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명리마당

10. 행운行運을 논함(論行運)

작성자만리강산|작성시간24.12.01|조회수100 목록 댓글 4

10. 행운行運을 논함(論行運)

 

1. 행운론行運論의 사대특장四大特長

명리미언의 행운론은 논주의 그 논지가 매우 독특하다. 여타 명리서와 그 관점이 사뭇 다르다. 그 특장을 아래와 같이 원문을 발췌하여 네 가지로 제시한다.

첫째 원국의 사주팔자와 대운 이자二字를 합간合看하여 보라고 한다. 원국은 주정主靜하여 주인이 되고 주체가 되며, 대운은 주동主動하여 빈객이 되고 묘용이 되는데, 다시 원국과 대운은 합쳐서 십자十字가 하나의 주체가 되고 유년은 묘용이 된다.

둘째 천지가 정위定位하니, 운간運干은 단지 원국의 천간과 관계하고, 운지運支도 오로지 지지와 회합會合할 따름이다. 행운과 원국의 간지가 교차하여 상생하거나 상극하는 경우는 특별한 경우에 한정한다.

셋째 무릇 사주를 보는 방법은 또한 오로지 상수上數만을 중시한다. 그밖에 인식재관印食財官은 모두 상론祥論하지 않고, 오로지 승기乘氣만을 위주하면 길흉이 저절로 분명하다.

넷째 천운天運은 장구長久하고, 지운地運은 단촉短促하다. 천운은 지운을 포괄하니, 이 때문에 용신은 한결같이 천간만 보고, 지운은 천운을 승재承載하니, 이 때문에 천운은 언제나 그 칠할七割을 주재한다.

나의 견해는 이러하다. 원국은 주정하고 행운은 주동하며, 또한 천간은 주동하고 지지는 주정한다. 이 때문에 대운과 유년의 행운 간지는 동중동動中動의 천간을 위주한다.

 

2. 명운命運의 주정主靜 주동主動과 십자합간十字合看

[원문] 원국은 주정主靜하고, 행운은 주동主動한다. 동정動靜이 서로 체용體用이 되니, 반드시 양자兩字를 팔자에 참입參入해야 한다.(平主靜 運主動 動靜相爲體用 須以兩字參八字)

 

[나의 견해] 주정主靜이나 주경主敬은 성리학의 전문수행 용어이며, 그 출처는 주렴계周濂溪 선생의 태극도설太極圖說이다. 원국은 주정하여 무극이나 태극과 대대하고, 행운은 주동하여 이오二五의 정기精氣 곧 음양오행에 배대한다. 원국은 주인이라 주체가 되고, 행운은 빈객이라 묘용이 된다. 또 태세를 따라 10년마다 교운交運하면, 대운이 주체가 되고 유년은 묘용이 되며, 원국은 그 근저根底가 된다. 이에 동정動靜이 번갈아가며 서로 체용體用이 된다고 한 것이다. 특히 행운 중에 대운은 월주에서 시원始原하기 때문에 10년 교운마다 바뀌기는 하지만 사주팔자와 혼연일체渾然一體가 된다. 합간하는 이유가 이와 같다. 대운의 간지 2자를 원국의 8자와 합치면 10개 간지가 되며, 이를 참입參入이라 하고, 또한 십자합간十字合看이라 한다.

 

[원주] 십자十字를 합간合看하면 바로 일운一運의 비태否泰가 모두 드러난다.(十字合看 則一運之否泰悉呈)

 

[나의 견해] “십자十字를 합간合看하라.” 대운은 10년마다 바뀐다. 여타 명리서는 천간보다 지지를 더 중시한다고 말한다. 또한 대운의 간지 상하上下5년씩 절간截看하여 보기도 하고, 또 절간하여 보아서는 안 된다고 말하기도 한다. 그러나 행운론의 논주는 일체 논란의 여지를 원천봉쇄한다. 십자를 합간하라. 월주에서 대운으로 전변하는 과정에, 월간이 먼저 전변하고, 월지가 차후에 전변하는 것은 아니다. 일시에 전변한다. 대운의 간지 2자와 원국의 사주팔자를 합치면 일신동체一身同體가 되며, 사주팔자가 아니고 오주 십자가 된다. 체용이 원만하여 십자 원수圓數를 성취한다. 통상 일심동체一心同體라 말하는데, 여기서는 일신동체一身同體라는 표현이 더 좋은 듯하다.

바로 일운一運의 비태否泰가 모두 드러난다.” 사주팔자와 일기一期 십년의 대운 간지를 합쳐서 하나의 태극으로 보고, 또 십자十字를 본체로 삼는다. 사주팔자는 일생의 비태가 드러나고, 일기의 평운십자平運十字는 십년의 비태가 드러난다. 바로 매양 교운할 때마다 합간하면 바로 일운一運의 비태가 일시에 드러난다. 비태否泰는 주역의 천지비괘天地否卦와 지천태괘地天泰卦이니, 부귀나 빈천 또는 불운과 행운을 표방標榜한다. 이는 행운론의 첫째 계단이다. 대운만 원국에 대입하여 십년의 비태를 보고, 태세는 보지 않는 단계이다.

 

3. 충합沖合의 교전交戰과 유년 대운의 길흉

[원문] 상충하면 곧 전쟁하고, 작합作合하면 바로 교접交接한다. 교합交合과 전충戰沖은 각기 길흉이 있다. 마땅히 유년을 보고 대운을 살펴야 한다.(沖則戰 合則交 交戰各有吉凶 當看流年審大運)

 

[나의 견해] 적천수의 세운 편에 전충화호戰沖和好가 있다. 위의 전충교합戰沖交合과 유사하다. 행운 간법의 핵심이다. 에는 남녀가 성교하다, 동물이 교미하다, 식물이 교배交配하다 등의 뜻이 있다. 교접交接은 교합交合 교구交媾와 그 뜻이 동일하다. 교전交戰은 양국兩國이 서로 전쟁하다, 또는 사상이나 생각 따위가 서로 충돌하다는 뜻이 있다. 그러나 여기서는 충전沖戰과 합교合交를 이어받아 교전交戰이라 한 것이니, 교접과 전쟁이라 해석한 것이다.

원국이 주인이면 대운은 빈객이고, 원국과 대운 십자가 주인이면 태세는 빈객이다. 대운은 십년마다 교운하기 때문에 원국과 대비하면 주동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십년의 일기 비태를 조감照鑑할 수 있다. 그러나 그 비태를 결정하는 현권부現權府는 태세太歲이다. 해마다 바뀌는 유년이 바로 명운의 절대 결정권자이다. 대운과 유년을 원국에 대입하여 상충하면 곧 전쟁하고, 작합하면 바로 휴전한다.

교합交合과 전충戰沖은 각기 길흉이 있다.” 이 표어標語는 행운론 길흉의 총상總相이다. 사주팔자의 원국에 대운이나 유년의 간지를 대입하면 생극제화生剋制化하거나 또는 형충합회刑沖合會한다. 이 일체 행운의 간지가 용사하는 작용을 대표하여 교합과 전충이라 한 것이다.

마땅히 유년을 보고 대운을 살펴야 한다.” 이는 행운론의 둘째 계단이고, 마지막 계단이기도 하다. 유월流月과 유일 유시는 모두 유년의 관할 아래 있기 때문이다. 아래 원문과 원주에서 상론한다.

