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메일 보관함

☆귀를 열어야...☆

작성자JIN O (SDT)|작성시간23.11.05|조회수89 목록 댓글 0

☆귀를 열어야...☆

 

왕이 되는 것보다

더 높은 성공의 경지에 올랐

다는

뜻으로 쓰는 한자가 '성(聖)

입니다.

 

음악(音樂)에서 최고

경지에 오른 사람을 악성(樂

聖),

바둑 최고의 경지의 기성(棋

聖),

시(詩)의 최고 경지의 시성

詩聖),

인간 최고의 경지에 오른 사

람을

성인(聖人) 등..

 

이렇게 인간이 도달할 수 있

최고의 성공 경지 핵심에 있

 

'성(聖)'자는 耳(귀이)와 口(입구)

그리고 王(임금왕) 자,

 

이 세 글자의 뜻을 흡착한 글

자입니다

 

인간이 도달할 수 있는

최고의 경지에 성공적으로

 

올랐을 때만 붙여주는

'성(聖)'자를 쓰는

순서는 耳(귀이) 자를 쓰고,

마지막으로 王(왕) 자를

씁니다.

 

(귀)를 맨 먼저 쓰는 이유는

남의 마음을 얻기 위해서는

듣는 것이 최우선이기 때문이

고,

 

귀로 다 듣고 난 후에 입을 열

어야

상대가 만족하기에 때문에

입(口)을 나중에 쓰게 만든

것이고,

 

마지막에 왕(王) 자를 넣은

것은

먼저 듣고, 나중에 말한다는

것은

왕이 되는 것만큼 어렵다는

뜻입니다

 

공자도 60세가 되어서야

"이순의 경지에 도달했다"라고

 

했을 정도로 어려운 것이 먼

모두 다 듣고 나중에 말을 하

는 것이다라고...

 

'이청득심'

마음을 얻는 최고의 방법은

귀를 기울어 듣는 것이다라고...

 

'성인'은 먼저 남의 이야기와

진리(眞理)의 소리,

 

그리고 역사(歷史)의 소리를

모두 다 조용히 경청하고 난

후에

입을 열어 말을 합니다.

 

그런데 열심히 듣는다고 해서

 

다 들리는 것이 아닙니다.

 

들을 수 있는 귀를 갖추었을

비로소 다 들리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순(耳順)이란

타인의 말이 귀에

 

거슬리지를 않는 경지며,

어떤 말을 들어도 이해를 하

는 경지입니다

 

너그런 마음으로 모든 걸

관용하는 경지입니다.

 

말 배우는 것은 2년이면 족하

나,

경청을 배우는 것은 60년이

걸리는 어려운 일이지만...

 

마음을 얻기 위해,

진리를 깨닫기 위해,

지혜를 터득하기 위해

귀를 열어야 하는데...

 

귀에 지금도 거슬리게 들리는

 

말이 있다는 것은 아직도

수양이 부족하다는 증거고.

 

여기에 더하여 아직도

듣는 것은 뒷전이고,

 

말이 먼저 튀어나오고 있을

이걸 어찌해야 좋을까요.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