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 영 화/만 화 †::

2018년 2월 3주차 한국, 북미 박스오피스

작성자카페에산다|작성시간18.02.19|조회수282 목록 댓글 0

//

//

 

1위(N) Black Panther (디즈니)

블랙 팬서 2018.2.14 국내개봉


주말수익 - $192,023,000 (-)

누적수익 - $219,223,000

해외수익 - $169,000,000

상영관수 - 4,020개 (-)

상영기간 - 1주차

제작비 - $200m


-뭐라 할 말이 없네요. 디즈니의 2018년 첫 번째 배급작품, MCU의 18번째 작품인 [블랙 팬서]가 박스오피스의 역사를 새롭게 썼네요. 주말 3일동안 거둬들인 수익이 무려 1억 8,500만 달러로 2월 역대 개봉수익 1위였던 (이제 한 가족인) [데드풀, 2016]의 1억 3,200만 달러를 저멀리 보내고 역대 1위라는 기록을 차지했으며, 역대 개봉수익에서도 역대 5위, 그중 MCU에서는 단독 캐릭터 작품으로는 가장 높은 수익(속편 제외)을 기록한 작품이 됐습니다. 디즈니는 역대 개봉수익 톱10에 8편의 작품을 디즈니가 배급한 작품으로 올려버렸네요.


역대 2월 개봉수익 톱 5 (*현재 상영중) / 순위-제목-개봉수익-최종수익 순

1위 *블랙 팬서 (디즈니, 2018) $192,023,000 / $?

2위 데드풀 (폭스, 2016) $132,434,639 / $363,070,709

3위 그레이의 50가지 그림자 (유니버셜, 2015 ) $85,171,450 / $166,167,230

4위 패션 오브 크라이스트 (뉴마켓, 2004) $83,848,082 / $370,274,604

5위 레고 무비 (워너, 2014) $69,050,279 / $257,760,692


역대 개봉수익 톱 5 (*현재 상영중) / 순위-제목-개봉수익-최종수익 순

1위 스타워즈: 깨어난 포스 (디즈니, 2015) $247,966,675 / $936,662,225

2위 스타워즈: 라스트 제다이 (디즈니, 2017) $220,009,584 / $617,556,777

3위 쥬라기 월드 (유니버셜, 2015 ) $208,806,270 / $652,270,625

4위 어벤져스 (디즈니, 2012) $207,438,708 / $623,357,910

5위 *블랙 팬서 (디즈니, 2018) $192,023,000 / $?


MCU 개봉수익 톱 5 (*현재 상영중) / 순위-제목-개봉수익-최종수익 순

1위 어벤져스 (디즈니, 2012) $207,438,708 / $623,357,910

2위 *블랙 팬서 (디즈니, 2018) $192,023,000 / $?

3위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 (디즈니, 2015) $191,271,109 / $459,005,868

4위 캡틴 아메리카: 시빌 워 (디즈니, 2016) $179,139,142 / $408,084,349

5위 아이언 맨 3 (디즈니, 2013) $174,144,585 / $409,013,994


[블랙 팬서]는 프레지던트 데이 연휴를 포함한 수익까지 합친자면 개봉 첫 주에만 어마어마한 제작비 2억 달러를 개봉 4일 동안 수익으로만 넘겼습니다.


이제껏 MCU 시리즈는 빠르면 4월에 개봉했었고((캡틴 아메리카: 윈터 솔져, 2014]), 대부분은 5월과 여름 그리고 11월에 나눠서 개봉했었죠. [블랙 팬서]는 2월에 개봉하면서 기존 MCU 작품들 개봉일정보다 앞당겨 개봉하는 전략을 취하긴 했는데요, 이렇게 흥행폭발할 줄이야. [데드풀]이 2월에도 흥행 터지면 제대로 터진다는 것을 보여준 적은 있는데, [블랙 팬서]가 제대로 보여주었네요. 이제 디즈니의 시간은 5월이 아닌 2월부터 시작할 지도 모릅니다.