 

3-1. 교전의 길흉 첫째 강약強弱의 승부勝負와 중과衆寡의 용겁勇怯

[원주] 유년을 자세히 검열하면 바로 대운 중의 길흉이 번갈아 드나들다. 와 화 그리고 금과 목이 불화不和한 사주는 전쟁하고, 음양의 빈모牝牡가 서로 배필이 되는 사주는 교합한다. 는 병합幷合이니, 병합하면 혼합混合하고, 또 교이니, 교착膠着하면 정체停滯하며, 또 폐이니, 폐쇄閉鎖하면 은장隱藏한다. 전쟁에 이르러서는 반드시 강약으로 승부를 분간分揀하고, 중과衆寡로 용겁勇怯을 분간한다. 이것이 그 교전交戰은 각기 길흉이 있다는 표어의 첫째 사례이다.(細閱流年 則運中之吉凶迭矣 水火金木不和者戰 陰陽牝牡相匹者交 交 幷也 幷則混 又膠也 膠則滯 又閉也 閉則藏 至於戰 必以強弱分勝負 以衆寡分勇怯 此其各有吉凶者一也)

 

[나의 견해] 자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작합과 교합은 그 형세가 동일하지만, 그 용처는 동일하지 않다. 교합은 전충과 상응하여 쓰고 있다.

일기 대운 중에 10개 유년이 있다. 이 유년이 주체가 되어 원국과 대운의 십자에 배대하여 비태를 점검하면 그 길흉이 일정하지 않다. ‘와 화 그리고 금과 목도 어떤 때는 상성相成하고, 또 어떤 경우에는 상배相背한다. 이에 전쟁과 교접도 또한 교차하며 그 길흉을 드러낸다. 전쟁은 그 과정과 결과가 잔혹하다. 반드시 강약으로 승부를 확정하고, 중과衆寡로 진퇴를 결정한다. 첫째 사례이다.

 

3-2. 교전의 길흉 둘째 합충合沖의 의기宜忌

[원주] 작합은 합당함과 합당하지 않음이 있고, 상충도 또한 꺼림과 꺼리지 않음이 있다. 무릇 기신忌神은 작합함이 마땅하고, 희신喜神은 작함합이 마땅하지 않으며, 유고有故하면 작합함이 마땅하고, 무고無故하면 절대로 작합함이 마땅하지 않는다. 희신은 상충을 꺼리고, 기신도 더욱 상충을 꺼리며, 유고하면 또 상충함이 마땅하고, 무고하면 전연 상충함이 마땅하지 않는다. 이것이 그 교전은 각기 길흉이 있다는 표어의 둘째 사례이다.(合有宜不宜 沖亦有忌不忌 大抵忌神宜合 喜神不宜合 有故宜合 無故總不宜合 喜神嫌沖 忌神更嫌沖 有故又宜沖 無故總不宜沖 此其各有吉凶者二也)

 

[나의 견해] “무고無故하면 절대로 작합함이 마땅하지 않는다.”(無故總不宜合) 은 부사의 여러 용법 중에 반드시 예외없이 절대로 전연 등의 뜻이 있다. 유고와 무고는 이전 논문에서 여러 차례 상세히 천명했다. 이에 해설은 생략한다.

작합과 상충은 각기 그 공효가 있고 또 폐단이 있다. “희신은 상충을 꺼리고, 기신도 더욱 상충을 싫어한다.” 희신은 상충하면 그 희기喜氣 또는 길기吉氣나 복기福氣가 손상하기 때문에 꺼리는 것은 당연하다. 그렇다면 기신을 상충하면 또한 그 기기忌氣 또는 흉기凶氣나 화기禍氣가 감소하여 좋다고 보는 것이 옳지 않을까? 그러할 수도 있다. 그러나 기신을 상충하여 완전히 제압하지 못하면 그 결과는 어떠할까? 첫째 기신을 작동하게 하는 허물이 있고, 게다가 그 노기를 불러올 수도 있다. 진실로 그 폐단은 감당하기 어려울 것이다. 어떤 간법도 전연 하나도 예외가 없는 절대 간법은 없다. 이에 고인의 글을 대면하면 일단 긍정하고 논평하는 것이 또한 옳다. 이는 둘째 사례이다.

 

3-3. 교전의 길흉 셋째 의합宜合 의충宜沖과 대운 유년의 작합과 합화合化

[원주] 간혹 작합함이 마땅하면 작합한다. 또 유년에 충파沖破를 만나는데, 충파함이 마땅하여 충파해야 한다면, 반대로 유년에 합주合住하면 불길하다. 또 길운의 작합이 있는데 유년의 합화合化를 만나는 때는 더욱 묘하고, 흉신의 작합에 유년의 합화를 만나는 경우는 더욱 흉하다. 이것이 그 교전은 각기 길흉이 있다는 표어의 셋째 사례이다.(或宜合而合 又遇流年沖破 宜沖而沖 反被流年合住 不吉 又有吉運合而逢流年化者 更妙 凶神合而逢流年化者 更凶 此其各有吉凶者三也)

 

[나의 견해] 지지의 작용을 형충합회刑沖合會라 말하기도 하고, 형충파해刑沖破害라 말하기도 한다. 충파는 후자의 범위에 속한다. 충파를 그냥 형충으로 이해해도 좋다. 유년의 작합이나 충파가 모두 길운이 된다거나 또는 모두 흉운이 되는 경우는 없다. 동일한 조건이라면, 하나가 좋으면 또 하나는 나쁠 수밖에 없다.

또 길운의 작합이 있는데 유년의 합화合化를 만나는 때는 더욱 묘하다.” 일단 대운 중에 길지吉支가 원국의 사지 중에 하나와 작합하면 길신吉神을 원국에서 잡아 수용하는 것이고, 다시 유년에 합화하면 그 길신이 삼합이면 성국成局하는 것이다. 이에 더욱 묘하다고 할 만하다. 합화合化는 지지가 작합하여 오행의 그 본성이 변화하는 것을 말한다. 가령 신자진申子辰 수국水局이라면 신금申金과 진토辰土가 임계수壬癸水로 변화한다는 것이다. 삼자三字를 원국과 대운 유년에 하나씩 배대한다. 원국의 간지 중에 하나가 대운과 유년에 삼합하여 하나의 기세를 이룬다. “흉신의 작합에 유년의 합화를 만나는 경우는 더욱 흉하다.” 흉의凶意가 증폭하기 때문이다. 이는 길운의 작합을 뒤집은 것이다. 동일한 논리로 해석하면 된다. 이는 셋째 사례이다.

 

3-4. 교전의 길흉 넷째 양자교치兩字交值와 세운병림歲運幷臨

[원주] 또 예를 들면 양자兩字가 서로 만나거나 세운歲運이 병림幷臨하며, 길신이 독발獨發하거나 간지가 교합巧合하며, 혹은 천극지충天克地沖하거나 또는 천경지보天傾地補하는 것과 같다. 이것이 그 교전은 각기 길흉이 있다는 표어의 넷째 사례이다.(又如兩字交值 歲運幷臨 吉神獨發 干支巧合 或天克地沖 或天傾地補 此其各有吉凶者四也)

 

[나의 견해] 협비夾批이상은 한결같이 유년만 거론한 것이다.”(以上耑論流年)라고 주석한다. 4개 사례가 모두 그러하다.

천간의 양신兩神 세력이 한쪽으로 치우친 경우 행운의 지지에서 보완하여 균형을 이루면 이를 천경지보天傾地補라 한다. 원문에 사자성어가 6구이다. 이 중에 길신독발吉神獨發이나 간지교합干支巧合 천경지보는 길경한 교전이고, 천극지충天克地沖은 흉험한 교전이며, 양자교치兩字交值나 세운병림歲運幷臨은 그 교전의 조합에 따라 길흉이 나누어진다. 이는 넷째 사례이다.

