4. 안전장치

  냉동기의 제어계통에는 다음과 같은 안전장치를 갖추어야 하며, 안전장치는 성능시험전 또는 사용전에 필히 작동확인을 시행한다.

   (1) 냉수 동결방지용 온도스위치 

      냉동기 운전 중 냉수가 어느 일정온도(예:3℃) 이하로 낮아지면 냉동기를 정지시키는 온도스위치.

 

   (2) 냉매 저온스위치 

      냉매펌프를 가동하는 중에 냉매온도가 어느 일정온도(예:1℃) 이하로 낮아지면 냉동기를 정지시키는 온도스위치.

   (3) 냉수 플로우스위치

      냉동기 운전 중 일정시간 이상 냉수가 흐르지 않거나, 유량이 정격보다 크게 낮아지면(예:정격유량의 50%) 냉동기를 정지시키는 플로우스위치. (냉수계통의 입출구의 차압 이용방식도 가능)

   (4) 재생기 흡수액 고온스위치 

      냉동기 운전 중 재생기 흡수액의 온도가 어느 일정온도(예:90℃) 이상으로 높아지면 냉동기를 정지시키는 온도스위치.

   (5) 흡수액 펌프 전동기 고온스위치

      흡수액 펌프의 전동기고정자 권선온도가 그 내열온도(예:150℃) 이상으로 높아지면 냉동기와 흡수액 펌프를 정지한다.

   (6) 보조 흡수액 펌프 전동기 고온스위치

      보조 흡수액 펌프의 전동기고정자 권선온도가 그 내열온도(예:150℃) 이상으로 높아지면 냉동기와 보조흡수액 펌프를 정지한다.

      (2단흡수냉동기의 주요구성기기)

   (7) 냉매펌프 전동기 고온스위치 

      냉매펌프의 전동기고정자 권선온도가 그 내열온도(예:150℃) 이상으로 높아지면 냉동기와 펌프를 정지한다.

   (8) 흡수액 펌프 전동기 과전류 스위치 

      흡수액 펌프 전동기에 과전류시 냉동기 및 흡수액 펌프 정지

   (9) 보조 흡수액 펌프 전동기 과전류 스위치 

      보조 흡수액 펌프 전동기에 과전류시 냉동기 및 보조 흡수액 펌프 정지 (2단흡수냉동기의 주요 구성요소)

   (10) 냉매 펌프 전동기 과전류 스위치

      냉매 펌프 전동기에 과전류시 냉동기와 냉매 펌프를 정지한다.

 

   (11) 냉(온)수 펌프용 인터로크

      냉(온)수 펌프가 가동되면 접점을 붙여서 그 신호를 전달한다.

   (12) 냉각수 펌프용 인터로크 

      냉각수 펌프가 가동되면 접점을 붙여서 그 신호를 전달한다.

   (13) 접지용 단자

   (14) 재생기용액 오버플로우(Overflow)

      흡수식냉동기 용액열교환기의 흡수액 결정발생시 이를 해소하기 위해 재생기에서 흡수기로 공급되는 흡수액이 용액열교환기를 바이패스(Bypass)하는 장치.

   (15) 제2재생기용액 오버플로우(Overflow)

      2단흡수냉동기 제2용액열교환기의 흡수액 결정발생시 이를 해소하기 위해 제2재생기에서 흡수기로 공급되는 흡수액이 제2용액열교환기를 바이패스(Bypass)하는 장치.

   (16) 냉매 오버플로우(Overflow)

      흡수액 농도가 과도하게 농축되어 흡수액 결정발생 위험의 경우 증발기의 냉매를 흡수기로 전환 공급하는 장치이다.

 5. 제어장치 

   냉동기의 운전시 제어장치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갖추어야 한다.

   (1) 기동정지기능 (기기의 정상적인 기동정지기능을 갖추어야 한다.)

   (2) 부대설비 제어기능

      냉동기를 기동하거나, 정지할 때 그에 필요한 냉수펌프, 냉각수펌프, 냉각탑 등을 기동하거나 정지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어야 한다.

   (3) 희석사이클 기능

      냉동기 정지시 기기내부의 흡수액 농도를 상온에서 결정이 발생되지 않도록 낮출 수 있는 기능을 갖추어야 한다.

   (4) 용량제어 기능

      냉동 및 난방능력 부하조건에 맞게 비례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어야 한다.

 

   (5) 안전 정지기능

      냉동기에서 이상이 발생하여 정지가 요구되는 안전장치가 동작할 경우 냉동기를 안전하게 정지하는 기능을 갖추어야 한다.

 6. 지시 장치

   냉동기의 운전상황과 이력을 지시하는 지시장치는 다음과 같은 지시내용을 포함하여야 한다.

