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영어 속담.격언 풀이

영어 속담, 격언 풀이 : (20 ) Money (돈/ 부)

작성자청양|작성시간10.08.11|조회수3,302 목록 댓글 0

* Money is all. / Money is everything. / Money talks. 이 모드가 '돈이면 안 되는 일 없다'는 뜻을 나타내고 있다. 돈의

위력은 참으로 위대하다.  그래서 다음과 같은 속담들이 생겨 났다.

 

* Money makes the mare to go.(돈이면 귀신도 부를 수 있다)     mare = 암컷 당나귀.

* Money begets money. ( 돈이 돈을 낳는다)

 

이렇게 귀중한 money도 잘못 쓰면 좋지 않은 결과를 낳는다. 그래서인지 money에 관한 교훈적인 경구가 많다  몇 가지를 들어 보면 이렇다.

 

* A fool and his money are soon parted. (어리석은 자와 그의 돈은 금새 작별한다)

   지혜있는 사람은 그가 가진 돈을 신중하게 사용하나, 어리석은 사람은 돈을 허프게 쓴다.

                     part = 나누다.

* Lend your money and lose your friend. (돈을 빌여주면 친구를 잃는다)

   만일 당신으로부터 돈을 꾸어 간 친구가 그 돈을 갚지 못하면 그는 당신을 만나기를 싫어하고 피해 다닐 지 모른다. 심지어 당신을

   욕하고 다닐 지도 모른다. 그래서 이런 말: 'When  I lent I had a friend;  when I asked he was unkind.(내가 돈을 꿔 줄 땐 친구

   였으나,  갚으라고 했더니  안 좋은 태도를 보였다)는 말도 생겼다. 돈은 이렇게 친구 사이를 갈라 놓는다. 친구 사이 뿐인가?

   돈은 부모와 자녀 간, 부부 사이, 형제 사이도 갈라 놓을 수 있는 무서운 마귀이기도 하다.

   그런 의미로 돈이 대표하는 '부'를 mammon이라고 부르는 데, 이것을 Mommon이라고 대문자로 쓰면  '부의 신', 또는 '탐욕의  

   신'이 된다. 성경 마태복음서 6장 24절에 다음과 같은 글이 있다.

* No man can serve two masters: for either he will hate the one, and love the other; or else he will hold to the one, and

   despise the other. Ye cannot serve God and mammon.

      (사람이 두 주인을 섬길 수 없다.  왜냐하면, 혹은  이 사람을  미워하고 저 사람을 사랑하거나, 또는  혹은 이 사람과 친밀히

      지내고 저 사람은 멸시하기 때문읻. 너희는  하느님과 부를 다같이 가질 수 없느니라)

* The love of money is the root of all evil. ( 금전에 대한 욕심은 모든 악의 근원이다)

 

이런 까닭에 돈에는 '더러운 돈(dirty money)이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오늘 우리 사회를 도리이켜보면 이 dirty money의

포로가 되어 신세를 망치고 오명을 천세에 남긴 사람들이 얼마나 많은고, Dirty money는 문자 그대로 더러운 돈인데, 죄를 짓기

위해(부정한 행위를 하기 위해) 권력이 있는 자에게 주는 뇌물 따위를 말한다. 우리 사전에는 '떡값'이라는 말로 등재되었다.

 

그래서 Money를 유효하게 쓰고, 정당하게 버는 데 충고를 주는 말들도 있다.    

* Muck and money go together. (돈과  퇴비는 동행한다) 퇴비(muck)는 가축의 분요와 풀 따위를 섞어서 만든 거름이다. 말하자면

     오물이다. 만지면 손을 더럽힌다. 그렇지만 그것을 만들거나 만지지 않고는 농사를 지을 수가 없다.

* Money  burns a hole in the pocket.( 돈은  주머니에 불구멍을 낸다) 무슨 뜻인가?  무턱대고 돈을 허프게 쓰는 사람이 있다. 마치

     돈을 포케트에 넣으면  불에 탄 구멍이 생겨서 그 구멍으로 돈이 줄줄 새어서 떨어져 나가는 것  같다. 돈이란 조심해 쓰지 않으면

     금방 없어진다는 경고다. 끝으로,

* Never spend your money before you have it. ( 신용카드 찍찍 긋지 마세요!)

 

(Bonus)

(A) Money의 어원 공부;

이 세상 만물이 생명이 있듯이 말, 언어도 살아있는 생물이다. 따라서 그 하나 하나에 기원이 있다. 이를테면, 이건 학문적이 아닌 필자의 개인적 생각이지만, 불교 사철을 '절'이라 하는 것은 부처님 앞에 '절하는 것'이 사찰에서 하는 일의 대본인 데서 온 것이고, 화폐를 '돈'이라 함은 이 세상을 돌고 돌기 때문이다. (강석태) 그러나 다음에 말하는 money란 낱말의 기원은 그렇지 않다. 낱말의 기원을 연구하는 학문 어원학 (etymology)이 밝힌 것이니, 믿어 보는 것이 좋다.

 

로마 신화에서 모든 신들의 왕으로  하늘나라의 최고의 신인 Jupiter의 아내 Juno에게는 여러 개의 별칭이 있는데, 그 중 하나가

moneta 였다. 오늘 우리가 쓰고 있는 영어의 monetary(화페의, 통화의), monetarism(통화주의), monetarist(통화주의자) 등의 뿌리(어원)이다.  로마 제국이 Juno Moneta 여신의 신전에 화폐 주조소를 설치한 것이 계기가 되어 그 이후 어디던지 화폐 주조소의 이름을 moneta로 부르게 되었다. 이것으로 미루어서  영어 mint(주조소)와 money(돈)는 하나의 말, 곧 라틴어인 moneta로부터 갈라져 나온 말이다. 그런데 이 두 낱말(mint와 money)이 오늘날 각각 다르게 쓰이게 된 것은 그것들이 영어로 유입되는 경로가 서로 약간 달랐기 때문이다. Mint는  Old English에서 mynet로 쓰였으며, 이것은 원시 독일어가 라틴어로부터 차용한 moneta를 변형하였던 것이다. 또 한편으로는 옛고지 독일어에서 동전(coin)의 의미로 쓰인 munizza의 영향을 받았던 것이 Old English시대에 영어가 되면서 mint로 고착했다.

한편으로  중세 프랑스에서 라틴어 moneta가 moneye로 변형되었다가  중세 영어로 유입되면서 money로 바뀌어 오늘에 이르게

된 것이다.

 

(B) 미국인의 Money에 대한 생각 (금전관)은?

일반적으로 미국인은 (우리와는 달리) 선물을  대신하여 돈을 주는 일이 없다.  선물로 돈을 준다는 것은  지나치게 '계산적'인 것

같으며, 또한 너무 간편하고 손쉬워서 아무래도 '성의'가 덜 들어 있는 느낌이 있다고 여기는 것이다.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