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 김현기토지 칼럼

고수와 하수의 기싸움(물과 불 관계)

작성자김방기|작성시간23.02.13|조회수2,634 목록 댓글 3

#도시지역

#맹지

고수와 하수를 구분하는 방법

고수 - 용기와 슬기(지혜)로 투자

하수 - 객기와 오기로 투자

(군중심리에 취약한 지경이라서다)

객기 - 변질된 용기

#대자연

고수의 특성 - 규제 공부부터 하고 나서

개발공부 시작

즉 부동산의 결점부터 공부한다

오해와 착각을 타파하기 위한 노력이리라

국토는

온통 규제의 사슬에 묶여 있는 상태이기 때문

다만 규제 강도의 차이가 있을 뿐이다

#국토

하수 - 개발공부만 한다

규제 공부를 생략하기 때문

즉 자연의 가치를 무시한다

(땅의) 역사를 무시하는 것!

수원 광교 일대

물과 불의 관계

물 - 반드시 필요한 가치

물은 항상

대자연(의 가치)을 표방하기 때문

불 - 물 대비 반드시 필요한 가치는 아님

불은 대도시의 화신이기 때문

즉 인간은 대도시 없인 살아도

대자연이 없는 상태에선

한시도 살 수 없는 나약한 존재다

#주거인구

물의 역사를 알고 있는 인간은 없다

불의 역사는 존재한다

불은 문명의 화신이기 때문

(예-아파트단지와 신도시)

대자연 - 신의 영역

신이 만든 작품

시간이 흘러도 가치가 보존됨

보호의 개념이 법으로 지정된 지경이기 때문

대도시 - 건설사가 만든 상품

시간이 흐르면 낡아진다

개발가치가 높기 때문

예) 교통의 진화과정

(역세권 연장사업)

#대도시

#아파트

물 - 보호가치가 높은 지경

(규제의 온상)

예) 상수원보호구역

수도권정비계획법 상

자연보전권역

불 - 개발(문명)의 표상

과밀억제권역

규제가 필요한 연유 -

불(아파트) 없인 살아도 물(땅) 없인 살 수 없다

생명수라는 말은 있어도

생명화라는 말은 없다

'화(火)를 낸다'는 말은 자주 사용하나

(화병은 우리나라만 있는 질병)

'물(水)을 낸다'라는 말은 절대로 없다

즉 물은 힐링(치유)의 화신!

불은 질병을 유발한다

산(山) - 역시 보호가치가 높다

(규제 온상)

산엔 반드시 계곡(물)이 있다

예) 임업용 보전산지

공익용 보전산지

요컨대 고수와 하수의 차이는

세상을 바라는 시각의 차이다

오늘 부터

'물' 공부를 시작하라!

예) 한강의 존재가치

(강남과 강북을 연결하는 징검다리이자

대한민국 조망권의 원조)

 

 

네이버에 '김현기의 토지이야기' 검색!

 

 

 

 

  토지사랑 http://cafe.daum.net/tozisarang/

토지투자동호회밴드
(카페회원님들은 같이이용하시면됩니다)

 

 

추천부탁드립니다 .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서재용 | 작성시간 23.02.14 정보 감사합니다^^
  • 작성자임선희 | 작성시간 23.02.14 추천합니다
  • 작성자김준규 | 작성시간 23.03.06 편안한 휴일 보내셨나요?
    개구락지가 잠에서 깨어난다는 경칩입니다.
    본격적인 농사일을 시작해야하는 시기인데 가뭄이 심하네요
    빗님이 한번 다녀갔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즐겁고 보람찬 한주 보내세요^^
    추천합니다.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