  가. 냉(온)수 입출구 온도

  나. 냉각수 입출구 온도

  다. 구동온수 입출구 온도

  라. 구동온수 제어밸브 개도

  마. 전원표시등

  바. 운전표시등

  사. 이상표시등

  아. 운전시간

 

제6조(성능 및 품질)

 1. 정격조건 ① 다음〔표4〕의 표준정격조건에 따르며, 비표준조건은 표준정격조건 이외의 조건으로 한다.

〔표4〕1단 및 2단흡수식냉동기 표준정격조건<개정 ‘15. 12. 07>

구분

온도조건(℃)

오염계수

m2K/W

(m2h℃/㎉)

IPLV(부분부하) 특성

입구

출구

냉 방

난 방

구동

온수

95

55

(80)

0.000018

(0.00002)

 - 입구온도 : 95℃

 - 구동 온수유량은, 냉동능력 요구수준의

   IPLV 능력에 맞게 100%이하로 줄인다.

냉수

12

7

0.000018

(0.00002)

 - 출구온도 : 7℃

  (냉수유량 일정)

-

온수

55

60

-

 - 출구온도 : 60℃

  (온수유량 일정)

냉각수

32

37

0.000044

(0.00005)

냉방능력

냉각수

입구온도

냉각수

유 량

비고

100%

32

일정함

중간부하

(25~75%)는 비례적으로 설정

0%

고효율인증

기술기준에

따름

75%

50%

25%

 

 2. 냉동능력 

  가. 냉동기의 냉동능력은 ‘제9조(냉동능력 및 난방능력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을 실시하며,

  나. 그 시험의 결과값은 표시한 정격냉동능력의 95% 이상이 되어야 한다.

 3. 난방능력 

  가. 냉동기의 난방 능력은 ‘제9조(냉동능력 및 난방능력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을 실시하며,  

  나. 그 시험의 결과값은 표시한 난방능력의 95% 이상이 되어야 한다.

 4. 구동온수열 소비량 

  가. 냉동기의 구동온수열 소비량은 ‘제9조(냉동능력 및 난방능력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을 실시하였을 때, 재생기가 소비하는 온수의 에너지 소비량

  나. 그 시험의 결과 값은 단위냉동능력 또는 단위난방능력당 정격값의 105% 이하이어야 한다.

 5. 통합성능계수(IPLV)

  가.〔표4〕의 표준조건에서 시험할 경우 아래의 〔표5〕의 값 이상이어야 한다.

  나. 단, 냉방사용조건 등 특성상 부득이한 경우 통합성능계수는 한국지역난방공사의 승인을 받아 그 이하의 값을 적용할 수 있다.

〔표5〕통합성능계수<개정 ‘15. 12. 07>

구   분

성능계수(COP)

통합성능계수(IPLV)

흡수식냉동기

0.64

0.83

 6. 손실수두 

  가. 냉동기의 손실수두는 정격손실수두 값의 110% 이내이어야 한다.

  나. ‘제10조(손실수두 측정)’에 따른 시험을 실시한다.

 

 

 

 7. 기밀성 및 내압성

  가. 냉동기 몸체의 기밀성

    (1) 누설량은 1.01 Pa㎖/s{1×10⁻⁵atm㏄/s} 이하여야 한다.

    (2) ‘제8조(성능시험 전 시험) 제1호(기밀시험)’에 따른 시험을 실시한다.

  나. 수계통의 내압성

    (1) 온수냉각수구동온수 계통의 변형파손은 절대 불가함

    (2) ‘제8조(성능시험 전 시험) 제2호(수압시험)’에 따른 시험을 실시한다.

 8. 절연저항

  가. 냉동기의 절연저항은 1㏁ 이상이어야 한다.

  나. ‘제8조(성능시험 전 시험) 제3호(절연저항)’에 따른 시험을 실시한다.

 9. 내전압 

  가. 냉동기의 내전압은 전기계통에 이상이 없어야 한다.

  나. ‘제8조(성능시험 전 시험) 제4호(내전압)’에 따른 시험을 실시한다.

 10. 소비전력

  가. 냉동기 소비전력은 시방서에 기재된 값의 105% 이하여야 한다.

  나. ‘제9조(냉동능력 및 난방능력 시험방법) 제9호(소비전력)’에 따라 측정시험 실시.

 11. 소음 

  가. 냉동기 소음은 85dBA 이하여야 한다.

  나. ‘제11조(소음측정)’에 따른 측정시험을 실시한다.

 

제7조(성능시험설비) ① 냉동기를 운전하여 정상운전 가능여부를 확인하고, 냉동난방능력, 손실수두, 소음 등을 측정하며, 관련사항은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따른다.

