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제주도

1월6일 월요일 출석부

작성자저별과달(제주도)|작성시간20.01.06|조회수40 목록 댓글 14


♡(하트) 人 情
소박한 그 민심이 그리워라
아래글은
펄 벅 여사의 한국 체험기입니다
장편소설 대지(大地)로
1938년 노벨 문학상을 탄
펄벅(Pearl S. Buck, 1892~1973) 여사가 1960년 처음으로 한국을 방문했다.
그녀가 慶州 방문 시 목격한 광경이다.
해질 무렵, 지게에 볏단을 진 채 소달구지에도 볏단을 싣고 가던 농부를 보았다.
펄벅은 지게 짐을
소 달구지에 실어 버리면 힘들지 않고 소달구지에 타고 가면 더욱 편할 것이라는 생각에
농부에게 물었다.
"왜 소달구지를 타지 않고 힘들게 갑니까?"
농부가 말했다.
“에이! 어떻게 타고 갑니까.
저도 하루 종일 일했지만,
소도 하루 종일 일했는데요.
그러니 짐도 나누어서 지고 가야지요.“
당시 우리나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풍경이었지만,
펄벅은 고국으로 돌아간 뒤
세상에서 본 가장 아름다운 광경이었다고 기록했다
"서양의 농부라면 누구나 당연하게 소달구지 위에 짐을 모두 싣고, 자신도 올라타 편하게 집으로 향했을 것이다.
하지만 한국의 농부는 소의 짐을 덜어주려고 자신의 지게에 볏단을 한 짐 지고
소와 함께 귀가하는 모습을 보며 짜릿한 마음의 전율을 느꼈다."고 술회했다.
늦가을 감이 달려있는 감나무를 보고는
“따기 힘들어 그냥 남긴건가요?”라고 물었다.
겨울새들을 위해 남겨 둔 “까치밥”이라는
설명에 펄 벅 여사는 감동했다.
“내가 한국에서 가 본 어느 유적지나 왕릉보다도 이 감동의 현장을 목격한 하나만으로도
나는 한국에 오기를 잘했다고 자신한다”고 기록했다.
감이나 대추를 따면서도 '까치밥'은 남겨 두는 마음,
기르는 소를 내 몸처럼 사랑하는 마음,
작은 배려를 몸으로 실천하던 곳이 우리나라였다.
우리 선조들은
자연과 사람은 한 뿌리임을 알았다.
그래서 봄철 씨앗을 뿌릴 때도 셋을 뿌렸다.
하나는 하늘(새)에게,
하나는 땅(벌레)에게,
나머지 하나는 나에게,
서로 나눠 먹는다는 뜻이다.
소가 힘들어 할까봐
짐을 덜어 주려는 배려,
이렇게 깊고 넓은 배려에
펄 벅 여사는 감동했다.
************

죄송합니다
오늘부터 정상적으로 돌아와
카페에 님들께 인사드림니다
어제는 힘들지만 손주들 데리고
봉사활동 가는날이라 다녀와
오랜만에 가족이 찜방까지
오늘도 즐겁고 행복한 한주 되시기 바랍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답댓글 작성자저별과달(제주도)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20.01.06 지기님 고맙습니다
    모든분들께감사드려요
  • 작성자달꽃(남양주) | 작성시간 20.01.06 수고 많으셨어요
    건강 잘 챙기시구요
    따듯하게 찜질도하시고
    그러세요
    감사 합니다
  • 작성자저별과달(제주도)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20.01.06 달꽃방장님 감사합니다
    행복한 한주되세요
  • 작성자미미(서울용산) | 작성시간 20.01.06 봉사활동 대단하십니다..
    오늘도 즐겁고 행복한 날되세요.
  • 답댓글 작성자저별과달(제주도)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20.01.07 미미님 감사합니다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