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베스트 공략

[기타]레전드 악세 정리.txt

작성자바바|작성시간22.05.19|조회수7,309 목록 댓글 12




1.소개

신종악세 3가지가 나옴.

차례대로 샾슈 상위호환, 공저무 효과, 방저무 효과를 특징으로 하고, 이 글에선 고글 선귀 황반으로 부름.

고글이야 샾슈 상위호환 못박았으니 샾슈랑만 비교하면 되겠다만, 나머지 선귀나 황반은 아레나용인지라 많은 악세랑 비교해야됨.

그래서 아마 이번글도 아레나 이야기가 주가 될거임.






2.고글과 샾슈

참고로 둘다 풀초월 시 치확 5%추가로 받고, 그게 표에 반영되어 있음.

방%, 체%는 거의 비슷하게 환산되니깐 큰 의미는 없는데 깡방어력이 12정도 차이나고 기피증이 6% 차이나며, 고글은 추가적인 능력이 존재함.

※기피증은 1/4 수치로 계산

일단 특수능력 빼고 환산하면 다음과 같음. 사실 레전 악세가 먹기 쉬운 것도 아니고, 고글 특성상 풀초해야 한다는걸 감안하면 저 정도 수치 변화론 딱히 꼭 얻어야 하나 싶은 느낌이 드는건 맞긴 함.

문제는 특수능력인데, 이게 일반적인 길레에선 무의미한게 맞다만 유사괴물이나 엘비라비움 등 잡쫄이 나오는 경우엔 의미가 있고, 그 효율은

깡뎀 1.3~2% 올려줌.

저 능력 확인해보니깐 그냥 파벞이나 특수능력 등에 들어있는 공증 능력과 합연산임.

그래서 예를 들어 파벞에 속공증이 없고, 특수능력 등에 공증과 관련된 능력이 하나도 없다면 공증 2% 그대로 받는거라 깡뎀 2% 상승이고, 공증 옵션이 많아질수록 그 효율은 깎임.

그러니깐, 유사의 경우에서 봐도 딱히 드라마틱한 기대를 하긴 어렵고

자기는 진짜 길레의 정점을 찍겠다 싶은게 아니면 급히 얻을 이유는 없어보임.

물론 얻으면 쌓아놓는게 좋음. 일단 샾슈보단 딜이 오르긴 하니깐.







3.깡방어력과 캐릭터 방어력의 관계

사실 이걸 먼저 설명해야 하는데, 어차피 길레 부분에선 방어력에 딱히 관심이 없는 경우가 많아 소홀히 넘어갔으나, 아레나는 아주 중요한 관계로 짚고 넘어가겠음.

위에서 샾슈>고글 비교할 때, 강인함 변한 정도를 계산하려면 이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하는데,

일단 이 표를 보자. 이건 각각의 캐릭터들의 86렙 노각성 도감 스텟 기준, 방패+무기+캐릭터의 깡방어력을 합산한 수치임.

물론 말만 이렇게 했지, 표에 나온 캐릭터들 전부 무기에 깡방이 없고 방패 안쓰는 애들이긴 함. 어쩌다보니깐 캐릭터 고르는데 저런 애들만 골라짐.

중요한 부분은 만약 그런 캐릭터(무기 깡방 o, 방패 착용)를 표에 넣는다면, 그렇게 해야한다는거임.

지금 비교하려는건 악세에 대한 상대적인 비교기 때문에, 악세를 제외한 모든 셋팅이 갖춰진 상태에서 악세만 변할 때를 비교해야함.

따라서 저 표에 나오는 깡방은 악세를 제외한 모든 깡방을 합친 수치여야 됨.

예시 들자면 오그마 깡방이 160인가 그런데, 걔를 마리나 대신 표에 넣었으면 방패 깡방인 240까지 합산한 400으로 기록했을거임.


아무튼 그러하고 왜 캐릭터를 저렇게 5명으로 선정했냐면,

아라벨:아레나가 힘겨운 구세대 정통 원딜들

클라라:아레나가 가능한 신세대 정통 원딜들

카마엘:근원딜에 대한 구분이 불명확해지며, 중거리 공격 기반 캐릭들+방어력 낮은 전사들

캐럴:위보다 더욱 근원딜 구분이 불명확한 캐릭+방어력 높은 전사들

마리나:탱커

여기서 말하는 근원딜 구분 어렵다는 캐릭터의 매커니즘적인 측면을 말하는거지, 근접 피해냐 원거리 피해냐를 이야기하는게 아님.

