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사랑방 이야기

진달래 꽃불을 즈려밟고 가시옵소서!

작성자恩波 안균세|작성시간23.04.25|조회수157 목록 댓글 0

지난 주말의 어느봄날!

4월을 흘러보내는 하순의 길목에 남한산성에 올라,

즐겨 찾는 분위기 좋은 커피숍에 들려 야외의자에 앉아 블루마운틴을 마시면서,

앞산에 펼쳐진 진달래 꽃불을 보고 화들짝 놀라며

그 속에 숨겨진 애달픈 꽃 사연에 시선을 맞추어 본다.

 

진달래는 봄이 되면 말없이 펴서 한쪽 구석 척박한 땅에서 자라다

거센 봄비에 모든 꽃잎을 떨어뜨리고 봄을 마감하는 그 운명은,

우리민족의 예민한 감수성 앞에서는 그냥 지나칠 수 없는 비련의 꽃이 되었다.

벗 꽃 같은 화사함이나 모란 같은 우아함, 장미 같은 정열은 가득하지 않지만,

겨울이 길고 강수량과 평야가 적으며 척박한 산야가 많은 이 땅에서

외세의 침략을 막아내야 했던 힘든 시절에도, 배고픔을 견뎌내야 했던 보릿고개에도

붉게 핀 진달래는 가장 가까운 곳에서 우리의 마음을 늘 위로했다.

 

목재로 쓸 만큼 굵은 나무도 아니고 척박한 땅에서 자라기에 키 큰 꽃으로

풍성하게 실컷 피워보지도 못한 채, 화초로도 나무로도 제대로 대접받지 못하며

그저 산야의 이곳 저곳 음지의 빈 구석이면 자리잡아 자라다가 떠날 때에는

혼신의 힘을 다해 온 산야를 붉게 물들이고 이별을 고하는 진달래를 보면서,

마음 한 켠엔 가슴 아린 열차 역에서의 이별의 손수건을 떠 올린다.

 

그래도, 진달래는 올해에도 우리 곁에 조용히 수줍게 돌아왔다.

아무런 불평과 조건 없이 돌 틈 사이에서 자기가 자랄 수 있는 높이와 넓이만큼 자라며,

자기가 인간에게 보여줄 수 있는 조건 없는 사랑만큼 자란다.

욕심을 더 이상 부리지 않는 자기 절제가 바로 조건 없는 사랑이다.

진달래 꽃말은 조금씩 차이는 있지만, ‘사랑의 기쁨’, ‘이별의 슬픔’, 또 한가지 ‘절제’란다.

 

이렇듯 진달래가 뭐기에 우리민족의 이별, 아픔과 이루지 못한 사랑에

늘 주연배우로 등장하는 것일까? 그것도 늘 가슴 아파하는 비련의 배우로 말이다.

우리민족에게는 진달래는 꽃이 아니고 사람이다. 그것도 그냥 사람이 아니라,

나의 속병을 다 받아줬던 ‘속 깊은 친구’며 ‘떠나버린 애절한 옛 연인’이다.

그래서 우리나라는 고조선에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애잔한 심정과 한(恨)을

진달래 위에 씌워놓고 자신의 모습으로 의인화해 노래했다.

시인 김소월도 ‘진달래’꽃으로 우리마음 속에 내재된 수 천년 이어진 이별계보를

“즈려밟고 가시옵소서”라는 사무친 진달래로 또다시 잇는다.

 

올해도 우리와 함께 이 봄을 붉은 사랑으로 채우는 저 진달래를 바라보면서,

나의 인생여정에 흘러간 애닮은 사랑을 꽃불 위에 씌어 본다.

커피 맛이 달콤하지 않고 씁쓰레하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