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후기"]변산(2023.06.24)

작성자개구장이 스모프|작성시간23.07.15|조회수114 목록 댓글 0

변산을 다녀와서~

 

일    시 : 2023년 6월 24일 토요일 10시 40분부터 14시 34분까지

날    씨 : 아침 기온 영상 19˚ 낮 기온 영상 26˚ 맑고 바람 약간 불어옴  

산행구간 : 내변산탐방지원센터 – 낙조대 – 직소폭포 – 재백이삼거리 – 마당바위 - 관음봉 삼거리 - 관음봉 – 세봉 – 세봉삼거리 –내소사 일주문

산행거리 : 약 8.7㎞ 

소요시간 : 3시간 54분

함께하신 분 : 김명수외 30명(다음매일 산악회 우서대장과 함께)  

 

 오늘 산행은 한국의 산하 100대 명산 중 48번째의 산행으로 매번 혼자 산행을 하여 집사람과 함께 산행을 하며 추억도 만들고 싶어 함께 가기로 하였다. 군 생활을 전북 고창에서 한 이후 전북으로 여행을 가기는 처음이었고 대학시절 컴퓨터 동아리 KUCIA MT로 변산 반도로 떠났던 기억도 아련히 떠오른다. 그 이후 변해버린 변산반도 풍경도 보고 싶은 마음에 떠나보기로 마음먹었다. 이른 아침 5시에 일어나 산행준비를 마치고 5시 30분, 집을 나서 마을버스를 타고 지하철로 환승하여 사당역에 도착하니, 시계는 6시 40분을 가르치고 있다.

<사당역 10번 출구 전경>

 

6시 50분 제로쿨 투어 6414호는 사당역을 출발하여 양재역, 죽전 간이버스정류장, 신갈 간이버스정류장에서 산우님들을 탑승시킨 다음 내변산으로 향하였다. 그렇게 이동하길 1시간 45분, 정안알밤휴게소에 도착하게 되었다.(08:35)

<정안알밤휴게소>

 

정안알밤휴게소에서 다음매일 산악회에서 나누어준 김밥과 물로 허기진 배를 채우고 약간의 휴식을 가진 다음 8시 55분, 정안알밤휴게소를 출발한 버스는 공주-서천 고속도로를 지나 서해안 고속도로를 따라 이동을 하여 내변산탐방지원센터에 도착하니 시계는 10시 35분을 가르치고 있다.

<내변산탐방지원센터 전경>

 

산행준비를 마치고 오늘의 산행지인 관음봉을 향해 첫 발을 내디뎠다.(10:40)

내변산탐방지원센터를 뒤로하고 자생식물관찰원을 지나 직소폭포(1.8km)/ 내변산 바람나들이, 자생식물관찰원/주차장(0.5km) 갈림길 이정표를 경유하여 직소폭포(1.6km)/ 내변산주차장(0.7km), 자생식물관찰원(0.2km) 갈림길 이정표를 거쳐 봉래교에 도착하니 시계는 10시 54분을 가르치고 있다.

<내변산  탐방로 전경>

<이동 중 바라본 전경> 

<이동 중 바라본 전경>

<이동 중 바라본 전경>

<직소폭포(1.8km)/ 내변산 바람나들이, 자생식물관찰원/주차장(0.5km) 갈림길 이정표>

<이동 중 바라본 전경>

<직소폭포(1.6km)/ 내변산주차장(0.7km), 자생식물관찰원(0.2km) 갈림길 이정표>

<이동중 바라본 전경>

<봉래교 전경>

 