 1. 안정성

  가. 냉동기의 정상운전 및 신뢰성 있는 냉동능력과 난방능력 확인이가능하여야 하며,

  나. 안정된 전압주파수온수냉각수구동온수 등의 유량과 수온수압을 일정하게 유지가능한 시험설비를 구비하여야 한다.

 

 2. 측정기기의 검교정(계측기기의 정밀도 유지)

  가. 성능측정에 사용되는 온도계(전자식 온도측정기의 경우는 온도측정기록계와 온도센서포함) 및 유량계는 최소 24개월 주기로 국가공인기관 검교정을 필해야 한다.

  나. 검교정 측정부위는 성능시험시 측정하는 구간이 포함되어야 한다.

 3. 온도계기의 정밀도

  가. 시험에서 사용하는 온도계기의 정밀도는 다음에 따르며, 공인기관에서 검정한 것 또는 이것에 준한 것으로 한다.

    (1) 온수냉각수구동온수온도계(사용온도 범위 ± 0.1℃이하)

    (2) 온수입구 및 출구온도차 측정온도계는 그 온도차 측정의   정밀도가 사용범위에서 ± 0.1℃이하여야 한다.

    (3) 냉매흡수액 온도계(사용온도 범위에서 ± 0.5℃ 이하)

    (4) 온수냉각수구동온수온도계는 동일온도에서 반복측정시 그 값이 사용온도 범위에서 ± 0.05℃이하 범위로 표시되어야 한다.

 4. 전자식 온도측정시의 검교정 

  가. 전자식 온도측정시 온도측정기록계와 온도센서를 연결하여 측정하는 경우 온도센서 및 온도측정기록계 단위세트 검정을 필한다.

  나. 또한 검정을 받을시 냉온수입/출구냉각수입/출구구동온수입/출구 등에 대한 측정부위를 미리 지정하여야 한다.

 5. 온도계의 설치위치

  가. 온도계 또는 온도센서는 흐르는 유체의 평균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곳에 설치해야 한다.

  나. 유체가 잘 섞이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면 측정부위 상류에 유체를 섞는 물 혼합장치(스월-Swirl장치 또는 U자관 배관)을 부착한다.

  다. 또한 온도계 또는 온도센서 배관내 삽입깊이는 그 보호관 외경의 10배 이상의 깊이로 하여 외부온도의 영향을 최소화 해야 한다.

 

 6. 유량계의 종류

  가. 유량계는 오리피스차압식유량계전자식유량계터빈유량계

      초음파유량계만 사용할 수 있다.

  나. 다른 종류의 유량계를 사용할 경우에는 그 유량계의 정확성을 증명하는 서류 및 시험결과를 구비해야 한다.

 7. 유량계의 정밀도

  가. 시험에 사용되는 유량계정밀도는 측정값의 ± 1.0%이어야 한다.  

  나. 유량계 최대측정범위(Full Scale)에서 오차는 적용하지 않는다.

 8. 유량계의 설치 위치

  가. 유량계는 정확한 측정을 위해 유량측정부위 전후에 직관부 확보 또는 스트레이트너(Straightener)를 설치해야 한다. 직관부란 유량측정부위와 직관이 시작되는 곳 사이의 거리를 말한다.

  나. 설치유량계 제조사가 제시하는 직관부 길이가 아래와 다를 경우 제조사의 설치지침에 따라서 직관부의 길이를 변경할 수 있다. (단, 이에 대한 제조사의 신뢰성 있는 기술서류를 구비해야 한다.)

    (1) 전자식유량계터빈유량계초음파유량계 등은 유량계 내경과 전후 배관의 내경이 같아야 한다.

    (2) 하류측에는 배관 내경의 5배의 직관부를 갖추어야 한다.

    (3) 상류측에 엘보우가 1개만 있는 경우는 상류측 직관부가 배관 내경의 10배 이상이어야 한다.

    (4) 상류측에 축관부 또는 확관부(Reducer)가 1개만 있는 경우는 상류측 직관부가 배관내경의 10배 이상이어야 한다.

    (5) 상류측에 엘보우가 2개가 있고 2개의 엘보우가 하나의 평면에 있지 않는 경우는 상류측 직관부가 배관 내경의 20배 이상이어야 한다.

    (6) 상류측에 티(Tee)가 있는 경우는 상류측 직관부가 배관 내경의 15배 이상이어야 한다.

    (7) 상류측에 밸브가 있는 경우는 상류측 직관부가 배관내경의 20배 이상이어야 한다.