[캡틴 아메리카: 시빌 워, 2016]에 출연하고 단독 영화로 관객들과 만난 '블랙 팬서'는 기존 MCU 시리즈와는 다소 결이 다르다는 느낌을 주지만 그 결 자체가 관객들에게는 익숙하면서 새롭게 전해진 것 같습니다. 한 마디로 디즈니와 마블은 제대로 또 한 번 사고를 친 셈이죠.


[오스카 그랜트의 어떤 하루, 2013]로 인상적인 데뷔전을 치루었던 라이언 쿠글러 감독은 [크리드, 2015]로 흥행과 대중성을 모두 잡더니 [블랙 팬서]로는 흥행 대박 감독 타이틀까지 거머쥐었네요. 라이언 쿠글러 감독의 모든 작품에 출연한 마이클 B. 조던 역시 배우 커리어로도 확실하게 자신의 입지를 굳혀가게 됐고요.

만일 내년에 개봉하는 [캡틴 마블]까지 성공한다면 MCU의 앞길은 정말 거침없이 펼쳐질 것 같습니다. 주인공이 흑인이라도, 여성이라도 말이죠. 기존 할리우드의 관습을 따라가면서 부숴버린다고나 할까요.


 

2위(=) Peter Rabbit (소니)


주말수익 - $17,250,000 (수익증감률 -31%)

누적수익 - $52,822,542

해외수익 - $-

상영관수 - 3,725개 (-)

상영기간 - 2주차

제작비 - $50m


-지난주 2위로 박스오피스에 등장했던 [피터 래빗]이 이번 주에도 2위를 차지했습니다. 관객 타깃층이 가족 영화다보니 [블랙 팬서]와 [그레이의 50가지 그림자: 해방] 사이의 관객들 사이에서 줄타기를 잘 탄듯 보입니다. 아드만 스튜디오의 [얼리 맨]이 강력한 라이벌이라고 생각했지만, [얼리 맨]이 힘을 쓰지 못한 것도 [피터 래빗]이 2위를 차지한 이유가 될 것이고요.

[이지 A, 2010] 만큼의 참신함은 없었지만, 나름 박스오피스에서 좋은 성적을 기록중인 윌 글럭 감독에게는 [피터 래빗]이 그의 필모그래피 중에서는 가장 높은 수익을 기록한 작품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3위(▼2) Fifty Shades Freed (유니버설)

50가지 그림자: 해방 2018.2.21 국내개봉


주말수익 - $16,940,000 (수익증감률 -56%)

누적수익 - $78,141,455

해외수익 - $96,500,000

상영관수 - 3,768개 (-)

상영기간 - 2주차

제작비 - $55m


-[50가지 그림자: 해방]이 이번 주 3위를 차지했습니다. 지난주 1위로 등장하기는 했지만, 앞서 개봉했던 1, 2편과 비교해서는 확실히 반응이 떨어지는 편이네요. 게다가 이번 주에는 [블랙 팬서]까지 개봉하면서 모든 스포트라이트가 다 옮겨진 것도 흥행에 큰 타격을 주었고요.

쉽지 않은 시리즈의 주인공을 맡으면서 나름 인지도와 인기를 얻었지만 ,나름 부담도 많았을 것으로 예상되는 두 배우 다코타 존슨과 제이미 도넌은 이 시리즈로부터 해방이 될 터이니 이후에 출연할 작품들이 더 좋은 성적을 거두었으면 하는 마음이 있습니다. 두 배우도 [50가지 그림자] 시리즈 외에는 뚜렷한 히트작이 없다는 것이 제일 아쉬운 점이죠.

현재 다코타 존슨은 공포 영화의 고전인 [써스페리아, 1977]의 리메이크 작품인 [써스페리아]로 관객과 만날 예정이고, 제이미 도넌은 [로빈 훗, 2018]에서 태런 에저튼과 관객들과 만날 예정입니다.

