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동양철학

<현일> 구궁의 의미

작성자작약|작성시간15.07.16|조회수778 목록 댓글 0

 

마방진 - 신구낙서

9=이궁

5=중궁

1=감궁

2=곤궁

3=진궁

4=손궁

6=건궁

7=태궁

8=간궁

 

 

 

 

 

 

 

 

1. 이궁은 다른 궁을 인도한다. 인신이 머무는 궁이기 때문이다.

이궁은 천기가 들어오는 궁이며,들어온 천기를 중궁으로 보내 감궁에서 들어온 지기와 결합시키고,

나아가 결함하지 못하거나 결합한 뒤 해체된 천기를 내보내는 곳이다.


2. 이궁은 하단부 전체를 대표하며 몸의 기틀인 잣대 및 등뼈와 직접 관련을 맺는 바,

이를 통해 통해 12주경이 흐른다. 그리고 12개의 길을 통제하는 별도의 묶음길이 있는데,

이것이 바로 임맥이다.


3. 감궁은 천기와 합하기 위한 지기가 들어오고

천기와의 결합에서 이탈하거나 해체된 지기가 나가는 중추궁이다.


4. 감궁과 이궁은 중궁을 통해 하나로 연계되며, 이 통로를 송과선, 선로, 이통로 등으로 부른다.


5. 중궁의 기능은 돌림이고 불림이다. 또 그것은 하나됨이고 균형이다.

중궁은 심의 명이다.

즉 그것은 원기와 원정의 결합체로서 원신의 소개처요

소우주의 핵이며 나아가 각 존재가 하늘의 분유물임을 입증하는 증거이다.


6. 곤궁은 이미 형화된 형을 유지하는 궁으로서 삶의 상징이기도 하다.

곤궁은 피돌림을 담당하며 형화에 쓰일만큼 피를 돌리고 피를 돌려서

분해된 정과 기 가운데 혈정을 간부로 보내고 그 혈기를 중궁으로 보내

다시 천기와 합해 힘을 얻게 한다.


7. 천기와 합쳐 힘을 얻은 합체물은 진궁에서 완전 일체화하면서 형화를 재생할 힘을 가지게 된다.

즉, 진궁은 힘을 제공하는데 그 힘은 바로 이궁과 감궁에서 들어와

중궁에서 모인 빛과 온도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생긴다.

즉 중궁은 빛과 온도 및 심기를 진궁으로 보내는데,

진궁은 그것을 받아 하나의 형화력으로 전환시키는 것이다.

요컨데 진궁은 운동에너지의 궁이다.


8. 손궁은 진궁에서 형성된 형화의 힘을 받아

간부 가운데 머물던 해체된 혈정과 만나게 하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

그리고 그것을 묶어 중궁으로 보내며 중궁에서는 그 가운데 결합되지 못한 혈정을 감궁으로 흐르게 한다.

즉 손궁에서는 간부혈정이 들어오고 형화의 힘을 내보내는 것이다.


9. 손궁은 이 기운을 중궁으로 보냄으로써 새로운 기가 나갈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되는데,

이를 통해 형화와 기화는 통합되고 피돌림이 이루어진다.


10. 중궁에서 만난 새로운 기와 새로운 정은 건궁으로 가는데 건궁은 그 힘을 인간화하는 곳이다.

그래서 건궁은 인간궁 또는 인간으로서 전생궁이 되며,

사람의 마음 가운데 식의 기능을 수행하는 궁이 된다.

예컨데 2, 3, 4 궁은 인간 이하의 형까지 포함하는 궁인바,

곤궁은 형화의 궁이니 형체를 갖춘 초저급까지 포함하는 돌, 바위, 식물의 궁이며,

진궁은 빛과 온도의 결합이니 고등식물과 저등식물의 궁이고

손궁은 피돌림의 감정궁이니 고등동물 등의 궁이다.


11. 건궁에서 인간화된 기는 다시 태궁으로 올라가 취사선택 되어 재편성되는 바,

이는 이른바 업궁이며 취사선택이 끝난 것은 다시 중궁으로 옮겨간다.


12. 이에 중궁은 이것을 다시 간궁으로 보내되, 간궁은 취사선택

되었다가 버려진 것을 분해하여 중궁으로 되돌린다.


13. 중궁은 수많은 전자들이 그 크기와 무게 들에 따라 각자의 궤도를 그리고 있는 별과 같은 구조이며

그래서 중궁은 북극으로 비유하기도 한다.

그리고그 궤도에 무엇인가가 진입하면 바로 변화가 일어나게 된다.


14. 간궁은 중궁에서 보내진 류형화의 기운을 받아 그것을 하단추로 보냄으로서

필요한 골격을 짜고 유지시키는다.

희노애락 등이 근본적으로 간궁의 작용에서 오는 것이다.

골격에는 허리와 가슴과 머리 부분이 필수적이다.


15. 간궁에서 쓰이지 못한 것은 다시 중궁으로 돌아와 태궁에서 오는 다른 것과 만날 때 까지 불안정한

궤도를 그리는데 그 궤도는 이궁에 의해 결정된다.


1 감중기로 수태음폐경

2 중곤기로 족소음신경

3 곤중기로 족소양담경

4 중진기로 족양명위경

5 진손기로 족궐음간경

6 손중기로 족태음비경

7 중건기로 수양명대장경

8 건태기로 수궐음심포경

9 태중기로 수태양소장경

10 중간기로 수소음심경

11 간중기로 수소양삼초경

12 중이기로 족태양방광경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 북마크
  • 공유하기
  • 신고하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