 

    (8) 상기와 같은 직관거리 확보가 불가능할 경우, 유량의 정확한 측정을 위해 스트레이트너(Straightener-정류기라고도 함)를 설치할 수 있다.

    (9) 스트레이트너(Straightener-정류기라고도 함)의 길이는 배관경의 2배 이상이어야 한다.

    (10) 스트레이트너(Straightener)안에 삽입되는 관의 내경은 배관경의 1/3 이하이어야 하며, 삽입관 두께도 1mm 이하여야 한다.

    (11) 스트레이트너(Straightener)의 전후부 배관의 직관부는 배관경의 5배 이상이어야 한다.

    (12) 유량계가 설치되는 곳은 항상 물이 배관 내에 가득 차 흐름으로써, 기포혼입 및 부압형성이 방지되는 곳이어야 한다.

    (13) 유량계는 수평으로 설치해야 한다. 단, 수직 또는 경사지게 설치하는 경우는 유량계 제조사의 확인서류가 구비되어야 한다.

 

제8조(성능시험 전 시험)

 1. 기밀시험 

  가. 흡수액 냉매계통이 포함된 몸체의 기밀시험은 헬륨가스(기계 밖으로부터 기계 내로)에 의하여 기밀성을 시험하며,

  나. 누설량은 ‘제6조(성능 및 품질) 제7호(기밀성 및 내압성)’에 따라 기준값 이하여야 한다.

 2. 수압시험 

  가. 냉온수냉각수구동온수 등의 계통에 적용하는 수압시험은 최고사용압력의 1.5배 이상 조건에서 시행하며,

  나. 이를 10분 이상 지속시 변형 또는 파손이 없어야 한다.

 3. 절연저항 

  가. 절연저항은 시험운전 전후에 시행하며,

  나. 500V 절연저항계를 사용하여 충전부와 접지 우려가 있는 비충전 금속부와의 사이의 절연저항을 측정한다.

 

 4. 내전압 

  가. 정격전압 회로에 대한 내전압 시험은 〔표6〕의 기준에 따르며, 주파수 60Hz의 사인파에 가까운 전압을 충전부와 비충전 금속부와의 사이에 연속하여 1분간 지속적으로 가한다.

〔표6〕정격전압 대비 시험전압 기준

 

정격전압

내전압

30V이하

100V

200V/220V

400V

440V

시험전압

500V

1,000V

1,500V

1,800V

1,880V

  나. 정격출력이 400W 미만인 전동기에서는 1,000V로 하며, 조작회로 전압에서 내전압이 직류 30V 이하인 회로에 사용되는 전자응용 부품에 대해서는 내전압 시험을 생략할 수 있다.

 5. 안전장치 

   성능시험 전에 작동확인을 해야 하며, ‘제5조(제품규격) 제4호(안전장치)’에 따른다.

 

제9조(냉동능력 및 난방능력 시험방법)

 1. 시험방법 

  냉동기의 냉동능력과 난방능력은 다음〔표7〕에 나타내는 구성부를 통과하는 유량과 입출구온도를 측정하여 계산할 수 있다.

〔표7〕냉동기 냉난방능력 측정 구성부

시험항목

구 성 부

냉동능력

증발기

난방능력

증발기/흡수기응축기/온수열교환기

 2. 시험준비(시험을 실시를 위해 다음의 준비를 한다.)

  가. 냉동기 구비부품 전체부착 및 제어장치에 모든 기능을 입력한다.

  나. 냉동기에 냉매와 흡수액을 봉입한다.

  다. 불응축가스의 충분한 추기로 냉동능력 저하를 최소화 한다.

  라. 냉동기에 냉온수냉각수구동온수 배관연결 및 수배관내의 공기를 완전히 제거하고 물채움을 확인한다.

 

  마. 냉동기에서 나오는 냉온수출구냉각수출구구동온수출구에는 측정부위 전단에서 물이 충분히 혼합되어, 물의 평균온도가 측정될 수 있도록 물 혼합장치(스월-Swirl장치 또는 U자관 배관)을 부착하고 그 하류에서 온도를 측정해야 한다.

 3. 시험조건 다음〔표8〕의 기준을 따르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표8〕항목별 시험조건<개정 ‘15. 12. 07><개정 ‘16. 6. 1>

항  목

시 험 조 건

비고

전  원

 정격주파수 및 정격전압 (공차는 각 정격의 ±2%)

 

냉  수

 출구온도  7±0.5℃ (유량 : 정격의 ±5%)

 

냉각수

 입구온도 32±0.5℃ (유량 : 정격의 ±5%)

 

온  수

 출구온도 60±0.5℃ (유량 : 정격의 ±5%)

 

구동온수

 입구온도 95±2℃ (유량 : 정격의 ±5%)

 

부분

부하

특성

냉수

공급

 냉수공급시 냉수 출구 온도 일정 (7±0.5℃)

 냉각수 입구온도능력 100%시 32±0.5℃,

   (입구온도능력 0%∼75%시 고효율인증 기술기준에 따름)

 

온수

공급

 온수공급시 온수출구온도 일정 (60±0.5℃)

 

2

냉동기

 부분부하 운전시 보조사이클 정지 가능함.

