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름다운 곡을 만들기 위해서는 조성에 대한 이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맛있는 음식을 만들려면 재료의 특징과 성질에 따라 각각 다른 음식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 조성에 따라 느낌이 다를 뿐만 아니라 연주의 난이도(難易度)도 달라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 계통의 조(調) 보다는 ♭계통 조의 곡이 노래 부르기 쉬우며 부드러운 느낌을 준다.
- 찬송가의 경우 # 계통의 노래는 모두 143곡인데 반하여, ♭계통의 노래는 349곡이나 되는 것을 보아서도 그 이론을 뒷받침하고 있음을 알수 있다. 그러나 # 계통의 곡은 노래 부르기는 힘드나 비교적 밝은 느낌을 준다.
2. 각 조에 따른 일반적인 느낌을 보면 다음과 같다.
- 내림 마장조, 내림 가장조, 내림 라장조 ----아름답고 부드러우며 부르기 쉽다.
- 사 장조----남성적이나 딱딱한 느낌을 준다.
- 라 장조----정열적이고 밝으며 기쁜 느낌을 준다.
- 바 장조----봄을 상징하듯 부드러운 느낌을 준다.
- 마 장조----애수적이고 격정적인 느낌을 준다.
- 나 장조----종교적이고 격정적인 느낌을 준다.
- 다 단조----비극적이고 슬프며 어두운 느낌을 준다.
3. 프랑스의 음악 이론가인 라비냑(Alexander Jean Lavignac 1846-1916) 이 주장한 조에 대한 특색
장 조 |
조의 특성 |
장 조 |
조의 특성 |
C |
단순, 소박, 단명, 단조 |
C# |
단아, 막연 |
Db |
매혹적, 유화, 고요 |
D |
화려,사치스러움,활발 |
Eb |
힘참, 기사적, 음향적 |
E |
온화, 기쁨, 빛남 |
F |
목가적, 소박 |
F# |
조잡 |
Gb |
유화, 조용 |
G |
시골풍, 유쾌 |
Ab |
유화, 추종적, 장려 |
A |
단명, 음향적 |
Bb |
고귀, 단아, 우아 |
B |
정력적, 환함 |
Cb |
고귀, 비음향적 |
|
|
단 조 |
조의 특성 |
단 조 |
조의 특성 |
C |
극적, 어두움, 격렬함 |
C# |
잔인, 음산, 야유 |
D |
열중, 진지 |
D# |
완만 |
Eb |
슬픔, 비애 |
E |
슬픔, 감격 |
F |
우울, 정력적 |
F# |
조잡, 경쾌 |
G |
우울, 애수, 수줍음 |
G# |
어두움, 비애 |
Ab |
애절, 걱정스러움 |
A |
단순, 소박, 슬픔 |
A# |
완만, 진지, 음산 |
Bb |
장례식적, 신비스러움 |
B |
애만적, 음산, 힘참 |
|
|
4. 곡의 구조와 특징에 대한 이해
곡을 선곡할 때 조표만 보고 선곡하면 안 된다. 왜냐하면 곡의 구조와 특징에 따라 느낌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선곡할 때 유의해야 할 곡의 구조와 특징은 다음과 같다.
곡의 구조 |
특 징 |
빠른 속도의 음악 |
유쾌하고 활기차며 흥분을 일으킨다 |
느린 속도의 음악 |
조용하고 온화하며 감상적인 기분을 일으킨다 |
높은 음이 많이 나오는 음악 |
활기차며 해학(諧謔)스럽다 |
낮은 음이 많이 나오는 음악 |
품위가 있으면서도 엄격하고 슬픈 느낌이 난다 |
도약이 심한 음악 |
활기찬 기분이 나게 한다 |
순차진행이 많은 음악 |
감상적인 기분이 나게 한다 |
흐르는 듯한(slur가 많은)음악 |
즐겁고 행복하며 우아하고 꿈같은 느낌을 준다 |
불협화음이 많은 음악 |
선동적이며 육체적 흥분을 일으킨다 |
단순한 화음의 음악 |
우아하며 정적인 기분의 반응을 일으킨다 |
급속한 진동의 음악 |
강한 신경적 자극을 일으킨다 |
강한 음량의 음악 |
육체적 흥분을 일으킨다 |
멜로디가 상승하는 음악 |
긴장을 고조시킨다 |
멜로디가 하향하는 음악 |
긴장을 이완시킨다 |
명상적인 가사를 지닌 음악 |
차분하고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