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삶의이야기방

주인의식과 책임감을 갖고 일하게하는 방법

작성자와촌농장(충남 서천)|작성시간23.02.09|조회수8 목록 댓글 2

<주인의식과 책임감을 갖고
일하게 하는 방법>

일을 직접 실행하는 실무자들이
일에 대한 오너십과
책임감이 부족한 가장 큰 이유는
일을 통해
책임져야 할 결과물의 기준이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잘 모르고
델리게이션을
제대로 해주지 않아서이다.

팀장이 팀원에게 일을 시키든지,
CEO가 임원이나 팀장에게 시키든지,
임원이 팀장에게 일을 시키든지
무엇을 언제까지
왜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비교적 잘 알려주는 편인데
일을 하기 전에
책임져야 할 결과물의 기준에 대해서
상호합의하는 경우는 아주 드물다.

고객을 위해
일을 하는 조직이나 사람이라면
자신이 정해진 기간내에
소속된 조직과 고객에게 기여해야 할
역할과 책임을 다하기 위한 방법을
핑계대지 말고 변명하지 말고
반드시 찾아야 한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책임을 다하기 위한 방법을 찾으려면
책임져야 할 결과물에 대한
상태적 목표와
객관적인 현재 상태를 알아야 한다.
핑계대고 변명하는 사람들은
목표의식과 현재의식이 미흡하고
해야 할 일을 일정내에 끝내야 한다는
막연한 강박관념에 사로잡혀 있다.

실행하는 사람들에게
역할과 책임의 완수에 대한
핑계와 변명을 대지 않게 하려면
자기완결적인 책임기준을 부여하고
실행방법의 선택에 대한
권한위임인 델리게이션을 해야 한다.
델리게이션은
성과목표에 대한 사전합의와
전략에 대한 사전코칭이 없으면
실행하기 어렵다.

책임져야 할 성과를 창출하는데
실행방법에 대해 의사결정할 수 있는
델리게이션이야말로
주인의식과 책임감을 가지고
열정적으로 일하게 하는
핵심요소이다.

역량이 미흡한 구성원에게는
직위와 상관없이
델리게이션의 기간을
2~3일이나
일일단위로 짧게 해야 한다.

상태적 목표에 대한 주체적 사고와
달성전략에 대한
고객과 현장중심의 고민은
자기완결적으로
성과를 창출하게 하는 핵심이다.

핑계대지 않고 변명하지 않고
결과물에 대한 책임감을 가지고
주체적으로 일하게 하려면
기간별로 과제별로
역할과 책임의 기준을
사전에 합의해야 한다.

역할과 책임을
완수하게 하기 위해서는
능력에 따라 임파워먼트를 하고
역량에 따라 델리게이션을 해야 한다.

"구성원은
리더의 부하나 아랫사람이 아니라
리더의 역할과 책임을
위임받은 동업자이다.
리더가 구성원을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구성원은 부하로 일할 수도 있고
동업자로 일할 수도 있다.

부하는
상사가 시키는 일만
시키는대로 하지만
동업자는 역할과 책임을 다하기 위해
주체적으로 자발적으로 창의적으로
자기완결적으로 성과나게 일한다"

-2023. 2. 8 LD ryu-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작성자도시농부(고양시) | 작성시간 23.02.09 좋은글 잘 읽고 갑니다
  • 답댓글 작성자와촌농장(충남 서천)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23.02.09 고맙습니다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