교합巧合은 기봉奇逢과 같다. 교묘하게 작합하고 기묘하게 봉합逢合한다. 삼기삼합三奇三合은 천간삼기天干三奇와 지지삼합地支三合의 조합이고, 삼기삼취三奇三聚는 천간삼기와 지지삼취地支三聚의 조합이다. 모두 길경하다. 어정자평 4권을 인용한다.

천간삼기와 지지삼합은 공명功名을 주관하는데 특달特達하고, 교합하며 기봉한다. 신왕身旺하고 운순運純을 기뻐하며, 신쇠身衰하거나 충극沖克을 꺼린다. 천간삼기와 지지삼취는 부귀를 주관하는데 안락하고, 희기는 삼기삼합과 동일하다.”(三奇三合 天干三奇 地支三合 主功名特達 巧合奇逢 喜身旺運純 忌身衰沖克 三奇三聚 天干三奇 地支三聚 主富貴安樂 喜忌同上)

 

어정자평 4권에 간지삼취가 있다. “간지삼취干支三聚는 천간과 지지가 모두 삼자三字는 상동相同하니, 다시 삼합취집三合聚集이라 칭명한다. 일생이一生二 이생삼二生三 삼생만물三生萬物을 취하고, 생기生氣가 서로 취합하니, 그 신묘神妙가 무궁하다. 영수盈數의 자생資生을 주관하고, 재관의 득의得宜를 기뻐하며, 극왕이나 태과를 꺼린다.”(干支三聚 天干地支 皆三字相同 又名三合聚集 取一生二 二生三 三生萬物 生氣相聚 其妙無窮 主盈數資生 喜財官得宜 忌旺太過)

천원삼취天元三聚3개 천간이 상동하니, 또한 삼합취집이라 호칭한다. 희기는 위와 같다.”(天元三聚 三天干相同 亦名三合聚集 喜忌同上)

지지삼취地支三聚3개 지지가 상동하니, 또한 삼합취집三合聚集이라 호칭한다. 희기는 위와 같다.”(地支三聚 三地支相同 亦名三合聚集 喜忌同上)

삼취삼합三聚三合은 천간 셋이 동일하고, 지지가 삼합하며, 화기和氣로 의취義聚하고, 혼후渾厚하여 천성天成한다. 복수福壽와 면장綿長을 주관하고, 재관의 투로透露를 기뻐하며, 공파空破를 만남을 꺼린다.”(三聚三合 天干三同 地支三合 和氣義聚 渾厚天成 主福壽綿長 喜財官透露 忌逢空破)

봉황삼간鳳凰三干은 삼간이 일간一干과 작합하고, 천연으로 배합하며, 화기和氣가 영상迎祥하고, 그 인품이 온유溫柔하고 돈후敦厚하며, 복수福壽하고 강녕하며, 녹귀祿貴를 만남을 기뻐하고, 겁살劫煞을 봄을 꺼린다.”(鳳凰三干 三干合一干 天然配合 和氣迎祥 其人溫柔敦厚 福壽康寧 喜逢祿貴 忌見劫煞)

 

4. 정동靜動의 완급緩急과 쇠왕衰旺의 공용功用

[원문] 주정한 원국은 완만缓慢하고, 주동하는 행운은 시급時急하니, 그 공용功用은 쇠왕衰旺의 사이에 참입參入한다.(靜者緩而動者急 功用參夫衰旺之間)

 

[나의 견해] 자는 중간에 있으면 감탄하는 조사로 쓰인다. 원국의 사주팔자는 수동적이라 완만하게 작용하고, 행운은 적극적이라 시급하게 용사한다. 이 때문에 완만과 시급으로 배대한 것이다.

원문의 주정한 원국은 완만하다.”를 아래 원주는 체중지정은 구원과 연계된다.”라고 확장하고, 원문의 주동하는 행운은 시급하다.”를 원주는 용중지세는 일시에 쏟아낸다.”라고 부연한다. 또한 원문의 그 공용은 쇠왕의 사이에 참입한다.”를 원주는 양은 주동하여 강왕하고, 음은 전일하여 적정하다. 득시한 천간은 강왕하고 실령한 천간은 쇠약하다. 그렇다면 또한 동정의 상도를 막론하고 그 완급을 분간해야 한다.”라고 주석한다.

그 공용功用은 쇠왕衰旺의 사이에 참입參入한다.”(功用參夫衰旺之間) 난해하다. 난해하면 반복해서 읽고 또 읽으며, 정려靜慮로 사유수思惟修한다. “주정한 원국은 완만하고, 주동하는 행운은 시급하다.” 그 공용은 바로 주동하는 원국과 주정하는 행운의 완만과 시급이다. 이 완급緩急이 쇠왕의 사이에 참입한다.

이 원문은 아래 원문과 서로 호응한다. “그 변통變通은 허실虛實의 즈음에 존재存在한다.”(變通在乎虛實之際) 하문은 허실에 초점을 맞추었고, 상문은 쇠왕에 주안점을 두었다. 그리고 참입이나 존재는 그 사이에서 공용으로 용사하고, 또 그 즈음에서 변통으로 용사한다. 원주에서 그 사례를 자세히 천명했다.(나의 견해 전문을 수정함. 2024. 3. 18. 15:52, 甲辰 丁卯 辛巳 丙申)

 

[원주] 정생동靜生動은 동생정動生靜만 같지 못하고, 정극동靜克動은 동극정動克靜만 같지 못하다. 체중지정體中之情은 구원久遠과 연계되고, 용중지세用中之勢는 일시一時에 쏟아내니, 이는 그 대요大要이다. 양은 주동하여 강왕하고, 음은 전일專一하여 적정하다. 득시得時한 천간은 강왕하고 실령失令한 천간은 쇠약하다. 그렇다면 또한 동정動靜의 상도常道를 막론하고 그 완급緩急을 분간分揀해야 한다.(靜生動 不如動生靜 靜克動 不如動克靜 體中之情系乎久遠 用中之勢注於一時 此其大凡也 若夫陽動而強 陰耑而靜 得時者旺 失令者衰 則又不拘動靜之常 而分緩急也)

 

[나의 견해] 약부若夫는 어기사語氣辭라 해석할 필요가 없다. 정생동이나 동생정 그리고 정극동이나 동극정은 모두 주정을 원국으로 주동을 행운으로 대체하면 그 대의가 명백하다. “정생동靜生動은 동생정動生靜만 같지 못하다.” 원국이 행운을 생조하는 것은 행운이 원국을 생조하는 것만 못하다. 어째서 그러한가? 전자는 수동적이라 그 의지나 역량이 빈약하고, 후자는 적극적이라 그 의지나 역량이 모두 강력하기 때문이다. “정극동靜克動은 동극정動克靜만 같지 못하다.” 이 상극도 또한 상생과 동일하게 적용한다.

체중지정體中之情은 구원久遠과 연계되고, 용중지세用中之勢는 일시一時에 쏟아낸다.” 전자는 원국이고, 후자는 행운이다. 원국의 사주팔자는 어째서 구원과 연계될 수 있을까? 원국 승기의 변상變相을 의거하여 삼세사三世事를 볼 수 있고, 구세 십세의 선악업善惡業이 하나도 남김없이 변상에 나타나기 때문이다. 용중지세用中之勢는 일시一時에 쏟아낸다. 행운은 대운부터 유년流年 유월 유일 유시流時에 이르기까지 일체가 이 일시를 벗어나지 않는다.

체중지정體中之情은 일점의 파도도 없는 대해와 같다. 이를 해인海印에 비유하고, 또 구원과 연계한다. 용중지세用中之勢는 파란만장한 파도가 해안의 절벽에 부딪치고 솟구쳤다가 다시 일시에 쏟아져 떨어지는 기세와 같다. 대별하면 생로병사의 경계가 그러하다.