언급한 정통 원딜이란 것도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장거리에서 쏴재끼는 그런 놈들 이야기하는거지, 순지덱 같은 놈들을 말하는게 아님.


아무튼 저런 구분은 임의적으로 한 것이긴 한데, 예외도 있으니 절대적인게 아니라 보통의 경향성이라 보면 될듯. 예시로, 하나는 클라라쪽 구간에 속함.

그리고, 저 구간별로 전부 깡방어력에 대한 효율이 다름. 인접한 구간끼린 그나마 효율 차이가 덜한 편인데, 극단적인 아라벨-마리나의 경우 깡방 200에 대한 효율이 전자는 방증 +200%, 후자는 방증 +50%에 근접함.

물론 이걸 강인함으로 환산하면 저 효율 격차가 좁혀지긴 하는데, 그래도 다 좁혀지진 않는지라 강인함 또한 깡방어력 낮은 캐릭이 더 오름.

이후 나올 부분에선 카마엘~캐럴 정도의 효율만 계산할건데, 본인이 쓰는 캐릭이 무엇인지 잘 숙지하고 이 정보를 받아들이라는 의미임.








4.선귀와 황반

※대지목 회복량 10% 누락
※거악 옵션은 무충, 방어, 체력, 보호막

사실 쓰는 악세 다하려다가 보기도 어렵고 의미 없어 보여서 줄임. 근데 사실 줄였어도 딱히 직관적인 표는 아닐거임.

확인할건 황반, 선귀가 깡방어력이 가장 낮고 무충 또한 매팬브를 제외하면 가장 낮다는 것임.

그렇다고 전반적인 스텟 수준에서 큰 우위를 점하는건 또 아님.

근데 이게 맞긴 함. 애초에 대지목도 동급 대비 저렇게 개발 되었어야 하고.

물론 그런 잘못 개발된 대지목이 있는 시점에선 "저렇게 개발된게 정상이다" 라고 말하는 것도 조금 어려운 감은 있음. 애초에 비정상인 악세 때문에 신규 악세를 낸건데 그게 정상적인 악세면 괴리감이 느껴질만함.



아무튼 저런 스텟표 봐봤자 직관적이지 않을거니,

※계산 오류로 일부 수정
※방어력 구간은 카마엘~캐럴 구간
※강인함에서 최솟값은 캐럴과 가까운 효율
※지식작은 마스터(턱걸이x)~in100하위권
※거악은 유니콘이라 실제와 괴리가 존재
※기피증은 1/4 수치로 계산
※보호막은 강인함 4.5~5%로 곱연산 가능


사람마다 지식작도 다르고, 말이 카마엘 캐럴 구간이지 캐릭터마다 효율이 조금씩 다 다름.

뭣보다 카마엘 캐럴 구간에서 아예 벗어난 캐릭들은 저거랑 효율 차이가 훨씬 남.

근데 중요한건, 어떤 악세가 다른 악세에 비해 어느정도로 상대적인 효율을 가지냐가 중요한거임.

제시된 표와 효율이 달라도, 결국 상대적인 효율은 거의 비슷하니 상대적인 것만 보면 됨. 따라서

1.대지목 노초의 느낌을 살짝이라도 느껴보고 싶으면 황반 풀초박아볼만 함.

2.유니콘 거악이 아니더라도, 유니콘에 거의 가까운 거악의 경우엔 풀초 황반에 비해 우위를 점하는 부분이 꽤 있는지라 굳이 풀초 황반을 찾을 이유는 없어보임.

3.선귀는..?










5.공저무, 방저무

선귀에 대한 해답을 여기서 찾아야 됨.

대지목 좋다 좋다 말만 들어서 그렇지 실질적인 효율 모르는 사람 꽤 될거고, 이에 따라 선귀에 있는 공저무 율도 잘 모르는 사람들이 많을거임. 일단 대지목 효율부터 보자면


(1)방저무vs속저깎 20%

방저무 없을 때보다 강인함이 20% 증가함. 이건 위에 수치랑 별개임. 그러니깐, 만약 위에서 대지목 풀초로 강인함 70% 올랐다고 치면, 강인함 170%에서 20% 더하는게 아니라 ×1.2한 204%가 최종 강인함이 됨.