 

 4. 측정방법 측정은 다음과 같이 한다.

  가. 시운전설비/냉동기부대설비 운전 및 냉동기를 기동하여, 상기의

      ‘제9조〔표8〕항목별 시험조건‘에 맞추어 조정한다.

  나. 온도 및 유량측정은 정상상태에 도달한 다음에 시작한다.

  다. 시험조건 변경시에는 변경조건의 정상상태 도달 후 측정개시 함.

    ※ 정상상태란, 

       시험목적의 중요계기 지시를 시험측정 개시 전 안정화하는데 소요시간.

       또는 이를 포함한 시험시간을 통하여 연속적인 관찰 및 그 값이 ‘제9조〔표8〕항목별 시험조건’ 온도변동 허용차 내에서 안정되어 있는 상태.

  라. 시험조건 변동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측정항목에 대한 동시측정이 가장 바람직하다.

 

  마. 부분부하특성

    (1) 정격냉동능력의〔0~75%〕부하범위 중에서 2점 이상을 측정하고, 그 측정값이 계산된 산출값과 일치하면 계산값으로 할 수 있다.

    (2) 계산값이 없으면〔25%, 50%, 75%〕중 최소 3점을 측정 및 그 특성을 산출한다.

 5. 시험기록 

   냉동능력난방능력방열량 및 가열원소비량 산출을 위한 기록사항은〔표9〕에 나타낸 바와 같다.

〔표9〕시험기록 현황

구분

냉동능력

난방능력

방열량

가열원소비량

해당

기기

증발기

증발기/흡수기, 응축기/온수열교환기

흡수기, 응축기,

2단냉동기

(보조흡수기)

재생기,

2단냉동기

(제12재생기, 보조재생기)

기록

사항

1.냉수입구온도(℃)

2.냉수출구온도(℃)

3.냉수유량

 (㎥/h, ℓ/min)

1.온수입구온도(℃)

2.온수출구온도(℃)

3.온수유량

 (㎥/h, ℓ/min)

1.냉각수입구온도(℃)

2.냉각수출구온도(℃)

3.냉각수유량

 (㎥/h, ℓ/min)

1.구동온수입구온도(℃)

2.구동온수출구온도(℃)

3.구동온수유량

 (ton/h,㎏/h,㎥/h,

ℓ/h,ℓ/min)

 6. 냉동능력 및 난방능력 산출방법 

  가. 냉동능력

 

     

     

 

  : 냉동 능력 (㎾){㎉/h}

 

 

  : 냉수 유량 (㎥/h)

 

  : 냉수 비열 (kJ/㎏℃){㎉/㎏℃}

 

  : 냉수 밀도 (㎏/ℓ)

 

  : 냉수 입구온도 (℃)

 

  : 냉수 출구온도 (℃)

 

   

 

  나. 난방능력

     

     

 

   : 난방 능력 (㎾){㎉/h}

 

 

   : 온수 유량 (㎥/h)

 

   : 온수 비열 (kJ/㎏℃){㎉/㎏℃}

 

   : 온수 밀도 (㎏/ℓ)

 

   : 온수 입구온도 (℃)

 

   : 온수 출구온도 (℃)

 

 

  다. 냉동능력을 발휘하고 있을 때의 방열량은 다음 식으로 산출한다.

     

     

 

   : 방열량 (㎾){㎉/h}

 

 

   : 냉각수 유량 (㎥/h)

 

   : 냉각수 비열 (kJ/㎏℃){㎉/㎏℃}

 

   : 냉각수 밀도 (㎏/ℓ)

 

   : 냉각수 입구온도 (℃)

 

   : 냉각수 출구온도 (℃)

 

 

 7. 가열원소비량 산출방법 

  가. 가열원계통 보온시(구동온수계통재생기제1제2재생기보조재생기)

     

     

 

   : 가열량 (㎾){㎉/h}

 

 

   : 구동온수 유량 (ℓ/h)

 

   : 구동온수 비열 (kJ/㎏℃){㎉/㎏℃}

 

   : 구동온수 밀도 (㎏/ℓ)

 

   : 구동온수 입구온도 (℃)

 

   : 구동온수 출구온도 (℃)

 

 

 

  나. 가열원계통 미보온시(구동온수계통재생기제1제2재생기보조재생기)

     

      l은 열손실율을 나타내며, 기타 표시내용은 상기와 같음.