채중지정과 용중지세의 정과 세를 합하면 정세情勢가 되고, 그 정세를 살피면 바로 사주팔자의 그 의향을 알 수 있다. 사주팔자의 원명原命은 명체命體가 되고, 이 명체 중에 성정性情은 삼세와 연계된다. 이 성정을 어디서 찾을 것인가? 바로 승기이다.

양은 주동하여 강왕하고, 음은 전일專一하여 적정하다.” 천간이 양이면 지지는 음이고, 행운이 양이면 원국은 음이다. 또한 득시하면 양이고 실령하면 음이다. 이에 득시한 천간은 강왕하고 실령한 천간은 쇠약하다.”라고 말한다.

그렇다면 또한 동정의 상도를 막론하고 그 완급緩急을 분간分揀해야 한다.” 이는 원문 그 공용功用은 쇠왕衰旺의 사이에 참입한다.”라는 구절 중에 참입參入의 작용을 설명한 것이다. 곧 쇠왕의 사이에 참입하는 원국의 완만과 행운의 시급을 분간해야 한다.

동정動靜의 상도常道는 무엇인가? 원주에 의거하면 양은 주동하여 강왕하고, 음은 전일專一하여 적정하다. 득시得時한 천간은 강왕하고 실령失令한 천간은 쇠약하다.”라는 구절이고, 원문에 의거하면 주정한 원국은 완만缓慢하고, 주동하는 행운은 시급時急하다.”라는 구절이 바로 동정의 상도이다.

 

5. 합충의 기양起揚과 허실虛實의 변통變通

[원문] 작합한 천간은 흥기興起하고, 상충하는 지지는 양휘揚輝하니, 그 변통變通은 허실虛實의 즈음에 존재存在한다.(合者起而沖者揚 變通在乎虛實之際)

 

[나의 견해] “작합한 천간은 흥기興起한다.” 이 흥기를 조기釣起라 쓸 수도 있다. 조기비래釣起飛來한다. “상충하는 지지는 양휘揚輝한다.” 묘고墓庫를 형충하면 고신庫神이 양휘한다. 양휘揚輝는 높이 올라가 빛난다는 뜻이다.

그 변통變通은 허실虛實의 즈음에 존재한다.” 그 변통은 작합과 상충이고, 허실의 즈음에 존재하는 것이 바로 흥기이고 양휘이다.

 

[원주] 간신干神이 좌공坐空하는데 봉합逢合하면 흥기하고, 지신支神이 낙공落空하는데 봉충逢沖하면 전실한다. 간신이 손상이 있는데 작합하면 병기幷起하고, 지신이 묘고를 만나는데 상충하면 양휘揚輝한다. 무릇 이러한 사례는 모두 그 충합沖合을 이롭게 여긴다. 또 지지가 봉충하면 천간이 일어나고, 천간이 봉합하면 지지가 다투지 않는다. 암충暗沖하고 암합暗合하여 재관財官이 되고, 명국明局하고 암국暗局하여 서로 삼회三會가 오면, 이는 또 충합의 묘용妙用이다.(干神坐空 逢合則起 支神落空 逢沖則實 干神有損 合則幷起 支神逢墓 沖則揚輝 凡此者 皆利其沖合也 又支逢沖而干亦起 干逢合而支不爭 暗沖暗合作財官 明局暗局來相會 此又沖合之妙用也)

 

[나의 견해] “무릇 이러한 사례는 모두 그 충합沖合을 이롭게 여긴다.” 이는 협비에 원국과 행운이 모두 동일하다.”(平運俱同)라고 주석하고, “이는 또 충합의 묘용妙用이다.” 이에 대해서 협비는 원국만 말한 것이다.”(以平言)라고 주석한다.

지신이 묘고를 만나는데 상충하면 양휘揚輝한다.” “무릇 이러한 사례는 모두 그 충합沖合을 이롭게 여긴다.” 충합이 모두 유고有故하기 때문이다.

취성자의 기상편에 명구가 있다. “학자는 반드시 구현색은하고 발표귀근하며, 향실심허하고 종무취유해야 한다.” 위 사구 중에 향실심허와 종무취유가 원주 중에 암충暗沖하고 암합暗合하여 재관財官이 된다.”라는 구절과 상응한다.

명국明局하고 암국暗局하여 서로 삼회三會가 오면, 이는 또 충합의 묘용妙用이다.” 암충 암합하여 삼회를 이루면 암국이 될 것이고, 행운에 이르러 삼회가 되면 명국이 될 것이다. 삼명통회에 또 다른 명국이 있어서 이를 인용한다.

암국暗局을 등지고 명국明局을 지향指向하여 일평생 지기志氣가 드높다. 재관財官이 연월간年月干에 있으면 난혜蘭蕙가 봉호蓬蒿에서 나온다.”(背暗向明局 平生志氣高 財官年月上 蘭蕙出蓬蒿) 난초나 혜초는 향기로운 풀로 현인이나 군자를 비유하고, 봉호는 쑥이나 초원 황야로 서민을 비유한 것이다. 이는 수출서물首出庶物에 상당한다.

 

6. 천지정위天地定位와 명운命運 간지干支의 생극제화生克制化

[원문] 천지가 정위定位하니, 천간을 인동引動함은 운간運干이고, 지지를 인동함은 운지運支이다.(天地定位 天引干而地引支)

 

[나의 견해] 을 인동引動이라 해석한다. 인동에는 끌어당기다, 마음을 사로잡아 감동시키다, 일으키다 유발하다 야기하다 건드리다 등의 뜻이 있다.

주역 설괘전에 천지天地가 정위定位하고, 뇌풍雷風이 상박相薄하며, 산택山澤이 통기通氣하고, 수화水火가 상사相射하지 않는다.”(天地定位 雷風相薄 山澤通氣 水火不相射)라는 명구가 있다. 건상곤하乾上坤下면 천지비괘天地否卦가 되고, 곤상건하坤上乾下면 지천태괘地天泰卦가 된다. 지천태괘는 천지가 합덕하고, 천지비괘는 무정하여 일체 교합이 없다. 천지정위는 건상곤하 천지비괘를 말한다. 이 때문에 천간을 인동引動함은 운간運干이고, 지지를 인동함은 운지運支이다.”라고 한 것이다. 상하 교섭이 없기 때문이다.

 

[원주] 행운 중에도 생극제화生克制化하는데, 운간運干은 단지 천간과 관계할 뿐이고, 운지運支도 오로지 지지와 회합會合할 따름이다. 지운支運 중에 오직 귀인이나 장생 녹마 인왕刃旺 묘절墓絕 순공만이 바로 일원이나 용신과 관계할 뿐이고, 그밖에는 한신閑神이라 바로 운지는 진실로 천간을 생조할 수 없고, 운간도 또한 지지를 극제할 수 없다.(運中生克制化 天只與天關 地只與地會也 支運中惟貴人長生祿馬刃旺墓絕旬空 便與日元及用神關係 其餘閑神 則地固不能生天 天亦不能克地也)

 

[나의 견해] “행운 중에도 생극제화生克制化하는데, 운간運干은 단지 천간과 관계할 뿐이고, 운지運支도 오로지 지지와 회합會合할 따름이다.” 사주와 일기 대운을 합간하면 오주 십자가 된다. 운간과 운지는 동상이고, 원국의 천간과 지지는 부동상이다. 이에 대운의 간지가 먼저 용사한다. 첫째 원칙이다. 운간은 천간과 용사하고, 운지도 지지와 용사한다. 유유상종이다. 어째서 그러한가?