(2)방저무vs방깎 20%

방저무 없을 때보다 강인함이 21~24% 증가함. 근데 현메타는 이게 거의 아닌게, 방벞이 방깎 효율을 깎음.

그러니깐, 방저무는 방깎의 효과를 없애는건데 애초부터 방깎의 효과가 방벞 때문에 떨어지고 시작하니, 효율이 저만큼 나오지 않음.

그래서 방벞 45%가 있는 경우 일반적으로 방저무 없을 때보다 강인함이 13~15% 정도 증가하고, 만약 특능에 방증 같은 능력이 추가로 존재한다면 저 효율이 더 깎임.

물론 기존대비 깎인다는거지 여전히 이게 대지목의 우월한 스펙에 플러스로 들어가는 요인인거라 효율 아무리 깎여도 좋은건 안변함.

황반은 우월한 스펙이 아니라 조금 그런 부분인데, 그래도 위에서 언급했듯이 노초 대지목보다 살짝 안좋은 수준이라 여전히 쓸만은 함.

방저무 효과는 이게 끝이니, 공저무 효과를 보자면



(3)공저무vs공깎 30%, 25%, 10%

공저무 없을 때보다 각각 데미지가 42%, 33%, 11% 오름. 공깎 10%를 제외하면 방저무보다 수치적인 효율이 월등히 높고, 이건 공깎 수치가 높아서 그럼.

근데 문제는 공깎 캐릭 자체도 적은데 보통 공깎 수치가 높으면 상시 공깎이 아님. 루, 비앙카, 프리실라에 해당함.

공깎 수치가 낮은데, 거의 상시인 경우도 있음. 클로드, 유진에 해당함.

따로 쟤네 5명 말고는 메타 캐릭 중에서 공깎인 캐릭이 기억이 안나는데, 아마 방깎이나 속깎류의 캐릭들을 만날 확률이 쟤네들 만날 확률보다 높을거임.

지금 방깎이나 속깎류가 리리스, 카마엘, 메이릴, 캐럴, 신틸라, 란, +레이

리리스는 방깎 잘안맞고, 란은 제외한다 쳐도 남은 5명이 위 5명보다 많이 나옴.

그래서 평균적으론 현상황에선 공저무가 방저무보단 별로고, 황반을 쓸 계획이 없다면 선귀도 안쓰는게 맞지 않나 싶음.

추가로, 공깎도 방깎이랑 똑같게 상대가 공증 가지고 있으면 효율이 깎임. 방증에 비해선 많은 경운 아니긴 한데, 아무튼 그런 경우가 존재하는건 사실이고, 가뜩이나 황반보다 안좋아보이는데 감점 요소가 더 늘어남.


그래도 좀 안좋은 소리만 한 것 같아서 좋은 소리좀 하자면,

마레나는 상대 보고 쓰는거라 충분히 조커픽용으로 써볼법도 하고, 어디까지나 공깎 캐릭이 적은 현재에 기반한 이야기인지라 추후 메타 상황에 따라 괜찮아질 수도 있음.

따라서 가치가 0인 악세는 아님.








요약하자면

1.고글은 아주 드라마틱한 딜 차이를 만드는게 아니라서 급하게 셋팅할 필요는 없으나, 어찌 되었든 딜 오르는건 맞으니 모아두는게 좋음.

2.풀초 황반은 노초 대지목보다 살짝 안좋은 수준이기에, 본인 악세 상황에 따라 충분히 써봄직 함.

3.선귀는 현상황에선 황반보다 안좋고, 따라서 황반을 안쓸 계획이라면 사실상 선귀도 안써도 됨. 단지 이건 어디까지나 공깎이 적은 현메타 상황에 근거하기에 추후 메타 변화에 따라 다르고, 상대 보면서 하는 마레나에선 조커픽용으로 사용해봄직 함.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 답댓글 작성자Jeuu | 작성시간 22.05.20 유니콘 거악이 먼가요?
  • 답댓글 작성자ggunin | 작성시간 22.05.20 방퍼 체퍼 기피or보호막 무충

    올맥스요
  • 답댓글 작성자바바 작성자 본인 여부 작성자 | 작성시간 22.05.20 유니콘=상상속의 동물
    유니콘 거악=상상속의 거악

    이런 맥락입니다
  • 작성자타이밍 | 작성시간 22.05.22 기회 비용을 따져보면 적당한 배분인건가.
    댓글 이모티콘
  • 작성자기붕이 | 작성시간 22.06.18 지식추
댓글 전체보기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