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국내 여행 코너

아산 가볼만한곳,충무공 이순신장군을 모시고 있는 현충사

작성자도시농부(고양시)|작성시간15.10.11|조회수226 목록 댓글 0

아산 현충사 현충사 단풍,현충사 은행나무길,현충사 벚꽃,아산 현충사,은행나무길,서대문 현충사 외암 민속마을,아산 현충사 입장료 독립기념관,현충사 입장료무료,관람안내시간,피나클랜드,온양 민속박물관 공세리 성당 신정호 현충사 행사 현충원 현충사찾아 가는길 이순신장군 묘 국립묘지 지중해마을 온양온천 아산 여행


임진왜란 때 혁혁한 전공을 세우고 순국한 이순신을 기리기 위해 세운 것이다. 1706년에 창건하고, 이듬해 ‘’라 사액()

그 뒤 일본의 국권 침탈로 돌볼 수 없게 되어 한때 퇴락했으나, 1932년에 이충무공유적보존회()와 동아일보사가 성금을 모아 중건하였다. 광복 후 1967년 국가에서 현충사 성역화 사업을 마쳤다.

경역 면적은 16만 3096평이고, 주요 시설로 본전(殿)·구본전(殿)·유물관·고택()·활터·홍살문()·정려(), 이면()의 묘소 등이 있다. 본전은 이순신의 영정을 모신 사당이다. 지금의 영정은 1953년 장우성()이 그린 것으로, 표준 영정으로 지정되었다.

구본전은 본전을 신축할 때 배전(殿)으로 이용하기로 하고 사적비()와 함께 유물관 옆으로 이전하였다. 고택은 이순신이 자라난 집으로 후손들이 대대로 지켜왔으며, 몇 차례 중수 또는 개수되었다. 활터는 옛집 옆에 500년 수령의 은행나무 두 그루가 있는 곳으로 이순신이 활을 쏘며 무예를 닦던 곳이다. 홍살문은 사당 경내를 표시하는 정문으로 1932년 중건 때의 자리에 있다.

정려에는 이순신과 조카 완(), 4대손 홍무(), 5대손 봉상(), 효자 제빈() 등 5인의 편액()을 보존하고 있다. 이면은 이순신의 셋째아들인데 임진왜란 때 21세로 이곳에서 어머니를 모시고 있다가 왜군을 막기 위해 싸우다 전사하였다.

유물관에 전시된 주요 유물로는 《난중일기 》·서간첩()·임진장초()(이상 국보 제76호), 장검()·옥로()·요대()·도배()(이상 보물 제326호), 명조팔사품( : ·······)·교지()·각종 무기·거북선 모형·유적 사진·해전도()·거북선도[]·십경도병풍() 등이 있다. 그런데 이 유물관에 전시된 것은 모조품이고, 진품은 경상남도 통영시의 충렬사()에 전시되어 있다.

'

현충사 [顯忠祠]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현충사의 소소한 볼거리 아산 현충사 가을에 가볼만한 곳! 은행나무









현충사 무료개방 관람시간안내





현충사

현충사는 충무공 이순진장군의 정신과 위업을 선양하기 위한 곳이다. 1706년(숙종32)에 아산 지역의 유생들이 조정에청하여

허락을 받아 세운 사당이며, 1707년 숙종임금이 현충사라는 현판을 내렸다.

그러나 현충사는 1868년(공종5) 흥선대원군의 서원첼폐령으로 헐리게 되었다.

일제강점기 때인 1931년 충무공 종가의 집안이 어려워져 충무공의 묘소와 위토가 은행 경매로 넘어갈 윅에 처하게 되었다.

이소식이 언론사에 보도되면서 전국 각지에서 이를 지키기 위한 성금이 모여, 그 성금으로 묘소아 위토를 되찾고 1932년 다시 현충사를 세우게 되었다.




해방 후 1960~70년대 현충사성역화사업을 통해 이순신장군의 위업과 정신을 널리 선양하고 있으며, 충무공의 탄신일인 4월28일 국가기념일로 지정하여 해마다 다례행사를 개최하고 있다.














현충사내 전시관 사진으로 설명을 볼수 있습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