천지정위天地定位노씨의학심법盧氏醫學心法 중 의역설醫易說을 인용하여 해설하고자 한다. “상천은 하지下地를 포괄하고, 하지는 상천을 승재承載하니, 이 때문에 건곤이 상하上下에 위치한다. 상위는 양이고 하위는 음이다. 그 양이란 마치 삼공三公이나 구경九卿 백관百官과 같고, 그 음이란 또한 삼비三妃나 구빈九殯 백어百御와 같다.”(天包乎地 地承乎天 故乾坤位於上下 上爲陽 下爲陰 其陽者 宛如三公九卿百官也 其陰者 宛如三妃九殯百御也)

일체 명서의 명리는 그 시대상을 반영한다. 천간의 삼공이나 구경 백관이 지지의 삼비나 구빈 백어와 교섭할 일이 없다. 남녀가 유별한 왕조시대의 산유물이라 그러하다.

지운支運 중에 오직 귀인이나 장생 녹마 인왕刃旺 묘절墓絕 순공만이 바로 일원이나 용신과 관계할 뿐이다.” 지운은 동상이고, 천간의 일원이나 용신은 일단 부동상이다. 지운이 직접 천간의 일원이나 용신을 생조하는 것이 아니고, 단지 승재할 뿐이다. 귀인이나 장생 녹마 인왕이 승재하면 좋고, 묘절이나 순공이 승재하면 좋지 않을 것이다.

그밖에는 한신閑神이라 바로 운지는 진실로 천간을 생조할 수 없고, 운간도 또한 지지를 극제할 수 없다.” 동상인 운간이 원국의 지지를 극제할 수 없다면, 부동상인 원국의 천간은 운지를 극제할 수 있을까?

 

7. 지중상수只重上數者와 승기위주乘氣爲主

[원문] 무릇 사주를 보는 방법은 또한 오로지 상수上數만을 중시하는 것뿐이다.(凡看四柱之法 亦只重上數者)

 

[나의 견해] 상문上文에서 행운과 원국 간지의 상호 관계를 상세히 천명했다. 명리의 일체 요결 중에 요결이라 할 만하다. 그런데 이 요결 밖에 또 하나의 천장지비天藏地秘한 장결藏訣을 살며시 드러낸다.

무릇 사주를 보는 방법은 또한 오로지 상수上數만을 중시하는 것뿐이다.” 상수上數는 직설하면 최상最上의 명수命數이고, 법수法數이며, 명운의 주재자이다. 또한 다시 상수일법上數一法은 무극심법無極心法이고, 태극밀문太極密門이며, 승기현문乘氣玄門이다. 역대도인이 심심상인心心相印하고, 심심상전心心相傳하며, 이심전심以心傳心한다는 그 법이 바로 상수심법上數心法이다. 취성자의 기상편 서문 중 기상의 규모용신의 출처에서 이 상수上數의 변상變相을 거듭 음미할 수 있다. 아래와 같다.

사주를 세우고 오행을 취하며, 일운一運을 정하여 십년을 통관通關시킨다. 청탁순박清濁純駁하여 만물이 가지런하지 않고, 호오시비好惡是非에 명리를 하나로 단정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고인이 논명함에 연구가 정심미묘精深微妙하여 체를 인유因由하고 용을 해괄該括하였는데, 금인이 논명함에 격국에 얽매여 마침내 가상假相에 국집하고 진상眞相을 잃어버렸다. 반드시 기상의 규모를 먼저 살펴보아야 하니 바로 부귀빈천의 강령이고, 다음에 용신의 출처를 논해야 하니 모두 사생궁달死生窮達의 정미精微이다.”

기상의 규모를 살펴보는 곳이 바로 어디이냐? 승기이다. 또 용신의 출처를 어디에서 논할 것이냐? 비로 그 곳이 또한 승기이다. 먼저 승기를 의거하여 성립한 기상의 규모를 보고, 다음에도 또다시 용신의 출처인 승기와 그 용신의 조응을 보는 것이다. 이는 또한 명리의 양대간법兩大看法이기도 하다. 상수일법과 그 취지가 상통한다.(2024. 3. 18. 20:40, 甲辰 丁卯 辛巳 戊戌)

 

[원주] 그밖에 인식재관印食財官은 모두 상론祥論하지 않고, 오로지 승기乘氣만을 위주하면 길흉이 저절로 분명하다. 간혹 인식재관이 성방成方하면 바로 상론한다.(其餘印食財官俱不論 惟以乘氣爲主 吉凶自分明耳 或印食財官成方則論)

 

[나의 견해] “그밖에 인식재관印食財官은 모두 상론祥論하지 않는다.” 일체 명서는 재관과 인식을 최고로 중시한다. 그런데 이를 완전히 배제하고 또한 무시한다. “오로지 승기乘氣만을 위주하면 길흉이 저절로 분명하다.” “오로지 상수上數만을 중시한다.”라는 지중상수只重上數를 승기乘氣로 이어받았다. 승기의 변상 하나만 옳게 보면, 여기에 일체 비태가 모두 드러나기 때문이다. 어째서 후구에 간혹 인식재관이 성방成方하면 바로 상론한다.”라고 부연했는가? 이는 월지 승기를 포함한 성방을 말하기 때문이다. 이도 또한 승기를 떠나지 않는다.

 

적천수를 인용한다. “월령은 바로 제강提綱의 권부權府이고, 인원人元은 용사用事하는 신이다.”(月令乃提綱之府 人元爲用事之神) 간명구결看命口訣을 인용한다. “대체로 간명看命은 먼저 월지에 재관財官의 유무有無를 보고, 비로소 기타 십신十神을 본다. 월령이 명이 되기 때문이다.”(大凡看命 先看月支有無財官 方看其他 月令爲命也) 삼명통회 중에 논인원사사論人元司事 서분序分을 인용한다. “이 때문에 지지 안에 소장所藏한 자가 명을 주관하므로 이를 인원人元이라 일컫고, 사사司事하는 신이라 칭명稱名한다.”(故支裏所藏者主命 謂之人元 名爲司事之神) 인원이 명을 주관한다. 이를 의거하면, 월지나 월령 제강 인원 사령 사사 승기 등은 그 위치가 동일하다. 삼명통회 논연월일시(論年月日時) 편에도 제강과 유사한 강뉴綱紐라는 표현이 나온다. 아래와 같다.

당나라 이허중李虛中이 홀로 일간을 주체로 삼았다. 그러나 연주와 월주 시주로 생극제화生尅制化와 왕상휴수旺相休囚를 합간合看하여 격국을 세운다. 이를 저울에 비유하면, 연간年干은 저울 갈고리와 같아서 그 물건을 매달고, 월지月支는 손잡이와 같아서 그 물건을 들어올리며, 일간日干은 저울대와 같아서 눈금의 양에 차오가 없고, 저울추는 경중輕重을 분별하는데 분호分毫는 가감한다. 이는 전현前賢이 발현하지 못한 것을 발현한 것이라, 이 때문에 현금의 술가術家가 이를 높이 떠받든다.”(唐李虛中獨以日干爲主 却以年月時合看生尅制化 旺相休囚 取立格局 譬之衡焉 年如衡鈎 綰起其物 月如綱紐 提起其物 日如衡身 星兩不差 錘分輕重 分毫加減 此發前賢所未發 故今術家宗之)

제강설령提綱挈領이란 사자성어가 있다. 그물의 벼리를 움켜잡고 옷깃을 거머쥔다는 뜻이다. 강뉴綱紐도 이와 유사하다. 저울의 손잡이를 칭뉴秤紐라 일컫고, 인장印章의 손잡이를 인뉴印紐라 일컫는다. 이에 강뉴를 저울의 손잡이라 번역한 것이다.