4위(=) Jumanji: Welcome To The Jungle (소니)

쥬만지: 새로운 세계 2018.1.3 국내개봉


주말수익 - $7,945,000 (수익증감률 -21%)

누적수익 - $380,023,565

해외수익 - $527,000,000

상영관수 - 2,800개 (-336)

상영기간 - 9주차

제작비 - $90m


-이쯤되면 너무하다 싶네요. 9주 연속 톱 5에 머물고 있는 [쥬만지: 새로운 세계]입니다. 설마했던 북미수익 4억 달러까지 찍고 내려오겠다는 건가요. 놀라운 흥행 성적을 보이고 있습니다.


드웨인 존슨은 4월 20일에 [램페이지]로 관객과 만날 예정인데, [램페이지]는 비디오게임을 원작으로 한 작품인데, [램페이지]의 개봉시기가 얼마 남지 않아서 걱정이 더 큰 것이 얼핏 보면 [쥬만지: 새로운 세계]의 또 다른 영화처럼 보이기 때문입니다. 그만큼 [쥬만지: 새로운 세계]가 박스오피스에서 오래 머물고 있어서 그러는 것일 수도 있을텐데요 [쥬만지: 새로운 세계]의 장기레이스가 [램페이지] 흥행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 지 궁금해지네요.


 

5위(▼2) The 15:17 to Paris (워너)


주말수익 - $7,685,000 (수익증감률 -39%)

누적수익 - $26,923,717

해외수익 - $5,300,000

상영관수 - 3,042개 (-)

상영기간 - 2주차

제작비 - $30m


-클린트 이스트우드 감독의 손에서 탄생한 또 다른 미국 영웅의 이야기였지만, 북미 관객들의 마음을 잡지는 못했습니다. [아메리칸 스나이퍼]와 [설리]가 모두 북미수익 1억 달러를 넘겼었는데, [15:17 투 파리]는 5천만 달러 넘기는 것이 현실적으로 바라는 최선의 수익 목표치가 아닐까 싶네요.

클린트 이스트우드 감독은 현재 지난 2012년 소말리아 해적에게 납치됐던 제시카 부캐넌과 포울 하겐 티스테드를 구한 상황을 그린 [임파서블 오즈 Impossibel Odds]를 준비 중이라고 합니다.


 

6위(▼1) The Greatest Showman (폭스)

위대한 쇼맨 2017.12.20 국내개봉


주말수익 - $5,100,000 (수익증감률 -21%)

누적수익 - $155,778,356

해외수익 - $170,761,103

상영관수 - 1,936개 (-437)

상영기간 - 9주차

제작비 - $84m


-지난 8주 동안 박스오피스의 허리를 단단히 지켜주고 있던 [위대한 쇼맨]이 드디어 6위로 순위가 떨어졌습니다. 순위는 떨어졌지만, 이번 주 누적수익이 약 1억 5,600만 달러를 넘기면서 뮤지컬 영화 흥행순위에서는 [라라랜드]를 제치고 4위에 올랐네요.


북미 박스오피스 뮤지컬 영화 역대 흥행 톱 5 (*현재 상영중)

순위-제목-최종수익-개봉수익-제작비 순

1위 미녀와 야수 (디즈니) $504,014,165 / $174,750,616 / $160,000,000

2위 그리스 (파라마운트) $188,755,690 / $8,941,717 / $6,000,000

3위 시카고 (미라맥스) $170,687,518 / $2,074,929 / $45,000,000

4위 *위대한 쇼맨 (폭스) $155,778,356 / $8,805,843 / $84,000,000

5위 라라랜드 (라이온스게이트) $151,101,803 / $881,104 / $30,000,000


7위(N) Early Man (라이온스게이트)


주말수익 - $3,150,000 (-)

누적수익 - $3,850,000

해외수익 - $-

상영관수 - 2,494개 (-)

상영기간 - 1주차

제작비 - $50m


-이번 주 개봉한 신작 중에서는 나름 유리한 고지에 있었다고 여겼던 [얼리 맨]이 7위로 등장했네요. 아이들을 위한 유일한 작품이라고 생각했었는데, [피터 래빗]과의 싸움에서도 지면서 북미 박스오피스에서 다시 한 번 고배를 마시게 됐습니다.

