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FE

행복한 죽음

[펌]호스피스에 대해

작성자작약|작성시간12.04.19|조회수58 목록 댓글 0

 

'호스피스'란 죽음을 앞둔 말기환자와 그의 가족을 사랑으로 돌보는 행위로서, 남은 여생동안 인간으로서의 존엄성과 높은 삶의 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영적인 돌봄을 통해 삶의 마지막 순간을 평안하게 맞이할 수 있도록 하며, 사별 후 가족이 갖는 고통과 슬픔을 잘 극복할 수 있도록 돕는 총체적인 돌봄(holistic care)을 뜻한다.

즉, 호스피스란 임종자들이 죽음을 받아들이고 희망 속에서 가능한 한 편안한 삶을 살도록 하며 삶과 죽음에 대한 총체적인 접근을 의미한다.


■ 호스피스의 유형

호스피스의 종류에는 독립형,병동형,가정형,산재형 등 4종류가 있다.

'독립형 호스피스'는 가정적 분위기의 독립건물을 지어 호스피스 활동을 하는 것. '병동형 호스피스'는 병원내 일부 병동 및 병실을 이용하는 것이며, '가정 호스피스'는 환자 가정에 전문 봉사자와 의료진이 방문해 돌보는 것을 말한다. '산재형'은 호스피스 병동이 따로 설치돼 있지 않아 환자들이 다른 환자와 섞여 입원해 있으면서 봉사를 받는 형태다.


■ 호스피스 제도의 유래

호스피스의 어원은 라틴어의 호스피탈리스(hospitals)와 호스피티움(hospitium)에서 기원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원래 호스피탈리스는 '주인'을 뜻하는 호스페스(hospes)와 '치료하는 병원'을 의미하는 호스피탈(hospital)의 복합어로서, 주인과 손님 사이의 따뜻한 마음과 그러한 마음을 표현하는 '장소'의 뜻을 지닌 '호스피티움'이라는 어원에서 변천되어왔다.

호스피스 제도의 유래를 보면, 큰 맥락은 중세기에 성지 예루살렘으로 가는 성지순례자나 여행자가 쉬어가던 휴식처라는 의미에서 유래되어 아픈사람과 죽어가는 사람들을 위한 숙박소를 제공해 주고 필요한 간호를 베풀어 주면서 시작되었다.

현대에 들어서면서 호스피스는 체계를 갖추며 발전하기 시작하였는데, 1967년 영국의 런던에서 '시실리 손더스'에 의해 '성 크리스토퍼 호스피스'가 개방되어 현대 호스피스 운동의 체계적 모태가 되었다.

1968년 미국에서는 호스피스의 가정간호가 시작되었으며 1969년 엘리자베스 퀴블러로스가 "인간의 죽음(on death and dying)"을 출판함으로써 죽음의 개념과 말기환자의 돌봄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었다.


■ 국내 호스피스제도

우리나라에서는 1965년 3월 강릉 갈바리 의원(마리아의 작은 자매회)에서 임종자 간호를 시작한 것이 호스피스의 시초이며, 91년에는 한국호스피스협회가 창립되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에는 70여곳의 호스피스 기관이 있으며, 인구 대비 호스피스 시설 설치율이 영국이나 싱가포르의 15~31%에 불과하다. 때문에 암사망자의 5.1%만이 호스피스 시설을 이용하고 있다.

 

<네이버 지식 사전에서 펌>

 

다음검색
현재 게시글 추가 기능 열기

댓글

댓글 리스트
맨위로

카페 검색

카페 검색어 입력폼