저울에 비유한 것은 그야말로 비유이다. 연간은 저울 갈고리에 매달은 그 물건과 같다. 연월일시 중 연주 분야가 제일 크기 때문에 바로 용신에 비유한 것이다. 월지는 저울의 손잡이와 같다. 강뉴를 통상 강기綱紀라 해석하지만, 능엄경 주석서는 기요機要라 해석했다. 이를 핵심기관의 요충지要衝地라 말할 수도 있다. 대저울을 떠올려보자. 저울 머리에 갈고리가 있는데 상하로 움직이고, 손잡이는 일정한 간격으로 저울대의 상하에 2개 있으며, 눈금 위에 저울추를 올려놓는다. 저울 손잡이를 치켜들면 나머지는 모두 따라서 올라온다. 제강이나 강뉴 일원 승기 등이 또한 그러하다. 승기 하나를 들면 일체가 따라온다.

일간은 저울대의 눈금과 같다.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무엇과 무엇이 균형을 이루어야 하는가? 갈고리에 매달은 용신과 저울추 위에 길신이나 흉신이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저울추는 경중을 분별하는데 분호分毫는 가감한다. 대운과 유년을 저울추에 비유할 수도 있다. 동일한 저울추일지라도 어떤 손잡이를 쓰느냐에 따라 무게가 다르고, 또한 동일한 손잡이일지라도 저울추의 무게에 따라 달라진다. 분호는 가감한다는 그 뜻이 이와 같다. 천태만상의 사주팔자는 삼칭三秤의 용사가 동일하지 않다. 이에 대칭大秤과 중칭中秤 소칭小秤으로 삼분三分하여 재량裁量한다. 대칭은 주격과 용신을 의거하여 재량하고, 중칭은 용신을 의거하여 재량하며, 소칭은 용신을 의거하지 않고 재량한다.(2024. 9. 14. 15:18, 甲辰 癸酉 辛巳 乙未 구상하고,)(2024. 9. 15. 16:03, 甲辰 癸酉 壬午 戊申 정리함)

 

다시 수를 들어서 상수上數를 상론한다. 승기를 상수에 배대한 까닭은 무엇인가? 대수大數의 표기법에 상수와 중수中數 하수下數가 있다. 나의 신축년 공부기工夫記중에 ‘1. 가장 큰 수와 황제산법黃帝算法(2021. 1. 31. 작성)이란 제명의 글에서 이를 상세히 밝혔다. 간단히 말하면, 일 십 백 천 만처럼 십배수로 나가면 이를 하수라 일컫고, 1만보다 더 큰 억조경해자億兆京垓秭 양구간정재壤溝澗正載도 또한 동일하게 십배수를 적용한다. 10(105)1이라 이르고 10(106)1라 이르는 것과 같다. 중수는 만만 단위로 바뀌니, 만만(108)1억이라 이르고 만억(1012)1조라 이르는 것과 같다. 상수는 그 수가 무궁하게 변통하니, 만만(108)1억이라 이르고 억억(1016)1조라 이르며 조조(1032)1경이라 이르는 것과 같다. 1억에서 1재에 이르며, 대연수大衍數에서 종결한다. 이 상수를 화엄경 아승지품에서 자세히 천명했다. 곧 상수는 부사의不思議하며, 승기도 또한 부사의하다. 이 때문에 승기를 상수에 배대한 것이다.

 

8. 부재상성覆載相成과 천장지단天長地短

[원문] 부재覆載가 상성相成하지만, 천운天運은 장구長久하고, 지운地運은 단촉短促하다.(覆載相成 天運長而地運短)

 

[나의 견해] 원문은 양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단은 부재가 상성한다.” 부재覆載는 천부지재天覆地載 중에 후자를 취한 것이다. 천지가 본체라면 부재는 그 묘용이다. 이에 부재는 곧 천지와 동일하다. 부재가 상성相成한다. 이는 곧 천지가 천부지天覆地하고 지재천地載天하며 상성한다고 말할 수도 있다. 상호相互 성전成全한다. 어떻게 성전하는가? 상천上天은 하지를 부개覆蓋하고, 하지下地는 상천을 승재承載하며 상호 성전한다. 이를 명리에 대비한다면, “행운의 천간은 원국의 지지를 상성하고, 행운의 지지는 원국의 천간을 상성한다.”라고 말할 수 있다. 그렇지만 행운론은 이를 취하지 않는다. 아래 원주도 원문의 전단에 대한 주석은 없다. 이에 이 부재상성을 원국에 국한한다.(2024. 3. 18. 21:17, 甲辰 丁卯 辛巳 戊戌)

천운天運은 장구長久하고, 지운地運은 단촉短促하다.” 이는 후단이며, 행운에서 취한다. 부재의 상성은 취하지 않고, 천지의 장단만 취한다. 이도 또한 논주의 독특한 간법이다. 아래 원주와 나의 견해에서 상세히 해설하겠다.

 

[원주] 천운은 지운을 포괄하니, 이 때문에 용신은 한결같이 천간만 보고, 지운은 천운을 승재承載하니, 이 때문에 천운은 언제나 그 칠할七割을 주재한다. 천운의 길흉은 매양 교운交運하면 바로 증험하고, 지시支時의 화복禍福은 세말歲末을 지나가야 비로소 다가온다. 그 직분職分이 이러하기 때문이다.(天包乎地 故用神耑看天干 地承乎天 故天運常主其七 天運吉凶 每交即驗 支時禍福 歷歲方來 職此故也)

 

[나의 견해] “천운은 지운을 포괄하니, 이 때문에 용신은 한결같이 천간만 보고, 지운은 천운을 승재하니, 이 때문에 천운은 언제나 그 칠할을 주재한다.” 이는 행운의 대법大法이다. 대운의 간지 2자는 매양 교운마다 원국의 사주팔자와 합일合一하여 하나의 십자변국十字變局을 이룬다. 이에 대운의 상하절간上下截看을 논란할 여지는 전혀 없다. 천운은 그 지운의 칠할을 주재한다. 어째서 천운은 대부분의 지운을 포괄할 수 있을까?

천포호지天包乎地는 그 출처가 황제내경黃帝內徑이다. 의역동원설醫易同源說은 이 내경을 근거한다. 노씨의학심법盧氏醫學心法 중 의역설醫易說의 일부를 인용한다. “상천은 하지下地를 포괄하고, 하지는 상천을 승재承載하니, 이 때문에 건곤이 상하上下에 위치한다. 상위는 양이고 하위는 음이다. 그 양이란 마치 삼공三公이나 구경九卿 백관百官과 같고, 그 음이란 또한 삼비三妃나 구빈九殯 백어百御와 같다. 양은 주동主動하고 음은 수순隨順하며, 양은 주도主導하고 음은 종속從屬한다.”(天包乎地 地承乎天 故乾坤位於上下 上爲陽 下爲陰 其陽者 宛如三公九卿百官也 其陰者 宛如三妃九殯百御也 陽動陰隨 陽主陰從也)

또 명대明代 감천자甘泉子 담약수湛若水(1466~1560)의 그 초어樵語를 인용한다. “군자의 지기志氣는 하늘을 본받고, 그 행위는 땅을 본받으며, 그 변화는 사시四時를 본받는다. 이 때문에 그 군자는 천지와 병렬竝列할 수 있다. 그 지기는 하늘을 본받으니, 이 때문에 장원하여 밖이 없으므로 상천이 하지를 포괄하는 듯하고, 그 행위는 땅을 본받으니, 이 때문에 친근해도 유류遺留가 없다. 그 변화는 사시를 본받으니, 시의에 맞게 그 변화가 나오며, 이 때문에 화출化出이 무궁하다.”(君子之志法乎天 行法乎地 其變化法乎四時 故能與天地幷 志法乎天 故遠而無外 天包乎地 行法乎地 故近而無遺 變化法乎四時 時而出之 故出而無窮)