 8. 열손실율 계산방법 

  냉동기의 열손실은 표면온도가 100℃이하로 낮아 대류에 의한 열손실만을 계산하며, 열손실률 계산방법은 다음과 같다.

 

  가. 열손실량은 다음 식에 따른다.

 

    (1)   

    (2)     

     

 

   : 보온 시공전의 열손실량 (W){㎉/h}

 

 

   : 보온 시공후의 열손실량 (W){㎉/h}

 

   : 몸체 표면온도 (℃)

 

   : 주위온도 (℃)  

 

   : 표면의 열전달률 (W/㎡K){㎉/㎡h℃}

 

   : 표면적 (㎡)

 

   : 보온재의 두께 (m)

 

   : 보온재의 열전도율 (W/mK){㎉/mh℃}

 

     여기에서, 주위온도   = 20 ℃,

     표면의 열전달률    = 11.63 W/㎡K{10㎉/㎡h℃}

 

 

 

  나. 열손실률은 다음 식에 따른다.

      

     

 

    : 열손실률

 

 

   : 보온시공전의 열손실량 (W){㎉/h}

 

   : 보온시공후의 열손실량 (W){㎉/h}

 

   : 가열원소비량 (W){㎉/h}

 

    ※ 열손실률은 냉동기의 종류구조용량보온규격 등에 따라 수치가 다르다. 정격부하시의 열손실률을 계산식(‘나’목)에 의해 나타난 평균적인 값을 참고로 〔표10〕표에 나타낸다.

 

〔표10〕열손실율 (   )

       냉동용량

  종 류

175kW

{150,500㎉/h}

350kW

{301,000㎉/h}

1,050kW

{903,000㎉/h}

1,750kW

{1,505,000㎉/h}

1단흡수식냉동기

0.011

0.007

0.004

0.004

2단흡수냉동기

0.016

0.013

0.008

0.007

 9. 소비전력

  소비전력은 정격운전중의 값을 전력계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10. 추가 기록사항 

  ‘제9조(냉동능력 및 난방능력 시험방법) 제5호(시험기록)’에 규정한 사항 외에 다음의 해당사항을 기록한다.

  가. 명판에 기재된 사항

  나. 시험장소의 주변온도(℃)

  다. 시험장소 및 일자

  라. 시험자의 소속 및 성명

 

제10조(손실수두 측정)

 1. 측정시기

  가. 안정된 상태에서 냉온수계통냉각수계통구동온수계통에 차압계를 연결하여 손실수두를 측정한다.

  나. ‘제9조〔표8〕항목별 시험조건’에 따른 운전을 시행한다.

 2. 측정방법 

  가. 정격유량이 흐를 때 냉동기 입구와 출구의 압력차를 측정한다.

  나. 이때 차압계와 수 배관 접속구의 연락관내의 공기를 완전히 제거하고 물을 가득 채운다.

 3. 손실수두 산출방법 (다음식에 따른다.)

    

     

 

   : 차압계에 의하여 측정한 손실수두(m)

 

 

   : 수배관 입구 쪽 압력(kPa){㎏f/㎠}

 

   : 수배관 출구 쪽 압력(kPa){㎏f/㎠}

 

제11조(소음측정)

 1. 측정시기와 조건

  가. 바닥면 이외에는 음의 반사가 없는 장소에서 냉동기의 운전소음을 측정하며, 냉동기는 ‘제9조〔표8〕항목별 시험조건’에 따라 진동이 없는 견고한 위치에서 운전해야 한다.

  나. 측정대상의 소음과 암소음의 차가 10㏈(A) 이상 있어야 하지만, 그 이하인 경우에는 보정할 수 있다.

 2. 측정위치

  〔그림 1〕에서와 같이 높이 1.5m에서 냉동기 측면에서 1m 떨어진   수직면에서 소음레벨이 최대지점을 포함한 주위 4개소로 한다.

 

〔그림 1〕소음측정 위치



 3. 시험기록 (이 시험에서 필요한 기록은 다음과 같다.)

  가. 측정위치

  나. 암소음[㏈(A)]

  다. 소음레벨의 눈금값[㏈(A)]

  라. 측정값[㏈(A)](눈금값에 암소음의 보정을 행한 값)

  마. 측정기 명칭과 형식

  바. 측정자의 소속과 성명

 

 

제12조(검사)

 1. 프레임 시험검사 

   ‘제8조(성능시험 전 시험)’, ‘제9조(냉동능력 및 난방능력 시험방법)’, ‘제10조(손실수두 측정)’, ‘제11조(소음측정)’에 따른 모든 검사결과가 ’제5조(제품규격)‘, ’제6조(성능 및 품질)‘의 요건에 적합하여야 한다.

