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나의 첫 금리공부

작성자이기성(해운대)|작성시간19.12.13|조회수198 목록 댓글 2

"한국은행은 오늘 여린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 금리를 지난달에 이어 동결하기로 결정했습니다."라는 아나운서의 멘트, 이게 무슨 말인가? 뉴스에서 매달 흘러나오는 소식 중 하나지만 우리는 사실 관심이 없다 금리는 어렵게 느껴지고 아무도 가르쳐주지 않는다 하지만 채권시장은 주식시장보다 크다 채권과 금리를 모른 채 주식에 투자하는 것은 수학, 과학을 모른 채 영어,국어만으로 수학능력시험을 보겠다는 것과 다를 바가 없다

금리는 하나의 가격이다 돈이 필요한 사람과 돈을 굴리려는 사람이 만나 결정하는 가격일 뿐 누가 간절하냐에 따라 금리의 높낮이가 결정된다. 2018년 우리나라의 주식시장 시가총액은 1,600조원 수준이다 채권시장은 1,900조 원이 넘는다 이렇게 주식시장보다 채권 시장이 큰데 모르는 사람이 많다.

2008년 9월 리먼브라더스가 파산한 이후 당시 미국 중앙은행의 의장 벤 버냉키는 침체에 빠진 미국경제를 살리기 위해 과감한 양적완화 정책을 시행했지만 사람들은 그 효과에 대해 끊임없이 의심했다. 왜 일본 금리는 이렇게 낮은지? 30년 국채금리가 10년 국채금리보다 낮은 거의 유일한 나라가 우리나라이다 언뜻 생각하면 이해가 가지 않지만 왜 우리나라만 30년 금리가 10년 금리보다 낮은 이유를 이야기 해주고 있다. 우리나라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은 여러가지 역할을 하고 있다 그 중 한국은행이 추구하는 가장 중요한 역할은 물가안정을 담당하고 있다.

물가는 매일같이 오르고 있다 세상 모든 가격이 다 오르는데 내 월급만 오르지 않고 있다 도대체 정부는 무엇을 하고 있기에 물가가 이렇게 오르는지 모르겠다. 하지만 물가는 정부가 아니라 금리가 관리하고 있는 것이다. 물가와 금리와의 관계를 알아야 한다. 경제겅장률은 일정 기간의 국민총생산 또는 국민소득의 실질적인 증가율이다. 일반적으로 국가의 GDP성장율을 의미한다.그런데 GDP가 무엇을 의미하는 걸까?

내 자산을 지키기 위해서 금리를 알아야 하고 금리 움직임을 알아야 시장의 자금 움직임을 알고 자금 움직임에 능통해야 부의 축적 방법을 꿰뚫을 수 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이기성(해운대)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19.12.13 알라딘-https://blog.aladin.co.kr/773568199/11359397
    교보문고-http://booklog.kyobobook.co.kr/lee2705/1979980
  • 작성자텐스지킴이(김민정) | 작성시간 19.12.23 소중한 서평후기 감사드립니다.
    다음 서평이벤트에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