 

각설하고, “천운은 지운을 포괄하니, 이 때문에 용신은 한결같이 천간만 본다.” 용신은 용사하는 신이다. 원국의 용신으로 한정하는 것은 옳지 않다. 또 행운론의 천지는 천운과 지운으로 해석하는 것이 또한 옳다. 대운이나 유년은 간지가 함께 용사한다. 원국은 주정하고 행운은 주동한다. 이도 또한 간명의 대원칙이다. 만일 주동하는 행운이라면 어찌 운지를 운간보다 더 중시할 수 있으랴. 유년의 간지는 다시 말할 것이 없다. 원국이나 대운 유년 중에 용사하는 신은 바로 용신이라 말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용신은 한결같이 천간만 본다.”라고 강조한 것이다.

지운은 천운을 승재承載하니, 이 때문에 천운은 언제나 그 칠할七割을 주재한다.” 이는 의역설 중에 양은 주동主動하고 음은 수순隨順하며, 양은 주도主導하고 음은 종속從屬한다.”라는 구절을 인용하여 해석할 수 있다. “행운론은 바로 천동설天動說이고, 또 양동설陽動說이다.” 이 동자 위에 방점傍點을 찍는다.

천운의 길흉은 매양 교운交運하면 바로 증험하고, 지시支時의 화복禍福은 세말歲末을 지나가야 비로소 다가온다.”(天運吉凶 每交即驗 支時禍福 歷歲方來) 자를 교운交運으로 번역했다. 친근하고 또 익숙하기 때문이다. 이를 태세의 교년交年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말구末句를 의거하면 이 해석도 또한 옳다. 교운과 교년을 함께 취한다.

이는 적천수 논지지論地支 중에 양지陽支는 주동하여 강하므로 신속히 이르러 재상災祥을 드러내고, 음지陰支는 주정하여 전일하므로 비태를 드러냄이 매양 연말을 경과한다.”(陽支動且强 速達顯災祥 陰支靜且專 否泰每經年​)라는 시결과 조금 유사한 점이 있다. 그러나 행운론의 논주와는 그 지향이 사뭇 다르다. 다만 양지를 행운의 천간으로 음지를 행운의 지지로 대체하여 보면 또한 옳다.

그 직분職分이 이러하기 때문이다.” 이 대문도 번역하며 고심苦心한 곳이다. 직분의 주체는 천운과 지운이다.

 

9. 공망의 전실塡實과 허일대용虛一待用의 삼합국

[원문] 자공自空이 봉공逢空하면 바로 전실하고, 허일대용虛一待用하면 삼합국이 온전하다.(自空逢空則塡實 虛一待用而局全)

 

[나의 견해] 자공봉공自空逢空도 하나의 명리용어로 볼 수 있다. 육효에 진공眞空과 가공假空이 있고, 동공動空과 정공靜空이 있으며, 또 자공自空과 화공化空이 있다.

예를 들면 갑자순甲子旬 중에 술해戌亥가 공망이고, 원국 중에 술해 지지가 있으면 곧 공망이다.” 이를 자공自空이라 한다. “홀연히 술운戌運을 만나면 바로 전실한다.” 이를 봉공逢空이라 한다. 원국 자체에 있는 공망을 자공이라 일컫고, 그 공망을 행운에서 다시 만나면 이를 봉공이라 일컫는다. 봉공하면 전실한다.

어정자평 4권에서 허일대용虛一待用을 다음과 같이 해설한다. “갑자년에 임신시를 만나거나 갑술년에 임오시를 만나며, 갑신년에 임진시를 만나거나 갑오년에 임인시를 만나며, 갑진년에 임자시를 만나거나 갑인년에 임술시를 만나는데, 문관文官을 주관하면 태간台諫이 되고, 무직武職은 장단將壇에 있게 된다. 관살의 투로透露를 기뻐하고, 겁인劫刃의 충국을 꺼린다. 방본坊本에 허일시용虛一時用이라 되어 있는데, 지금 개정改正한다.”(甲子年遇壬申時 甲戌年遇壬午時 甲申年遇壬辰時 甲午年遇壬寅時 甲辰年遇壬子時 甲寅年遇壬戌時 主文爲台諫 武居將壇 喜官煞透露 忌劫刃沖克 坊本作虛一時用 今改正)

위 사례를 의거하면 허일대용虛一待用은 삼합 중에 허신虛神 하나를 기다리고, 행운에 이르면 바로 용사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삼명통회도 또한 허일대용虛一待用을 설명하고 있다. “사주의 본간本干이 서로 순연順連하는데 바로 일자一字를 건너뛰는 것이다. 예를 들면 갑을병무甲乙丙戊는 정화丁火 일자를 건너뛰는 것과 같다. 이를 얻는 행운이면 온보청운穩步青雲이라 한다.”(四主本干相連 即跳一字 如甲乙丙戊跳丁一字是也 得之者 穩步青雲)

 

[원주] 예를 들면 갑자순甲子旬 중에 술해戌亥가 공망이고, 원국 중에 술해 지지가 있으면 곧 공망이다. 홀연히 술운戌運을 만나면 바로 전실한다. 간혹 술자戌字가 없는데 술운에 술년戌年을 만나면 또한 전실한다. 다만 입운入運하는 첫째 유년에 만나면 바로 그 전실이 더욱 묘하다. 이도 또한 상충과 동용同用한다. 만일 이미 상충하면 전실할 필요가 없고, 이미 전실했으면 또한 상충할 필요가 없다. 이 상충을 만나는 사주는 길흉이 병견幷見한다. 원국 중에 삼합하는데 일자一字가 부족하면, 반드시 행운에 만나서 이를 보완해야 바로 회국會局한다. 다만 조년早年에 전공塡空하거나 보실補實하는 행운이라야 묘하다. 행운은 설령 지나가면 그뿐이지만, 보실하면 이미 완전하기 때문이다.(如甲子旬中戌亥空 平中有戌亥字則空矣 忽而逢戌運 則實 或無戌字而戌運逢戌年 則亦塡實 但逢入運第一年即塡便妙 此亦與沖同用也 若既沖則不用塡 既塡亦無用沖 遇此者吉凶幷見 平中三合而少一字 必逢運補之則會局 但早年塡空 補實者妙 運雖過而已 實已全也)

 

[나의 견해] “예를 들면 갑자순甲子旬 중에 술해戌亥가 공망이고, 원국 중에 술해 지지가 있으면 곧 공망이다.” 이를 자공自空이라 한다. 이 공망도 견해가 다단하다. “홀연히 술운戌運을 만나면 바로 전실한다.” 이를 봉공逢空이라 한다. “간혹 술자戌字가 없는데 술운에 술년戌年을 만나면 또한 전실한다.” 공망과 전실을 행운에서 겸했다.

다만 입운入運하는 첫째 유년에 만나면 바로 그 전실이 더욱 묘하다.” 길신이 좌공한 경우이며, 첫째 유년에 만나면 그 공효가 장구하기 때문이다. “이도 또한 상충과 동용同用한다.” 길신이 좌공한 지지를 행운에 상충하면 또한 공망이 해소되기 때문이다.