봉래교를 뒤로하고 자연보호헌장탑(0.3km), 직소폭포(1.2km)/ 내변산 주차장(1.1km)/ 봉래곡 갈림길 이정표가 있는 곳에서 직소폭포 방향으로 이동을 하여 미선나무다리를 건너 내변산 주차장(1.3km)/ 직소폭포(1.0km) 갈림길 이정표를 지나 내소사(4.5km), 직소폭포(0.9km)/ 내변산 주차장(1.4km)/ 월명암(2.3km) 갈림길 이정표를 경유하여 직소보 다리를 건너 선녀탕(0.1km)/ 내변산 주차장(1.9km)/ 직소폭포(0.4km) 갈림길 이정표를 지나 내소사(3.7km)/ 월명암(2.8km) 갈림길 이정표를 거쳐 직소폭포에 도착하니 시계는 11시 21분을 가르치고 있다. 이곳까지 오르는 길은 둘레 길처럼 이동에 어려움이 없는 듯하다.

<자연보호헌장탑(0.3km), 직소폭포(1.2km)/ 내변산 주차장(1.1km)/ 봉래곡 갈림길 이정표>

<이동 중 바라본 전경>

<미선나무 다리 전경>

<내변산 주차장(1.3km)/ 직소폭포(1.0km) 갈림길 이정표>

<내소사(4.5km), 직소폭포(0.9km)/ 내변산 주차장(1.4km)/ 월명암(2.3km) 갈림길 이정표>

<직소보 다리 전경>

<직소보 전경>

<직소폭포 일원 명승지 안내판>

<직소보 전경>

<선녀탕(0.1km)/ 내변산 주차장(1.9km)/ 직소폭포(0.4km) 갈림길 이정표>

<내소사(3.7km)/ 월명암(2.8km) 갈림길 이정표>

<직소폭포 전경>

<직소폭포 전경>

<직소폭포 주위 전경>

<직소폭포 안내판>

 

직소폭포에서 약간의 휴식을 갖고 이동을 하여 내소사(3.6km)/ 직소폭포(0.1km) 갈림길 이정표를 뒤로하고  내소사(3.5km)/ 내변산 주차장(2.4km), 월명암(3.3km) 갈림길 이정표를 거쳐 재백이 다리를 건너 재백이 삼거리(원암(1.2km)/ 관음봉 삼거리(0.9km)/ 직소폭포(1.5km) 갈림길 이정표)에 도착하니 시계는 11시 46분을 가르치고 있다.

<내소사(3.6km)/ 직소폭포(0.1km) 갈림길 이정표>

<내소사(3.5km)/ 내변산 주차장(2.4km), 월명암(3.3km) 갈림길 이정표>

<재백이 다리 전경>

<재백이삼거리(원암(1.2km)/ 관음봉 삼거리(0.9km)/ 직소폭포(1.5km) 갈림길 이정표)>

 

재백이삼거리를 뒤로하고 경사구산을 이동을 하다 마당바위에서 약간의 휴식을 가진 다음 직소폭포(2.1km), 재백이 고개(0.6km)/ 내소사(1.5km 갈림길 이정표를 이동하길 44분, 관음봉삼거리(직소폭포(2.3km)/ 내소사(1.3km)/ 관음봉(0.6km), 세봉(1.3km) 갈림길 이정표)에 도착하게 되었다.(12:30)

<이동 중 바라본 전경>

<마당바위 전경>

<관음봉삼거리를 오르며 바라본 서해 갯벌>

<이동 중 바라본 전경>

<직소폭포(2.1km), 재백이 고개(0.6km)/ 내소사(1.5km 갈림길 이정표>

<이동 중 바라 본 전경>

<관음봉삼거리로 오르는 계단>

<관음봉삼거리(직소폭포(2.3km)/ 내소사(1.3km)/ 관음봉(0.6km), 세봉(1.3km) 갈림길 이정표)>

 

관음봉삼거리를 뒤로하고 관음봉으로 향하였는데 암 봉으로 이루어져 측면으로 길이 되어있었고 계단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그렇게 이동을 하다 관음봉삼거리(0.4km), 직소폭포(2.7km)/ 관음봉(0.2km), 세봉(0.9km) 갈림길 이정표를 지나 관음봉(세봉(0.7km)/ 내소사(1.9km), 원암(2.6km), 직소폭포(2.9km) 갈림길 이정표)에 도착하니 시계는 12시 52분을 가르치고 있다. 