  가. 냉동능력

  나. 난방능력(냉난방기일 때에만 적용한다)

  다. 가열원소비량

  라. 방 열 량

  마. 손실수두

  바. 부분부하특성

  사. 기밀성과 내압성

  아. 절연저항

  자. 내 전 압

  차. 소비전력

  카. 안전장치의 작동

  타. 소    음

 2. 인수인도검사 (다음 항목에 대하여 전부 또는 샘플링하여 한다.)

    인수인도 당사자간 협의시 검사항목 일부를 생략할 수 있다.

  가. 냉동능력

  나. 난방능력(냉난방기만 적용)

  다. 가열원소비량

  라. 방 열 량

  마. 손실수두

  바. 기밀성 및 내압성

  사. 절연저항

  아. 내 전 압

  자. 소비전력

  차. 안전장치 작동

 

제13조(제품의 표시)

  설치된 냉동기에는 기기운영관리자가 식별 가능한 위치에 각인된 기기명판을 부착하여야 하며, 제품의 표시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 형    식〔모델〕

  나. 제품명칭

  다. 정격냉동능력〔㎾, ㎉/h, usRT〕

  라. 냉수출구 및 입구온도〔℃〕

  마. 냉수유량〔㎥/h, ℓ/min〕

  바. 냉각수 입구 및 출구온도〔℃〕

  사. 냉각수 유량〔㎥/h, ℓ/min〕

  아. 가열원소비량〔ton/h, ㎥/h, ℓ/h, ℓ/min〕

  자. 가열원의 종류 또는 발열량

  차. 전    원〔전압(V), 상수, 주파수(Hz)〕

  카. 제조번호

  타. 제조연월

  파. 제조자명 또는 그 약호

  하. 난방이 가능한 냉난방기 경우에는 다음의 표기를 추가한다.

   (1) 정격난방능력〔㎾, ㎉/h〕

   (2) 온수출구 및 입구온도〔℃〕

   (3) 온수유량〔㎥/h, ℓ/min〕

 

제14조(취급설명서)

 1. 냉동기의 올바른 운전 및 유지관리를 위하여 운전취급유지관리요령 등을 기재한 냉동기 취급설명서를 구비하여야 한다.

 2. 별도시방서(기기형식성능시방 등)를 구비하는 것도 바람직함.

 

제15조(시험성적서) 

 1. 제조자는 필요시 다음의 각 시험항목별 검사결과에 대한 시험성적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2. 각 시험항목은 다음과 같다.

  가. ‘제8조(성능시험 전 시험)’

  나. ‘제9조(냉동능력 및 난방능력 시험방법)’

  다. ‘제10조(손실수두 측정)’

  라. ‘제11조(소음측정)’

 3. 제1항, 제2항에도 불구하고 고효율에너지기자재 인증 흡수식냉동기는 고효율 인증 신청용 시험성적서로 대체하여 제출할 수 있다.

    단, 제6조(성능 및 품질) 제1항 정격조건의 구동온수 출구온도(55℃) 조건은 만족하여야 한다. <신설 ‘16. 6. 1>

 

제16조(기기운전 및 취급)

 1. 냉동기를 운전 및 취급시 주의사항은 다음과 같다.

  가. 냉동기 및 부대설비(냉수냉각수펌프, 냉각탑, 공조기등)의 구조, 성능 등의 구체적인 파악 및 안전장치의 기능을 주지한다.

  나. 안전장치 제거 또는 작동불가능시 기기운전은 불가함.

  다. 안전장치 및 제어장치의 설정치 등의 임의변경 및 운전 불가함.

  라. 냉동기의 운전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운전 순서는 부대설비(냉수냉각수펌프, 냉각탑, 공조기 등)를 포함 취급설명서에 기재된 올바른 조작순서에 따른다.

   (2) 부대설비 및 냉동기가 시간차에 따라 자동기동 또는 정지순서가 정해져 있을시, 임의로 시간차를 변경 또는 조작해서는 안 된다.

 

   (3) 운전 중인 기기는 정상운전 상태를 주기적으로 점검확인한다.

   (4) 비정상상태 정지 후의 재 기동은 이상 원인을 제거하고 안전을 확인한 후 취급설명서에서 정해진 방법에 따라 기동한다.

 2. 일상점검

  가. 진공관리

   (1) 냉동기는 기내의 진공상태에 의해서 성능기능내구성 등의 영향이 크므로 상시진공상태를 관리한다.