만일 이미 상충하면 전실할 필요가 없고, 이미 전실했으면 또한 상충할 필요가 없다.” 전실이나 상충 중에 하나로 공망이 해소되며, 구태여 해소된 공망을 다시 해공할 필요는 없다. “이 상충을 만나는 사주는 길흉이 병견幷見한다.” 해공은 길사이고, 상충은 흉사이기 때문이다.

원국 중에 삼합하는데 일자一字가 부족하면, 반드시 행운에 만나서 이를 보완해야 바로 회국會局한다.” 이에 대한 미비眉批예를 들면 원국 중에 단지 인오寅午만 있고 1개 술자가 부족한데, 술운戌運을 만나서 부족한 일자一字를 보완하면 곧 회국한다. 설령 행운에 만나도 삼합국이 이미 온전하다.”(如平者中只有寅午 少一戌字 逢戌 逢補之則會局 雖運遇而局已全也)라고 주석한다.

다만 조년早年에 전공塡空하거나 보실補實하는 행운이라야 묘하다.” 이는 다만 입운入運하는 첫째 유년에 만나면 바로 그 전실이 더욱 묘하다.”라는 구절을 거듭 강조한 것이다. “행운은 설령 지나가면 그뿐이지만, 보실하면 이미 완전하기 때문이다.” 전공하거나 보실한 당해 대운에 한정하지 않고, 이어지는 대운에도 여전히 그 공효가 작동하기 때문이다.

 

10. 충신沖神의 봉공逢空과 합신合神의 봉령逢令

[원문] 충신沖神이 공망을 만나면 완벽하게 힘을 쓰지 못하며, 합신合神이 월령을 만나면 우선 서로 관절關切해야 한다.(沖逢空全不著力 合逢令先要相關)

 

[나의 견해] 착력著力은 힘을 쓰다 애쓰다 진력하다는 뜻이 있다. 행운 중에 충신이 공망을 만나면 상충하는 힘이 약화하여 부실하다. 합신合神이 월령을 만나면 우선 서로 관절關切해야 한다. 합신과 월령의 상호 관계가 절실해야 한다. 이 관절을 상호 조응으로 볼 수도 있다.

 

[원주] 충공沖空의 길흉은 유년流年과 연계된다. 전실하는 유년에 공운空運을 써서 실지實支를 상충하면 바로 공망한 지지가 전실하지만, 지신支神은 당연히 부동不動한다. 실운實運으로 공지空支를 상충한 것도 또한 그러하다. 만일 승기와 사간四干이 서로 동일한 것이 있는데 합운合運을 만나면 바로 먼저 영신令神을 우선하여 작합한다. 그 중에 서로 동일한 것이 없으면 작합은 말할 필요가 없다.(沖空吉凶系乎流年 塡實之歲 以空運而沖實支 則空者實矣 而支神固不動 實運沖空支者亦然 若乘氣與四干有相同者 而逢合運 則先儘令神作合也 其無相同者 合不待言矣)

 

[나의 견해] “충공沖空의 길흉은 유년流年과 연계된다.” 유년의 연지가 원국의 길신이나 흉신을 격충하는데, 이 연지가 공망이면 충공沖空이라 한다. 충공은 길신이나 흉신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전실하는 유년에 공운空運을 써서 실지實支를 상충하면 바로 공망한 지지가 전실하지만, 지신支神은 당연히 부동不動한다.” 공망이 든 대운의 지지로 전실하는 유년의 지지를 상충하면 대운의 공지空支만 전실하고 유년의 지지는 부동한다.

실운實運으로 공지空支를 상충한 것도 또한 그러하다.” 전실하는 대운의 지지로 공망이 든 유년의 지지를 상충하면 유년의 지지는 전실하고 대운의 지지는 부동한다,

만일 승기와 사간四干이 서로 동일한 것이 있는데 합운合運을 만나면 바로 먼저 영신令神을 우선하여 작합한다.” 사간이 서로 동일하면 천원일기격天元一氣格이다. 만일 천간이 사갑四甲이고 인월寅月인데 기운己運이 온다면, 기토는 영신이 있는 월간과 먼저 작합한다. “그 중에 서로 동일한 것이 없으면 작합은 말할 필요가 없다.” 천원이 일기격이 아니라면 작합의 우선순위를 논란할 필요가 없다.

 

11. 길신과 흉신의 합충 득실得失

[원문] 길신이 영신令神이 되면 함부로 작합할 필요가 없고, 흉신이 공지空地에 있으면 또 충전沖塡을 꺼린다.(吉作令神 不須混合 凶居空地 又忌沖塡)

 

[나의 견해] 혼합混合함부로 작합한다라고 해석한다. 자는 부사로 쓰이면, 함부로 되는대로 분별없이 등의 뜻이 있다. 협비에 모두 영신을 말한 것이다.”(俱以令言)라고 주석한다. 영신이 길신이면 작합해도 옳지 않고, 상충해도 또한 옳지 않다. 유고한 합충이 될 수 없기 때문이다. 영신이 흉신인데 공지에 있으면 또한 좋다. 공지를 상충하여 전실하면 흉신의 흉의가 발동하기 때문이다.

 

[원주] 흉신은 작합함이 마땅하고, 길신은 작합함이 마땅하지 않는다. 공지空地란 월지 순공의 지지이다. 길신이 좌공坐空하는데 충실沖實하지 않으면 곧 득력得力하지 못하고, 만일 흉신이 착실著實하면 진실로 봉충逢沖을 꺼린다. 간혹 공지에 있어도 또한 전충塡沖을 꺼린다.(凶宜合 吉不宜合 空地者 月支旬空之地也 吉神坐空而不沖實 則不得力 若凶神著實 固忌逢沖 或居空地 又忌塡沖也)

 

[나의 견해] 흉신은 작합해야 비로소 흉의를 드러낼 수 없고, 길신은 작합하면 길상한 묘용을 발휘할 수 없다. 길신은 좌공坐空해서는 안 되고, 만일 좌공한다면 반드시 상충하여 전실하는 것이 또한 옳으며, 상충하여 전실해야 비로소 득력得力할 수 있다.

만일 흉신이 착실著實하면 진실로 봉충逢沖을 꺼린다.” 착실著實은 많은 뜻을 함축하고 있다. 답실踏實한다거나 인진認眞 절실切實 실재實在 확실確實 적확的確하다 부합실제符合實際하다 등이다. 이 중에 맨 끝을 취한다. 흉신이 월령의 실제에 부합하면 진실로 봉충逢沖을 꺼린다. 봉충하면 흉의가 난동하기 때문이다. “간혹 공지에 있어도 또한 전충塡沖을 꺼린다.” 흉신이 공지에 있으면 또한 좋기 때문이다.

 

이 행운론에는 특히 생소한 명리용어가 많이 나온다. 만일 배우고 익혀서 용어에 대한 정확한 인식이 수반되기만 한다면, 아무리 난해한 문장일지라도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는 전혀 없다. 번역에 착오가 있을 수는 있다. 이 때문에 나는 언제나 원문을 병기한다. 다만 아쉬운 것은 현재 독자는 대부분 한문세대가 아닌지라 병기해도 무용지물이나 마찬가지라는 점이다. 어떻든 나는 노력한다. 수용은 독자의 몫이다.

 

2024214일 길상묘덕 씀, 319일 거듭 수정하다.(2024. 3. 19. 08:00, 甲辰 丁卯 壬午 甲辰)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옥루몽 | 작성시간 24.12.03 new 좋은 글 감사합니다
  • 답댓글 작성자만리강산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24.12.03 new 감사합니다.
  • 작성자vt120 | 작성시간 24.12.03 new 이건 예시가 없네요
  • 답댓글 작성자만리강산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24.12.03 new 감사합니다.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