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아름다운 작품방

[스크랩] 檀園 金弘道의 작품

작성자南齋|작성시간12.03.15|조회수38 목록 댓글 0

 

 檀園 金弘道의 작품

표시하기

 

본관 金海  자 士能  호 檀園  
       생멸 :1745년 - 1810년  
직업 :조선 정조 때 화가,  조선말기 화가   
  
경력 :충청도 연풍현감(1795)
정조어진익선관본 도사의 동참화사 활동(1781)
영조어진 (英祖御眞 )제작참여(1773)
1771-1795 까지 좋은 작품을 남김  
 
단원 김홍도(1745~1806)는 그 고유색 짙은 
조선 독자 문화가 절정에 이르렀을 때 탄생하여 
문화의 최후를 장식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던 화가이다.

  그는 7~8세 되던 해에 그의 천재성이 인정되어 사대부 화가 강세황
(姜世晃)에게   인정받아 그의 훈도 아래 詩文書畵를 익혔기 때문에   
단원은 그림 재주를 하늘로부터 타고난 것이었기에 
모든 화과(畵科)의 그림에 능하지 않는 것이 없었다.

  산수,인물,화조,사군자,누각 등을 다 잘하는데 
특히 당시 생활상을 그려내는 풍속인물화에 뛰어난 
솜씨를 보이었고 신선과 고승을 그리는 도석(道釋)화는 
누구도 따라 올 수 없는 경지였다 한다.



<군선도>,32살 때인 1776,그림 국보 제139호, 호암미술관 병풍 그림,
신선이 신선동자를 데리고 서왕모의 생신잔치에 가는 모습을 그렸다.

신선도


성하부전도.지본담채, 27x38.5cm,호암미술관 소장.


무동.풍속화첩,지본담채,27x22.7cm,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씨름.풍속화첩,지본담채,27 x 22.7cm,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서당.풍속화첩,지본담채, 27 x 22.7cm,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벼 타작

길쌈

자리짜기

우물가

주막

논 농사

나룻배

맹호도

봄맞아 지저귀는 까치

나비 부채(1782년작)
“나비가루가 손에 묻을 듯하니 사람의 솜씨로 자연의 아름다움을 빼앗았다."
단원 김홍도 춘화도 / 나 죽어 꽃이 되어

명경대(1788년작)정선이 그린 금강산 그림과 비견되고
있는 김홍도의 금강산 그림인 명경대

이 그림도 김홍도가 죽서루를 그린 <금강사군첩> 중 한 장면입니다.

금강산 전도
부작란도(不作蘭圖) (1844)

고도의 理念美를 전적으로 筆劃과 墨色으로 
창설한 이로 추사(1786~1856)가 꼽히며, 그의 작품 중에서도
 ‘불이선란도’는 최고 완숙미를 갖춘 작품이다. 혹자는 ‘세한도’
를 앞세우기도 하지만 詩·書·畵의 혼융을 三絶로 완전히 보여준
 ‘불이선란도’와는 성격이 다르다. 왜냐하면 ‘불이선란도’는 
추사체가 완전히 농익어 소위 碑學과 帖學의 성과가 혼융
완성되는 말년의 작품이자 서예적 추상성과 불교적 
초월성의 결정체이기 때문이다. 
 

지란병분(芝蘭竝盆) (1844)

“지초와 난초가 향기를 함께 하다” 는 뜻의 그림입니다. 
중심부에 난초를 엷은 먹으로 그리고, 오른 쪽에 진하게 영지를 그렸는 
데, 영 어울릴 것 같지 않았던 이 두 가지가 추사의 정서를 보여주는 듯 
조화롭게 그려져 있습니다. 왼쪽에는 대원군인 이하응과 친구 
권돈인의 발문이 적혀있습니다. 

나장월모송명사那將月姥訟冥司(1786~1856). 어찌하리오! (유배지에서 아내의 죽음을 애도하다)
다음검색
스크랩 원문 : 사림문화원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