아드만 스튜디오 작품들이 북미 박스오피스에서 유독 힘을 쓰지 못하는 상황인데, 2015년에 개봉했던 [숀더쉽]에 이어 [얼리 맨]까지 개봉수익이 500만 달러를 넘기지 못했네요. 그래도 그전까지 개봉했던 작품들은 개봉수익은 1천만 달러는 넘겼기 때문에 더 이상 북미 시장에서 아드만 스튜디오의 힘을 기대하는 것은 어렵지 않나 싶습니다.


 

 

 

 

 

 

 


8위(▼2) The Maze Runner: The Death Cure (폭스)

메이즈 러너: 데스 큐어 2018.1.17 국내개봉


주말수익 - $2,525,000 (수익증감률 -59%)

누적수익 - $54,555,125

해외수익 - $205,209,465

상영관수 - 1,892개 (-1,031)

상영기간 - 4주차

제작비 - $62m


-이번 주 8위는 [메이즈 러너: 데스 큐어]입니다. 약 5,400만 달러의 수익을 기록했지만, 순위로 본다며 이번 주가 마지막 톱 10에 머물 것으로 예상이 거의 확실시 됩니다.

[메이즈 러너] 1편으로 장편 영화 연출을 처음으로 시작했던 웨스 볼 감독은 할리우드에서는 보기 드물게 시리즈 모두를 연출한 감독이 됐는데요. 현재 그는 브랜든 데닌 작가의 공포 소설인 <크리설리스 The Chrysalis>의 영화를 연출할지도 모른다고 하네요. 시리즈의 성적이 가면 갈수록 아쉽기는 했지만 웨스 볼 감독의 신작은 계속 만나고 싶긴 합니다.


 

 

 

 

 

 

 

9위(▼2) Winchester (라이온스게이트)


주말수익 - $2,230,000 (수익증감률 -57%)

누적수익 - $22,160,179

해외수익 - $-

상영관수 - 1,479개 (1,001)

상영기간 - 3주차

제작비 - $3,5m


-개봉 3주차에 접어들었음에도 상영관이 1,001개나 빠지면서 빠르게 정리중인 [윈체스터]가 이번 주 9위를 차지했습니다. 헬렌 미렌과 제이슨 클락이라는 좋은 배우들을 데리고 찍은 공포 영화기는 했지만, 주목다운 주목은 받지도 못하고 이대로 사라지네요.


 

 

 

 

2018년 2월 16일 ~ 2월 18일 한국 박스오피스


1위(▲33) 블랙 팬서 (디즈니)

주말관객 - 1,900,337명

누적관객 - 3,097,703명


2위(▼1) 조선명탐정: 흡혈괴마의 비밀 (쇼박스)

주말관객 - 713,765명

누적관객 - 2,076,072명


3위(▲16) 골든슬럼버 (CJ)

주말관객 - 628,116명

누적관객 - 982,078명


4위(▲44) 흥부 (롯데)

주말관객 - 211,565명

누적관객 - 321,851명


5위(▲57) 명탐정 코난: 감벽의 관 (CJ)

주말관객 - 85,444명

누적관객 - 157,921명


6위(▼3) 코코 (디즈니)

주말관객 - 69,299명

누적관객 - 3,431,302명


7위(▼5) 그것만이 내 세상 (CJ)

주말관객 - 63,591명

누적관객 - 3,368,329명


8위(▼4) 패딩턴 2 (이수 C&E)

주말관객 - 50,528명

누적관객 - 227,270명


9위(▼4) 신과함께 -죄와 벌 (롯데)

주말관객 - 31,842명

누적관객 - 14,398,271명


10위(▲4) 위대한 쇼맨 (폭스)

주말관객 - 8,110명

누적관객 - 1,384,217명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