   (2) 추기 등의 진공유지 조작을 필요로 하는 기기는 취급설명서에서 정한 간격과 순서에 따라 추기조작을 실시하여야 한다.

  나. 일상점검운전데이터 기록은 취급설명서에 따라 시행한다.

 3. 정기점검 

  가. 정해진 점검항목점검방법 등에 따라 정기적으로 점검한다.

  나. 점검결과는 기록하여 문서로 보관한다.

  다. 수질관리는 다음에 따른다.

   (1) 냉동기수질(냉수온수냉각수)은‘〔표9〕냉각수의 수질기준’에 따른다. 

   (2) 냉각탑에 보충되는 보급수 수질은‘〔표10〕보급수 수질기준표’에 따른다.

   (3) 냉각수 계통에는 부식방지, 스케일 및 슬라임 방지를 위해서 수처리제를 주기적으로 적정량을 투입한다.

   (4) 불순물농축 방지 등을 위하여 냉각수의 일부는 배수(Bleed Off)시키고, 필요시 냉각수 전량을 교환한다.

   (5) 수실내부개방 점검결과에 따르거나 정기적인 전열관 세척실시함.

   (6) 지하수(pH낮음, 탄산가스용해)가 냉각탑 순환시 탄산가스가 제거(pH중성)되므로 사용가능. (냉각수와 보급수 pH기준 상이)

  라. 흡수액 관리

   (1) 흡수액을 취급설명서에서 정해진 간격으로 샘플링 하여 농도, pH(또는 알칼리도), 부식 억제제의 함유량, 오염 등을 검사한다.

 

   (2) 검사결과에 따라 필요시 부식억제제를 첨가하고, pH(또는 알칼리도)를 조정하며,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여과(필터링)작업 등을 실시한다.

   (3) 냉동기 외부로 흡수액을 유출하거나 버리지 않는다.

〔표11〕냉각수 수질기준

항   목

기 준 값

경  향

(전열관에 미치는 영향)

부 식

스케일생성

 pH (25℃)

6.5 ~ 8.0

 도전율(25℃)   〔㎲/㎝〕

800 이하

 염화물이온Cl 〔㎎Cl/ℓ〕

200 이하

 

 황산이온SO₄²〔㎎SO₄²/ℓ〕

200 이하

 

 산소비량(pH4.8)〔㎎CaCO₃/ℓ〕

100 이하

 

 전 경 도     〔㎎CaCO₃/ℓ〕

200 이하

 

 철 Fe        〔㎎Fe/ℓ〕

1.0 이하

 황화물이온S²  〔㎎S²/ℓ〕

검출 안될 것

 

 암모니아NH₄〔㎎NH₄/ℓ〕

1.0 이하

 

 이온상실리카SiO₂〔㎎SiO₂/ℓ〕

50 이하

 

   * 배관재질 등에 따라 기준값을 다르게 적용할 수 있다.

〔표12〕보급수(주) 수질기준

항  목

기 준 값

 pH (25℃)

6.0 ~ 8.0

 도전율(25℃)   〔㎲/㎝〕

200 이하

 염화물이온Cl 〔㎎Cl/ℓ〕

50 이하

 황산이온SO₄²〔㎎SO₄²/ℓ〕

50 이하

 산소비량(pH4.8)〔㎎CaCO₃/ℓ〕

50 이하

 전 경 도       〔㎎CaCO₃/ℓ〕

50 이하

 철 Fe          〔㎎Fe/ℓ〕

0.3 이하

 황화물이온S²  〔㎎S²/ℓ〕

검출 안될 것.

 암모니아NH₄ 〔㎎NH₄/ℓ〕

0.2 이하

 이온상실리카SiO₂〔㎎SiO₂/ℓ〕

30 이하

    주)보급수 : 냉각탑에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물을 말함(냉수냉각수용이 아님)


 5. 정 비 

  냉동기의 안전하고 경제적인 운전을 위해 기기취급설명서에 규정된 주기 또는 제조사별 유지보수 기준에 따라 점검 및 부품을 교환한다.

 

부    칙(2015. 12. 07)

제1조(시행일) 이 기준은 2016년 3월 1일부터 시행한다.

제2조(경과조치) 이 규격서 시행 전에 사업계획의 승인 또는 건축허가를 받은 냉방사용시설의 경우에는 제6조의 제1항 및 제9조 제3항의 온도조건은 종전의 규정을 적용한다.

 

부    칙(2016. 6. 1)

제1조(시행일) 이 기준은 2016년 6월 1일부터 시행한다.



    토지사랑 http://cafe.daum.net/tozisarang/           

     토지투자동호회밴드


        추천하기  추천부탁드립니다 .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