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명리마당

고전의 계통성과 후학의 이해

작성자인당 전우창|작성시간24.11.21|조회수231 목록 댓글 12

  격용 이론은 주로 월령(月令)을 기준으로 삼아 전개(展開)됩니다.
 
  사주에서 가장 강한 오행으로써 일정한 틀을 만든다는 왕자입격(旺者立格)의 취지(趣旨)에서 탄생시킨 것이 격(格)입니다. 사주에서 대체로 월령오행 또는 월령에 뿌리를 두고 천간에 투간(透干)한 오행을 최강 기운으로 인식하여 격으로 삼는데, 그보다 더 강한 것이 있으면 그것으로써 격을 삼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설령 월령보다 강한 오행이 있더라도 월령을 중심으로 격을 정하는 것이 통상적인 추세였습니다.
  그리고 대체로 대부분의 격을 월령 용신과 동일체로 간주해 왔습니다.
 
  과거에는 재성이나 관성의 위치를 중심으로 격을 정하기도 하였고, 신살이나 십이운성을 찾아 정하기도 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격을 정했습니다.
 
  예컨대 건록격은 월령이 비견입니다만, 십이운성(포태)을 차용하여 정한 격입니다.
  그런데 건록격은 월령으로써 격명을 이루지만, (여타의 격들과 달리) 월령이 용신이 되지 못했습니다.
  월령이 비겁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건록격은, 만약 용신이 없다면 건록격을 이루지 못한다고 간주해 왔습니다.
  즉 건록격이 격을 이루려면 용신이 있어야 하고, 그 용신은 재관인 또는 식재관인, 재관, 또는 재관살식이었습니다.
  고전에 따라 조금씩 달랐지요.
 
  그러나 변함없이 달라지지 않았던 건 ‘비겁은 용신이 될 수 없다.’라는 원칙이었습니다.
 
  비겁은 일간 본신과 동일한 오행이므로 애초부터 용신 자격이 없는 십신이었습니다.
  이 원칙이 고전 명리 이론에 고스란히 녹아 있고, 명리의 계통성을 이루는 중요 요소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격용 이론을 보다 체계화하면서 격국을 본격적으로 다루기 시작한 고전 ‘경촌집(격국법)’도 이 원칙을 철저히 지켰습니다. 그래서 “록겁격은 별취(別取)한 재관살식(財官煞食)이 용신이다.”라고 논했습니다.
 
  명리의 고전이 각각 그 이론을 조금씩 달리해 왔습니다만, 원리와 원칙은 체계를 가지면서 그 계통성이 잘 유지되어 왔습니다.
 
  후학은 고전이 가진 이런 계통성과 맥락을 잘 이해하고 명리 이론을 접해야 합니다.

인당 지(識)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댓글

댓글 리스트
  • 답댓글 작성자갑진 | 작성시간 24.11.21 명곡(明谷) 너는 한 입가지고 두 말하는 놈이다

    맨날 나와 토론 안하겠다고 하면서~~주제 넘게 똑 접근하고

    약속은 하지 말라

    그럴거면

    그래서 니 스스로도 헛발질이라 말하지 않았느냐?
    헛벌질 좀 그만하고
  • 답댓글 작성자명곡(明谷) | 작성시간 24.11.21 갑진 



    초짜면 초짜들이랑 놀아라..
















  • 답댓글 작성자갑진 | 작성시간 24.11.21 갑진 그래서 너를 헛발질이라 하는 것이다
  • 작성자명곡(明谷) | 작성시간 24.11.21

    종아가 종격?



    종아가 종격인지도 모르는..



    헛공에 침뱉는 ..






    멍청한 애들이랑..


    말 섞는이가 멍 청 한 놈...이죠?












    ㅎㅎㅎ









  • 답댓글 작성자갑진 | 작성시간 24.11.21 종아가 종격이라는데

    만약 연해자평 자평진전 등의 고전에 그런 내용 있으면 올려봐라

    적천수에도 없다
    종아는 격국이 아니다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