<이동 중 만나게 된  계단>

<이동 중 바라본 전경>

<관음봉삼거리(0.4km), 직소폭포(2.7km)/ 관음봉(0.2km), 세봉(0.9km) 갈림길 이정표>

<이동 중 바라본 직소보 전경>

<관음봉 정상 전경>

<관음봉(세봉(0.7km)/ 내소사(1.9km), 원암(2.6km), 직소폭포(2.9km) 갈림길 이정표)>

<관음봉 정상에서 바라본 주위 전경>

 

관음봉을 뒤로하고 세봉으로 향하였는데, 이곳 이동 등산로는 오르락 내리락을 반복하는 구간이었으며 그렇게 이동을 하여 세봉(관음봉삼거리(1.0km)/ 세봉삼거리(0.4km), 가마소삼거리(2.3km), 내소사 일주문(2.4km) 갈림길 이정표)을 경유하며 이동하길 41분, 세봉삼거리(관음봉삼거리(1.7km), 내소사(2.9km)/ 내소사 일주문(2.3km)/ 가마소삼거리(1.8km) 갈림길 이정표)에 도착하게 되었다.(13:33) 

<이동 중 바라본 전경>

<이동 중 바라본 전경>

<이동 중 바라본 내소사 전경>

<이동 중 바라본 전경>

<세봉(관음봉삼거리(1.0km)/ 세봉삼거리(0.4km), 가마소삼거리(2.3km), 내소사 일주문(2.4km) 갈림길 이정표)>

<이동 중 바라본 전경>

<세봉삼거리(관음봉삼거리(1.7km), 내소사(2.9km)/ 내소사 일주문(2.3km)/ 가마소삼거리(1.8km) 갈림길 이정표)>

 

세봉삼거리를 뒤로하고 내소사(1.7km)/ 가마소(2.5km), 세봉삼거리(0.6km) 갈림길 이정표 지나 세봉삼거리(1.0km)/ 내소사(1.3km) 갈림길 이정표를 경유하여 세봉삼거리(2.3km), 관음봉삼거리(4.0km)/ 내소사 일주문(80m) 갈림길 이정표를 지나 내소사 일주문에 도착하니 시계는 14시 34분을 가르치고 있다.

버스 탑승 시간이 15시 30분이라 내소사 경내를 둘러보고 내소사탐방지원센터 주차장으로 이동하기로 하였다.

<이동 중 바라본 전경>

<이동 중 바라본 전경>

<내소사(1.7km)/ 가마소(2.5km), 세봉삼거리(0.6km) 갈림길 이정표>

<이동 중 바라본 전경>

<세봉삼거리(1.0km)/ 내소사(1.3km) 갈림길 이정표>

<이동 중 바라본 전경>

<이동 중 바라본 전경>

<세봉삼거리(2.3km), 관음봉삼거리(4.0km)/ 내소사 일주문(80m) 갈림길 이정표>

<내소사 일주문 전경>

<내소사 전경>

<내소사 전경>

<내소사 전경>

<내소사 전경>

<내소사 범종 전경>

<내소사 안내판>

<내소사탐방지원센터 전경>

<변산반도 국립공원 안내도>

 

내소사에서 가족의 건강과 육군3사관학교 56기, 57기, 58기, 59기들의 무운장구를 빌어보고 천년고찰 내소사 경내를 이곳저곳 두루 둘러보고 연꿀빵 하나를 구입하여 맛있게 나누어 먹고 버스가 있는 내소사 탐방지원센터로 이동하며 오늘의 일정을 마무리해 본다. 

 

 오늘 산행이 안전한 산행이 될 수 있도록 리더해 주신 우서대장님께 감사드립니다.  다음은 49번째 산행은 강원도 동해시에 있는 두타산 산행을 다녀올까 합니다. 다녀온 후기는 안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